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근대 힌두여성과 사띠(Sati) 담론의 형성 (A Study on the Formation of Hindu Women's Discourse on ‘Sati(burning widow)’ in Modern India)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7 최종저작일 2010.08
31P 미리보기
근대 힌두여성과 사띠(Sati) 담론의 형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인도철학회
    · 수록지 정보 : 인도철학 / 29호 / 173 ~ 203페이지
    · 저자명 : 김진영

    초록

    본고는 사띠(Sati, 영어명 Suttee)를 둘러싼 담론(discourse)을 통해 외부의 영국 통치자와 내부의 힌두 바라문엘리트라는 남성의 타자(他者)로 배치되는 근대 힌두여성의 위상을 파악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1987년 루쁘 깐와르의 사띠는 인도여성이 무고한 희생자라는 측면과 위대한 힌두의 승리자라는 양분된 논쟁을 촉발했고, 남성과 여성, 제국과 식민, 서양과 동양이 대립되는 역사 속의 인도여성의 사회적 지위를 알려주었다. 영국지배시에 사띠는 서구식민정책과 지배담론으로 제작되어 인도의 야만적 문화로 규정되었다. 그 과정에서 인도여성은 희생자, 인도남성은 범죄자, 힌두교는 미개한 우상으로 고착되었다. 반면 힌두 근본주의자들은 사띠를 힌두교의 순수한 전통으로 조직하고 신격화시켰다. 사띠담론을 제작한 서구식민지배자들과 힌두근본주의자들 모두 산스끄리뜨 텍스트를 사상적 근거로 활용하였고, 그 전통의 헤게모니를 통해 식민담론과 힌두이데올로기를 강화하였다. 근대의 사띠담론은 서구와 힌두의 남성적 시각에서 논의되었고 아이러니하게도 주체인 힌두여성의 고통은 배제되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tudy have focused on Sati("suttee" in English) and the debates from colonial to postcolonial interpretations. Sati, the immolation of a Hindu widow on her husband’s funeral pyre, is highly controversial practice, which has inspired a scholarly studies in the last twenty years. A ramification of what Foucault calls the collaboration of power and knowledge in the production of discourse is present in the history of Sati in India. As I shows in regard to the religion, hindu law scholars, intellectuals(Brahmin pundits) and Orientalists appropriate the hegemonic ideologies and produce, to the advantage of the dominant class, a certain deformation of the reading of hindu scriptures.
    In this paper, I have three objectives : (1) The origin of suttee is still a subject of debate and the term "Sati" is associated with the Hindu goddess Sati. This custom was more dominant among the warrior communities in Rajasthan and also among the higher castes in Bengal in east India. I should clarify that Sati in Rajasthan is located in a rather different history than Sati in Bengal which is what I have been discussing here. (2) I analysis focused on Sati in colonial india. Sati was prohibited by the British Government in 1829. Regulation XVII of 1829 declared Sati illegal as homicide amounting to manslaughter. I argues that the women was over the civilizing missions of colonialism and evangelism, and the proper role of the colonial state. (3) I discuss how discourse was controlled by the patriarchal structure which inflicted injustice on women. In my view Brahmanical scripture only became a privileged source of tradition because the colonial authorities established it as such in their need for an indigenous legal basis for their rule over Indian society. A genuine Sati could be made by asking Brahman scriptural authorities(pandits) to give a legel opinion on the basis of sanskrit tradition. In this contexts, I also supplement most significant organised female voice against sati during this debate, which presented Sati as a women’s rights to be understood for its ideological as subjects, rather than as victims or goddess(devī). In India, women, due to their position in society have rarely been in the forefront of ideological production, to the effect that the experience and the measures of women were not reflected in the discours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도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6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3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