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인도 신체표현(āṅgika abhinaya)체계의 전통성과 정체성에 관한 고찰 -『나띠야 샤스뜨라』의 규정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Tradition and Identity of Bodily Expression System in India)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7 최종저작일 2009.02
33P 미리보기
인도 신체표현(āṅgika abhinaya)체계의 전통성과 정체성에 관한 고찰 -『나띠야 샤스뜨라』의 규정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연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공연문화연구 / 18호 / 223 ~ 255페이지
    · 저자명 : 허동성

    초록

    이 글은 현전하는 인도 최초의 연극론서인 『나띠야 샤스뜨라』의 규정을 중심으로 인도의 전통연극과 무용에 계승되어 온 신체표현기법인 앙기까 아비나야의 전통성과 정체성을 고찰한다. 이를 위해 마르기와 데시, 나띠야다르미와 로까다르미의 양식구분 개념, 아비나야의 분류, 앙기까 아비나야의 의의와 중요성, 기원과 형성과정, 범주와 종류, 계통성과 지역적 차이를 살펴본다.

    영어초록

    This paper deals with the tradition and identity of physical expression(āṅgika abhinaya) system in Indian traditional theatre and dance. The āṅgika abhinaya of Indian dance and theatre has been stylized through long terms and thereby defines their identity and peculiarity by its highly stylized expression techniques while following dramatic way(nātya-dharmi). The āṅgika abhinaya is said to had been derived from the ritualistic practice of ancient Vedic period(B.C. 15th-B.C. 5th c.), which is most clearly exemplified in hand gesture(hasta mudra). In Nātya Śastra, āṅgika abhinaya is explained in detail. It is classified broadly into facial expression(mukhaja abhinaya), gesture expression(śārīra abhinaya), movement expression(cestākrita abhinaya). Further, Nātya Śastra divides their various usages by parts which include head, glance, eyes, nose, eyelid, cheek, lower lip, chin, mouth, hand, chest, waist, belly, hip. thigh, claf, foot. Besides, it explains diverse ways of foot movement(cāri), standing poses(sthana), gait(gati) and their combined movements(mandala). Many forms of Indian traditional theatre and dance basically follows the rule of āṅgika abhinaya proposed in Nātya Śastra, which identifies their unique characteristic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공연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5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