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나라다의 박띠 수행에 대한 고찰__고전 요가와 대비를 중심으로__ (A Study on Narada's Bhakti-Yoga Forcusing on Classical Yoga)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7 최종저작일 2013.04
26P 미리보기
나라다의 박띠 수행에 대한 고찰__고전 요가와 대비를 중심으로__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인도철학회
    · 수록지 정보 : 인도철학 / 37호 / 35 ~ 60페이지
    · 저자명 : 주명철

    초록

    본 논문은 박띠 종교의 전환점을 이룬 나라다의 『박띠 수뜨라』에 나타난 박띠와 박띠 요가에 대한 연구를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먼저 박띠의 의미를 밝혀보는 것으로부터 시작해, 수뜨라에 나타난 박띠 수행법과 요가 수행이 어떤 관련이 있는지 탐색해 보는 작업으로 이루어졌다.
    먼저 박띠의 정의는 통상적으로 신에 대한 최고의 헌신과 사랑으로 말할 수 있다. 그 박띠의 목표는 불사(amṛ̣ta)이다. 불사는 궁극적 축복에 대한 직접적인 경험이며 시간을 넘어선 영원함을 상징한다. 이것은 곧 Sat-Cit-Ānanda의 경험과 다름없다. 완전한 헌신과 사랑의 실현은 황홀경(ānanda)의 체험이다.
    이어 박띠에는 두 가지 유형이 있다. 낮은 박띠(guṇaī bhakti)와 높은 박띠(parabhakti 또는 sādhya bhakti)이다. 두 가지 박띠의 구분은 자아의식의 유무에 달려있다. 두 가지 박띠의 설정은 나라다가 헌신자로 하여금 세속적인 탐욕으로부터 벗어나 자아의식이 사라진 신에 대한 순수한 사랑(parabhakti)으로의 전환을 이끌어 내고자 한 것이다.
    이러한 순수한 사랑으로 얻어지는 초월적 경험은 다양한 박띠 수행을 통해 이루어진다. 수뜨라는 박띠 수행법으로 경전 공부, 다섯 가지 덕목의 실천, 예배와 찬탄, 완전한 헌신, 신의 은총 등을 소개하고 있다. 이들은 박띠 종교의 통상적인 수행법이기에 요가와는 전혀 관계가 없는 것처럼 보이나 박띠 수행 체계 속에는 빠딴잘리의 금계와 권계, 제감, 응념, 선정, 삼매의 수행법이 적용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나라다는 박띠 수행에 고전 요가의 행법을 적용함으로써 박띠와 요가의 통합을 이루어낸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그는 박띠를 인도 종교사의 중심에 올려놓았고, 이후 라마누자가 박띠 철학을 완성할 수 있는 기반을 완벽하게 다져 놓았던 것이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e treatise is to make a special study of bhakti and bhakti-yoga described in Bhakti-sūtra by Narada who made a turning point of Bhakti religion. First of all, This treatise has been made specifically to explore the interrelation between bhakti-yoga and classical yoga pictured in Bhakti-sūtra, with the start of clarifying the real meaning of bhakti.
    It is said that the definition of bhakti is the highest devotion and love to God. The final aim of bhakti is Amṛ̣ta(immortality). Amṛ̣ta represents the direct experience of the ultimate blessing and eternity rising above time. This is exactly the same with the experience of Sat-Cit-Ānanda. Perfect dedication and realization of love mean the experience of Ānanda itself.
    And there are two types of bhakti. These are guṇai bhakti and parabhakti or sādhya bhakti. The difference between two solely depends on existence or nonexistence of ego consciousness. With these two bhakti, Narada had been trying to withdraw parabhakti to God who was lacking ego, free from the worldly avarice.
    The transcendent experience through pure love can be accomplished by various kinds of practices. Bhakti-sūtra has shown some methods of practices such as cannon study, spiritual cultivation of five ātmaguṇa, bowing and chanting, parabhakti and grace of God, and so on. It apparently seems to have nothing to do with yoga, since these are conventional practices of bhakti religion. But there has been Patanjali's yama and niyama, pratyāhāra, dhāraṇā and samādhi to be applied to yoga practices.
    In a conclusion, It is recognized that Narada has finally achieved the consolidation of bhakti and yoga by applying yoga practices to bhakti practices. He had also put bhakti on the center of history of Indian religions. Since then, Rāmānuja has paved the way to complete the foundation of Indian bhakti philosophy with the help of Narad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도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9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1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