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20세기 마을어장의 변동과 전통적 어업공동체 ‘똠’의 지속 -흑산군도를 중심으로- (The change of a village’s fishing ground in the 20th century and sustenance of the fisheries community, “Ddom” -Centered on Heuksan archipelago-)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7 최종저작일 2016.12
38P 미리보기
20세기 마을어장의 변동과 전통적 어업공동체 ‘똠’의 지속 -흑산군도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남도민속학회
    · 수록지 정보 : 남도민속연구 / 33호 / 97 ~ 134페이지
    · 저자명 : 송기태

    초록

    본고에서는 흑산군도의 전통적 어업공동체 ‘똠’을 주목하여 그 현황과 운영형태를 파악하고, 20세기 마을어장의 변동 속에서 적응해 온 과정과 현재의 위상에 대해 논의하였다. 먼저 흑산군도의 마을마다 존재하는 해조류 공동채취조직 ‘똠’의 전반적 현황에 대해 파악했다. 똠은 마을마다 2~4개 정도가 있어서 마을어장의 일정 구간을 구분하여 똠 단위로 해조류를 채취하고 있다. 과거에는 대부분의 해조류를 공동채취 하였으나 현재는 미역만 공동채취하거나 추가로 톳․김 정도만 공동채취 하는 곳이 많다. 각 똠마다 금장이 있어 수시로 어장을 관리하고 채취 시기가 되면 작업날짜와 방법을 지시한다. 해조류 채취를 하는 날이면 각 가정마다 1~2명씩 참여하여 똠이 관할하는 갱번에서 해조류를 채취하고, 전체 채취량을 동일하게 분배한다. 똠의 역사성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알 수 없지만, 최소한 20세기 이전부터 마을어장의 전통적 어업공동체로서 존재해왔던 것으로 추정된다.
    마을어장은 20세기 초 근대어업제도가 성립되면서 변동에 처한다. 1908년의 한말 「어업법」과 1911년 일제강점기 하의 「어업령」은 마을어장에도 영향을 끼친다. 조선시대까지 사점과 총유가 공존하던 마을어장은 「어업령」의 전용어업제도 도입 이후 형식적으로나마 총유의 공간이 된다. 이때 전국의 어장을 면허와 허가, 신고, 계출 등으로 관리하면서 마을어장의 경계를 획정하기 시작했다. 마을을 넘나들며 해조류를 채취하던 주민들은 20세기 초 관의 주도하에 해안가 지선을 구획한다. 이와 관련하여 대둔도․다물도의 4동 경쟁이나 중죽도 분쟁, 홍도 이장들의 나룻배 경주는 20세기 초 해안가 지선 획정의 현장 사례로서 중요하다고 하겠다. 흥미로운 것은 마을 간의 경계를 획정하면서 ‘똠’의 경계도 세밀하게 구분한 점이다. 주민들의 구술과 당시의 정황을 고려할 때, 전통적 어업공동체로서 ‘똠’이 느슨한 공동체로 존재하다가 20세기 초 지선 경계가 획정되면서 좀 더 공고한 공동체로 변모한 것으로 추정된다.
    마을어장은 1960년대 어촌계가 등장하면서 또 한 번의 큰 변동을 겪는다. 수산단체의 체계를 ‘수협중앙회-지구별수협-어촌계’로 관계로 일원화하기 위해 수협법을 제정하고, 그 과정에서 마을단위 어업공동체인 어촌계를 일제히 설립한다. 이때부터 어촌계는 마을어장의 공식적인 대표기구가 되어 마을의 어업 전반을 관할하기 시작한다. 50여년이 지난 지금 어촌계는 성공적으로 정착했다고 할 수 있는데, 어촌의 실제를 들여다보면 여전히 전통적 어업공동체가 존립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흑산군도의 경우 21세기 현재, 마을회-어촌계-똠이 각자의 기능과 역할을 나누어서 마을어장을 관리․운영하고 있다. 똠이 존속할 수 있었던 것은 오랜 기간 해조류 공동채취를 관할하면서 효율성을 구축했고, 똠이 마을공동체와 불가분의 관계로 묶여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흑산군도에서는 마을회에서 어업 전반을 총괄하고 똠은 해조류 채취를 담당하며, 어촌계는 공유수면에서 개인의 투자가 필요한 양식어장 등을 담당하면서 공존하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영어초록

    The study is to figure out the operation and status of a traditional fisheries community in Heuksan archipelago “Ddom”; and this study is also designed to discuss the process that the traditional fisheries community is adapted to the changed fishing ground in the 20th century.
    There has been a traditional fisheries community, called “Ddom”, in Sinan-gun, Jeollanam-do, Korea. Ddom is a community to share the jobs from looking after wild seaweeds to harvesting and distributing them. Each village has two or four Ddoms which enables the people to divide fishing grounds into several sections and allocate each Ddom a section to harvest seaweeds. And each Ddom has a manager; they are responsible for maintaining the fishing ground and informing the members of Ddom of the schedule for the harvest and distribution as well as the method. When it is time to harvest seaweeds, one or two memebers from each household participate in the community work-to harvest seaweeds in the Ddom, and then the total amount of seaweeds is equally distributed to each household. The beginning of Ddom is unknown; however, it is estimated that it has existed as a traditional fisheries community before the 20th century. The villages’ fishing grounds started to be changed due to the establishment of the fishery management system in the early 20th century. <the Fishery Law> in the end of Joseon Dynasty in 1908 and <the Fishery Act> under the control of Japan in 1911 had an impact on the fishing grounds in villages. From that time, fishing grounds all over the country started to be appointed as a chartered fishery, permitted fishery, or free fishery; and this determines the boundary of the fishing ground of each village.
    As the residents harvesting the seaweeds regardless of the villages divided the coastal zones of each village under the supervision of the government in the early 20th century. In the process, the coast in Heuksan archipelago was also divided into the coastal zones, and the current coastal zones were defined through the course of dispute and agreement.
    For instance, the heads of the two villages adjacent to Hongdo Island drove the boats and defined the point in which they met as the local coastal zone; and the local coastal zones of Daedundo Island, Damuldo Island were decided by the representatives and local government officials of villages.
    The interesting aspect of this process is that the boundary of Ddoms was classified in detail as the local zones were determined. Considering the oral statement given by the residents and the circumstance at that time, it is assumed that the traditional fisheries community, “Ddom” had been a relatively flexible community before the local coastal zones were determined in the early 20th century.
    The systems of villages’ fishing grounds were subject to a massive change due to the advent of fishing village societies in 1960s.
    In order to unify the marine products associations as “National Federation of Fisheries Corperatives”, “National Federation of Fisheries Cooperatives”, and “Fishing Village Societies”, the Fisheries Cooperative Act was established in 1962.
    In the course of establishing the act, the fishing societies, the villages’ fisheries communities were also founded.
    Since then, fishing societies started acting as official organs to operate villages’ fishing grounds and supervising the fishing industry. In addition, it can be said that the current fishing societies are successfully settled 50 years after the establishment; Yet, there are still traditional fisheries communities in the fishing villages.
    When it comes to Heuksan archipelago , the village fishing grounds are currently supervised and maintained by the village hall, fishing societies, Ddoms, and the each organ has their own function and responsibility. What sustains Ddoms is that the communities function effectively by sharing the jobs to harvest seaweeds for a long time and are indivisible with the village communities. The village hall and fishing society collaborate each other in Heuksan archipelago; the village hall is in chare of supervising the fishing business and harvesting seaweeds, and the fishing society takes a role in managing fish farms belonging to public waters and requiring the private investm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남도민속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6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4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