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프랑스 현대철학자들의 사상에 나타나는 똘레랑스 정신 (The Spirit of Tolerance in Modern French Philosophers)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7 최종저작일 2016.01
30P 미리보기
프랑스 현대철학자들의 사상에 나타나는 똘레랑스 정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가톨릭대학교 인간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인간연구 / 31호 / 83 ~ 112페이지
    · 저자명 : 이명곤

    초록

    세계화, 다원주의 등으로 대변되는 현대사회는 그 어느 때보다 소통과 일치에 대한 요청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요청들은 자칫전체주의나 이데올로기에로 나아갈 위험이 있는 것도 사실이다. 즉 현대문명은 인류가 하나 되는 공동체적 문화를 형성하고자 하는 바람과주류문화가 소수문화를 지배하는 이데올로기에 대한 두려움이라는 하나의 이율배반적인 요소를 안고 있다. 이러한 모순을 해결하고자 하는노력들은 현대 프랑스 철학자들의 정신에서 잘 나타나고 있는데, 우리는 이를 똘레랑스의 정신이라고 부를 수 있다. 똘레랑스(tolérence)란나와는 다른 타자의 ‘다름과 차이’를 관용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논문에서는 가브리엘 마르셀, 레비나스 그리고 시몬느 베이유의사상에서 그들 사상의 정신적이 지반처럼 나타나는 똘레랑스의 정신을 밝히고 있다. 가브리엘 마르셀의 사상에서는 “상호주관성(intersubjectivité)” 의 개념을 통해서 이를 밝히고 있는데, 그에 의하면 모든인간은 인간이라는 이유만으로 서로 교차되고 공통되는 상호적-주관성을 지니고 있으며, 보다 자기중심주의에서 벗어날수록 자기존재에더 잘 진입할 수 있다. 이러한 정신은 똘레랑스를 실천할 수 있는 근거가 된다. 그리고 레비나스에 의하면, 신은 그 자체 절대적인 초월성을 의미하기에 신에 대한 추구는 곧 ‘이웃에 대한 관심’으로 나타나고,‘타자’는 ‘나의 동일성’을 형성하게 하는 계기가 되기에, 각자는 서로에 대해서 무제약적인 책임성(résponsabilité)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사유는 결국 진리를 산다는 것은 타자에 대한 무조건적인 책임을 껴안는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그 자체 똘레랑스의 실천으로 나타난다. 시몬느 베이유에 있어서는 인격형성의 원리로서의 “뿌리내리기(Enracinement)” 란 자신을 둘러싸고 있는 일체의 것, 도덕적, 지성적, 영성적인삶의 거의 총체적인 것을 수용하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베이유에게있어서 나의 인격형성에 있어서 배척하거나 외면할 것은 아무것도 없으며, 인간에 대한 무조건적인 사랑을 촉구하고 있다. 이러한 형태의삶은 ‘똘레랑스’의 가장 완성된 형식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이들의 똘레랑스 정신은 현대의 유럽공동체를 건강하게 유지하게 하는 하나의 원동력이 되고 있다.

    영어초록

    In society that is characterized by words such as globalization, and pluralism, we require ever more communication and dialogue But this requirement carries the risk of moving toward a totalitarian ideology. In every modern civilization, there is a paradox arising from the contradiction where people desire a culture of community that makes for a united people, while also fearing risking of the minority culture by the dominant culture. Efforts to resolve this contradiction appear often in the discourse of modern French philosophers, which we call “the spirit of tolerance.” The word “tolerance” means to tolerate the distinctions and differences in others.
    In this article, we try to reveal the basis of the spirit of tolerance of Gabriel Marcel, Levinas, and Simone Weil. First of all, in Gabriel Marcel the concept of inter-subjectivity claims that every man has a subjectivity that is common and crosses to each other by the same human condition.
    The more man moves away from self-centeredness, the more he can come into his own. Next, according to Levinas, because God appears to us as absolute transcendence, the presence of God should appear as close as to our neighbors. And since the other is, for me, motivation by which I have my identity, everyone has a responsibility for the other. For Leivinas, to live the truth is to have an unconditional responsibility to others and this means the practice of tolerance. Finally, with Simone Weil, the notion of rooting as the principle of formation of the person means to receive everything that encompasses us: things cultural, moral, spiritual, etc. For Weil, then, in the course of the formation of personality, there is nothing we should turn away from and reject. This requires us to love all people unconditionally. This spirit of tolerance is the foundation that supports the European community toda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5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