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카오스모스 시학과 김지하 담시의 구조형성방식 - 「蜚語」와 「똥바다」를 중심으로 (Chaosmos poetics and Kim Ji-ha's lay structure-forming method)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7 최종저작일 2009.04
28P 미리보기
카오스모스 시학과 김지하 담시의 구조형성방식 - 「蜚語」와 「똥바다」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제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국제어문 / 45호 / 140 ~ 167페이지
    · 저자명 : 김난희

    초록

    본고는 김지하 담시의 구조형성 방식을 카오스모스 시학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여기서 언급하는 카오스모스 시학이란 현대시학이 추구하는 다의성의 본질을 이해하기 위해서 현대 과학이 다루고 있는 우연성, 불확정성, 개연성, 애매모호함, 다가치성 등을 예술에 접목시켜 시학적 지평을 학제간의 영역으로 넓혀보고자 하는 방법론이라 할 수 있다.
    카오스와 복잡성에 대한 현대 과학의 발전은 하나의 시학을 가능하게 하는데, 그것은 불연속성, 복잡성, 자기 조직화 이론으로 대변되는 카오스모스 시학으로 문학 텍스트의 복잡성과 밀도, 결 등을 은유적으로 살펴볼 수 있는 하나의 도구가 될 수 있다. 이는 김지하 시인 스스로가 담시 발표 이후 꾸준히 카오스모스와 자기조직화의 시론을 내세우며 민중의 노래(민요와 판소리, 각설이 타령, 배뱅이 굿 등)가 대표적인 카오스모스와 자기 조직화의 사상을 보여주는 예술장르라고 밝힌 점과도 일치 한다.
    본고에서 민중 문학이 현실을 반영하는 지시적 코드로만 평가받았던 연장선에서 벗어나 김지하 텍스트에 대한 시학적 접근의 도구로 카오스모스 시학을 택했던 것은 김지하의 담시 텍스트가 지니고 있는 지시성과 애매성, 복잡성, 다층성 등을 동시에 살펴볼 수 있다는 점에 주목했기 때문이다. 이는 김지하 담시에서 감지되는 혼돈과 질서, 질서와 혼돈이라는 역설적 정합의 미학을 시학적 차원에서 규명해보고자 하는 작은 시도라 할 수 있다.
    <불연속성과 복잡성>, <자기 방해의 패턴>, <자기조직화의 원리>로 대표되는 카오스모스 시학을 통해 살펴본 김지하 담시는 불연속성과 복잡성의 조우를 통해 선형적이고 직선적인 줄거리로부터 벗어난 것처럼 보이지만 나름대로의 질서를 형성하면서 전체성에 복무하고 있는 다층성을 지니고 있다. 이는 ‘혼돈 속의 질서’라는 역설적 정합 과정을 통한 담론의 조직화로, 기왕의 민중 문학이 지녀왔던 단성성의 한계를 뛰어넘는 새로운 시적 창조를 보여줌과 동시에 오히려 메시지를 한층 더 강화해내는 효과를 낳고 있다.
    또한 모순 어법을 통해 모순적인 의미의 충돌과 혼합을 통한 언어의 테크닉을 보여주고 있는데, 이는 풍자의 결을 다층적으로 보여주는 효과를 낳고 있다. 이는 서로 다른 언어의 이질성이 융합되어 제 3의 의미를 생성해내는 시 담론의 조직화 방식으로도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텍스트의 다의미성은 형성되며 독자들은 당시의 시대 상황을 다층적으로 지각하게 된다. 아울러 담시를 이루고 있는 각각의 분리된 이야기는 스스로 자기 조직화를 꾀하면서 더 넓은 영역 안에서 통합되고 있는데, 그것은 마치 단순한 것들이 에너지를 이용해 결합하면서 복잡한 것으로 변해가는 자기 조직화 논리와 맞닿은 것으로, 우연적 요소가 필연적 기제로 작동을 하고 있는 것이다. 그 안에서 각각의 요소는 불연속성과 복잡성이라는 상호 교호 작용을 통해 자기 조직화를 이루어내고 있다.
    이에 따라서 김지하 담시 텍스트에서 그동안 읽혀왔던 지배/ 피지배, 억압/피억압, 권력층/민중의 이분법적 대립 구도는 이러한 분리와 결합의 간섭과 충돌 과정을 통한 열림과 닫힘의 끊임없는 언어적 실험으로 다시 읽을 수 있는 것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intends to explore into the Kim Ji-ha's lay structure-forming method in terms of "chaosmos poetics". The chaosmos poetics refers to a method that integrates the accidentality, indeterminacy, probability, ambiguity and muti-valuableness which modern poetics addresses with art and attempts to expand the poetics horizon to the interdisciplinary sphere in order to understand the essence of the equivocality which modern poetics seeks.
    The development of the modern science on chaos and complexity made one poetics possible, which could be a tool which would metaphorically look to the complexity, density and texture of literary texts with a chaosmos poetics represented by discontinuity, complexity and self-organization theories. This coincides with an assertion that poet Kim Ji-ha has claimed that popular songs("minyo", or folk song, "pansori", or traditional Korean narrative song, "gakseolitaryeong" or singing beggar's ballards and "Baebaengi gut", or Baebangi's shaman ritual, etc) are the art genre showing the thought of the representative chaosmos and self-organization while steadily promoting the poetics of chaosmos and self-organization since the release of the self- proclaimed narrative poetry.
    In this study, the reason why I chose the chaosmos poetics as a tool for the poetic approach to Kim Ji-ha texts, deviating from the prolongation that has been only evaluated as a reference code which popular literature reflects reality is because I looked to a point that I could simultaneously examine the reference, ambiguity, complexity and multi-layeredness which his lay texts carry. This could be a little attempt that tries to explore into the paradoxically thesis-antithesis aesthetics of chaosmos vs order and order vs. order which is sensed in Kim Ji-ha lay from the perspective of poetics.
    The Kim Ji-ha lay which were investigated via chaosmos poetics represented by "discontinuity and complexity", "self-obstructive pattern", and "self-organization principle", seem to be deviated from a curved and linear storyline via an encounter of discontinuity and complexity but have their-own multi-layeredness that both shapes order and serves to wholeness. This is both an organization of the lay via a paradoxical thesis-antithesis process of the so-called "order in chaos" and a mani -festation of the new poetic creation beyond the limit of the unisexuality which the past popular literature held, simultaneously giving rise to an effect that enforces a message much more.
    And Kim Ji-ha lay show a language technique through the conflict and mix of contradictory meanings via a oxymoron, which brings about an effect that demonstrates the texture of satires in a layeredness way. It would be a poetic lay-forming way which generates the third meanings as a result of the heterogeneity of different languages being converged each other. Thus, the multi-meaningfulness of the text is formed and readers perceive their contemporary multi-layered circumstances. Further, the differently separate stories which consist of a lay seeks a self- organ -ization on their own and are integrated into a wider sphere, which is connected to the logic of the self-organization of as if simple objects are combined each other by using an energy and transformed into a complex thing, accidental elements functioning as a necessary mechanism. As it were, each element seeks a self-organization via an interaction of discon -tinuity and complexity in the mechanism.
    Hence, the dichotomical confrontation scheme of the ruling/the ruled, the suppressing/the suppressed and power class/the populace that have been read in the Kim Ji-ha lay texts thus far would be newly read with a ceaseless language experiment of opening and closing via the inter -ference and conflict of such separation and combin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국제어문”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4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