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연극《띨뿌리》에 나타난 소리의 수행성 연구 (A Study on the Performance of Sound in the Play《Ddilpuri》)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7 최종저작일 2025.03
21P 미리보기
연극《띨뿌리》에 나타난 소리의 수행성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예술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예술교육연구 / 23권 / 1호 / 243 ~ 263페이지
    · 저자명 : 김하람, 박형준, 구태환

    초록

    본 연구는 연극 《띨뿌리》에서 나타나는 소리의 수행성을 분석한다. 《띨뿌리》는 2023년 대학로 예술극장 대극장에서 공연된 작품으로, 제44회 서울연극제에서 대상을 포함한 여러 부문을 수상하며 주목받았다. 이 작 품은 매향리 폭격 훈련장의 실화를 바탕으로 하여, 특히, 폭격음과 전투기 소리를 중심으로 연극적 수행성을 창출한 점에서 의미가 크다. 구태환 연출은 무대와 음향 디자인을 활용해 관객이 소리를 몸으로 체험하도록 만 들었다. 극장 내 다양한 위치에 스피커를 배치하여 소리의 방향성과 공간감을 극대화하였으며, 배우들의 발화 방식, 무대 위 현장의 소리, 음향 효과 등이 복합적으로 얽히면서 소리의 물질성을 강조했다. 연극에서 소리는 단순한 의미 전달을 넘어 공간을 창출하고 수행성을 갖는 요소로 작용한다. 미디어와 기술을 통해 시각적 형태 로 변환되기도 하며, 연출가는 이를 활용하여 관객의 감각을 확장하는 피드백 고리를 형성한다. 《띨뿌리》에서 도 폭격 소리는 단순한 효과음이 아니라, 관객의 몸과 감각을 자극하여 공간을 체험하게 만드는 요소로 작용했 다. 즉, 소리는 공연에서 시간과 공간을 생성하며, 관객과 배우 간의 수행적 관계를 형성하는 핵심 매체이다. 본 연구는 《띨뿌리》에서 나타나는 소리의 수행성을 분석함으로써, 현대 연극에서 소리가 단순한 보조적 요소 가 아니라 공연의 핵심적인 의미 생성 장치로 기능할 수 있음을 조명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공연예술에서 소 리의 역할과 가능성을 확장하는 데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analyzes the performativity of sound in the play《Ddilpuri》. 《Ddilpuri》was staged at the Daehakro Arts Theater in 2023 and garnered significant attention by winning multiple awards, includ- ing the Grand Prize at the 44th Seoul Theater Festival. Based on the real-life events of the Maehyang-ri bombing range, the play is particularly significant in its creation of theatrical perform- ativity through the use of bombing and jet engine sounds. Director Koo Tae-hwan utilized stage and sound design to enable the audience to physically experience sound. By strategically placing speakers throughout the theater, the production maximized the directionality and spatial perception of sound. Additionally, the interplay of actors’ vocal delivery, onstage live sounds, and sound effects emphasized the materiality of sound. In theater, sound functions not only as a medium for conveying meaning but also as a performative element that constructs space. Through media and technology, sound can be transformed into visual forms, and directors use these elements to create sensory feedback loops that enhance audience perception. In 《Ddilpuri》, bombing sounds were not merely effects but rather stim- uli that engaged the audience’s body and senses, enabling them to experience space. In this way, sound generates time and space in performance and serves as a crucial medium for shaping the per- formative relationship between actors and the audience. By analyzing the performativity of sound in 《Ddilpuri》, this study highlights how sound functions as a central meaning-making device in con- temporary theater rather than merely serving as a supplementary element. Through this analysis, the study aims to contribute to expanding the role and potential of sound in performing ar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예술교육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0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