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도상학의 종말 혹은 또 다른 시작?: 서양 중세미술을 중심으로 본 도상해석학의 연구동향 (End of Iconology? Introducing New Trends of Iconography in Studies of Medieal Art)

5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7 최종저작일 2010.10
50P 미리보기
도상학의 종말 혹은 또 다른 시작?: 서양 중세미술을 중심으로 본 도상해석학의 연구동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미술사와 시각문화 / 9호 / 222 ~ 271페이지
    · 저자명 : 최경희

    초록

    도상학과 도상해석학의 도입과 발전상황을 16-18세기 고문화애호가의 입장, 19세기 에밀 말을 대표로 전개된 친(親)카톨릭 도상 연구, 20세기 파노프스키를 중심으로 문화의 징후를 읽으려는 복합적인 작업 등으로 나누어 살펴본다. 기독교 미술을 중심으로 하여 서양 중세와 르네상스 미술에서 많은 영향력을 미친 도상학이라는 방법론이 1980년대 이후 신미술사를 비롯, 기호학, 신역사주의, 포스트모더니즘 등의 새로운 정치적, 철학적 사조와 함께 어떻게 변모되어 왔는지 앞으로 나아갈 뱡향은 어떠한지, 비서양미술 연구에서는 얼마나 유용한 도구인지 모색해 본다.

    영어초록

    Studies in iconography and iconology have been a tradition in art history since the early twentieth century. Focus on the scholarship of medieval art reveals changing approaches from the Christian iconography of Adolphe Napoleon Didron and Émile Mâle to the more scientific method of the Warburg school typified by Panofsky and Saxl. As a methodology, iconology has been criticized for its inadequate attention to the social and political conditions surrounding works of art, and can be exemplified by such Panofsky contemporaries as Henri Focillon and Meyer Schapiro who remained detached from iconographic scholarship. A group of art historians whom Schapiro dubbed the“New Vienna School”attempted to present a more sophisticated structure behind scattered works of art combining the legacies of iconology and style.
    Concomitant with a study of style in art history, iconology has become an indispensable tool for the study of visual arts. Thanks to systematic iconographic databases compiled by German, French, and American academic institutes, a large corpus of artworks and supporting documents have been classified and identified, initially with prints and more recently with digital photographic files. Nonetheless, decorative artworks or anonymous works with few written documents have not been given adequate analysis.
    With the rise of new art history in the 1980s, art historians began to take a more careful look at presumptions of art history in its practice and methodologies,including ideological views of the founding fathers of the discipline. Contemporary scholars of medieval art are not completely cut off from iconographic tradition. Although they do not explicitly call themselves iconologists, they practice a more intricate form of iconology in my estimation.
    In the new trends of art history, one of which is most effectively represented in Michael Camille’s scholarship of medieval art, researchers attempt to interpret visual experiences of the illiterate, uneducated, underprivileged,and even those persecuted by elite members of society. They incorporate many critical perspectives stemming from, but not limited to,semiotics, reception theory, social history, identity politics, and gender studies into interpretations of medieval artworks, adding more vivid and inclusive views of those who ordered, made, learned from, at times enjoyed decorated monuments, and at times suffered from powerful languages of art in pre-modern Western Europe. In order to accomplish these goals, they have also had to absorb new findings and theories in the related disciplines of the classics, literature, hagiography, and philology in addition to newer fields such as social history, economic history, film studies,gender and sexuality studies, and linguistics, to name a few. What is still crucial in Panofsky’s iconology, in my view, is the“synthetic intuition”of a researcher capable of grasping a more copious amount of knowledge than in the 1930s and sensitive to his/her own epistemological backgroun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술사와 시각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1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