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가족의 재건을 통한 상처 치유의 가능성 고찰 - 김영하의 소설 <오빠가 돌아왔다>와 양익준의 영화 <똥파리>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ossibility of Trauma-Solving through the Family Reconstruction - Focusing on Kim, Young-ha's and Yang, Ik-joon's the Film -)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7 최종저작일 2011.04
29P 미리보기
가족의 재건을 통한 상처 치유의 가능성 고찰 - 김영하의 소설 &lt;오빠가 돌아왔다&gt;와 양익준의 영화 &lt;똥파리&gt;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학치료학회
    · 수록지 정보 : 문학치료연구 / 19권 / 213 ~ 241페이지
    · 저자명 : 곽상인

    초록

    본고에서는 김영하의 <오빠가 돌아왔다>와 양익준의 영화 <똥파리>를 통해 가족 재건과 이를 통한 인물들의 상처 치유 가능성을 고찰해보았다. 두 작품은 기본적으로 가족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으며, 가족 내에서 인물들이 치열한 갈등(싸움)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갖고 있었다. 또한 해체의 위기에 직면한 가족을 해체 이전의 상태로 돌려놓음으로써, 인물들이 상처를 극복하고 보다 바람직한 정상가족의 형태를 획득하게 될 것이라는 희망의 메시지도 읽어낼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을 위해 먼저 가족의 해체 위기를 야기한 가정 내 폭력성을 살펴보았다. 가족 구성원 중에서 특히 아버지가 보여주었던 폭력성은 정신적 외상과도 맞먹는 충격으로 가족들에게 내재화되었다. 그래서 이를 부정하거나 대항하는 세력으로 아들들이 등장하여 아버지의 권력을 전복시키고자 했다. 아버지의 권력을 아들이 빼앗았지만, 부모의 부재는 가족 구성원들에게 항상 결핍된 존재라는 심리를 안겨주는 계기가 되었다.
    이와 같은 비극적 현실을 긍정적으로 만들기 위해 <오빠가 돌아왔다>에서는 ‘가족 재건’을, <똥파리>에서는 ‘유사가족의 형성’을 대안으로 제시했다고 볼 수 있다. <오빠가 돌아왔다>에서는 모성의 귀환을 통해서 인물들이 혈연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되고, 가족의 재건이 자신들의 상처를 치유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는 점을 살펴볼 수 있었다. 반면에 <똥파리>에서는 ‘가족’이 타인과의 유대관계를 형성하는 데 걸림돌이 되었기에, 상처를 치유하는 데 유용한 공동체로 유사가족이 제시되었다. 이로써 인물들은 자신들에게 상처를 준 혈연으로부터 벗어날 수가 있었는데, 여기에는 안타깝게도 상훈의 희생이 따랐음을 알 수 있었다.

    영어초록

    With Kim, Young-ha's <My brother came back> and Yang, Ik-joon's the Film <Breathless>, I studied on the family reconstruction and the possibility of characters’ trauma-solving through it. Both works above deal with a family story. And they have similarity on fierce conflict among the family members. Furthermore, you can see the sign of hope that the characters would get over their pain and be reunited as a desirable image of family returning the critical family to its old conditions.
    For this study, I looked on the violence in the family which caused its breakup crisis first. The father’s violence, especially, colored other family members with huge impact such as trauma. Thus, his sons, as resistance to their father, try to subvert his power. Even though they take his power, the absence of the parents brings lack in something to the family members.
    To make this tragic reality positive, <My brother came back> suggests ‘family reconstruction’ while <Breathless> suggests ‘development of similar family.’ In <Mt brother came back>, the return of motherhood makes characters to realize the importance of blood relation, and the family reconstruction tips the balance in healing their pain. On the other hand, in <Breathless>, the similar family is presented as a useful community for healing because the family has been an obstacle to have relationship with others. With this, characters can free themselves from their ties of blood that hurts them. However, unfortunately, it is followed by Sang-hoon’s sacrifi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학치료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5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