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우리 사전의 왜곡된 ‘언문’ 뜻풀이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the Unraveling of the Distorted Meaning of the Word ‘Eonmun’)

5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7 최종저작일 2012.12
55P 미리보기
우리 사전의 왜곡된 ‘언문’ 뜻풀이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글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글 / 298호 / 51 ~ 105페이지
    · 저자명 : 홍현보

    초록

    ‘언문(諺文)’이란 말은 훈민정음 창제 때의 기록에서부터 나타나는 말인데, 그동안 국어학계에서 그 뜻에 대하여 많은 논란을 가져왔음에도 아직까지 명확한 정의를 내리지 못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우리말 사전에서 그 뜻풀이가 점점 왜곡되었음을 파악하였다.
    이 글은 우선 언문이란 말의 올바른 뜻풀이를 규명하고자 1차적으로 창제 시기의 <조선왕조실록>과 <훈민정음>의 기록을 살펴보았고, 아울러 15세기부터 19세기 말, 20세기 초까지의 문헌과 자료를 찾아 사용 실태를 살펴봄으로써 글 가운데에서 ‘언’과 ‘언문’의 쓰임새를 검토해 보았다. 이를 통해 왜곡된 풀이 ‘諺: 상말 언’의 발단이 어디였는지를 규명하고, 왜곡된 풀이의 근본 원인이 한자말 ‘언(諺)’의 뜻을 정확히 알지 못한 데 있음을 밝히기 위하여, 중국과 일본의 사전 풀이와 그 출처를 찾아 비교해 보았다. 이를 토대로 그동안 몇 차례에 걸쳐 달라진 ‘언문’의 뜻과 그 시대적 배경을 분석함으로써 오류를 바로잡아 우리 사전의 올바른 뜻풀이가 이루어지는 데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영어초록

    In order to accurately understand the word ‘Eonmun(諺文)’, Hunminjeongeum Haeryebon(with commentaries; Hunminjeongeum annexed with interpretations and examples), records of annals, interpretations of Chinese and Taiwanese dictionaries and the source of the literature were examined. As a result, the Chinese character ‘Eon(諺)’ was found to have originally been signified as a “word that people casually exchanged rather than a recorded word. In order words, unrecorded words of ancient sages, words before the recorded time, or words that were passed down orally”. Especially in China, the word ‘Eonmun’ was never used because the recorded form of ‘Eon’ was considered ‘Mun(文)’. The word ‘Eonmun’ was first introduced as King Sejong created Hunminjeoneum because not only was it the characterthat delivered the significance of the Chinese words, but also it was the most appropriately fitting word to ‘Eon’ as it described the major characteristics of Hunminjeongeum, that materialized the sounds of letters. Therefore, instead of calling it the name, it was mostly understood with the word ‘Eonmun’. People had used the word without even knowing the name Hunminjeongeum. Furthermore, Korean people who used the word ‘Eon’ without accurate understanding of the definition explained in the back of Jajeon [Chinese character etymology book] or at Seodang [Korean village schools] that ‘Chinese characters are excellent letters that enable the learning of Confucius while Eonmun is peasant’s letters that only peasants learn’presumably emphasizing the class discrimination by upper class based on blind authoritarianism and toadyism. Such incorrect interpretation of the word is not found in the annals of Joseon Dynasty.
    Meanwhile, as a result of examining Korean dictionaries and Jajeon in the order of published dates, a change was discovered that the Chinese definition was maintained until the word was interpreted as ‘peasant’s language’ in the Korean Etymological Dictionary(1966) further distorting the word as ‘vulgar language, vulgarism, written form of abusive language’. These definitions retained the significance of ‘vulgarism’ as the meaning further continued to be distorted in the 20th century, slowly losing the new meaning of ‘the language that referred to written words of people’s language after the creation of Hunminjeongeum’ and the original meaning of ‘sounding letters that recorded words that were exchanged and passed down among people, in other words, referring to Hunminjeongeum’. Fortunately, it is known that the North Korean dictionary has profoundly interpreted the word ‘Eonmu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6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