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赫齋 徐鎭英의 「讀金澤榮文隨筆」에 대하여- 滄江을 바라보는 또 하나의 시각- (A study on Hyukjae Seo-Jinyoung' 「讀金澤榮文隨筆」)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7 최종저작일 2018.06
39P 미리보기
赫齋 徐鎭英의 「讀金澤榮文隨筆」에 대하여- 滄江을 바라보는 또 하나의 시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우리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漢文學報 / 38권 / 91 ~ 129페이지
    · 저자명 : 김승룡

    초록

    이 글은 赫齋 徐鎭英이 쓴 「讀金澤榮文隨筆」자료를 소개하고, 그 안에 담겨있는 논제들을 들추어냄으로써, 비판자의 시각에서 창강 김택영의 학문과 사상을 조망할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준비되었다.
    혁재 서진영(1886~1929)은 자가 明玉, 호는 赫齋, 본관은 利川이다.
    艮齋 田愚의 문인이다. 그의 저서인 赫齋遺稿 (2책) 유일본이 김해 월봉서원에 소장되어 있다. 그의 저작 가운데 「讀金澤榮文隨筆」이 있다.
    혁재는 창강의 韶護堂集 을 읽은 뒤, 13개의 조목으로 자신의 의견을개진하고 있다. 그 내용을 요약하면, 첫째, 道心과 四端, 人心과 七情.
    둘째, 敬과 誠, 그리고 物, 셋째, 本과 末, 所厚와 所薄. 넷째, 대학 의格物/ 중용 의 工夫/知와 行. 다섯째, 儒道의 有用과 성인의 마음, 여섯째, 창강의 처신과 예법 등이다.
    혁재는 주로 창강의 성리설 이해에 대하여 비판을 하고 있다. 이는주로 문학적 차원에서 창강을 바라보았던 시각을 반성할 기회를 제공한다. 그의 시각은 창강을 ‘밖’으로부터 재차 점검할 것을 환기시켜준다는 점에서 오히려 의미가 있다. 간재학파들 뿐 아니라 근대기 지식인들은 창강을 두고 혹은 비판하고 혹은 우호적 진술을 하였다. 이들을공히 살펴보면서, 창강의 당대 지성사적 위치를 객관적으로 비정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학문으로서의 창강학’을 준비하는 것이 우리의과제라고 생각한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is to introduce the material of 「讀金澤榮文隨筆」by Seo Jin-young. And I want to present the issues in it. Through this, I tried to read the possibility of seeing Chang-gang Kim Taek-young's studies and ideas from the perspective of critics.
    Seojeon-yeong (1886 to 1929), another name is Myougok, nickname is Hukyjae, and the family clan is Icheon. He is a student of Kanjae Cheonwoo.
    His book, titled "Hyukjaeyugo'' (2 books), " is housed in Wolbong Seowon in Gimhae. He read the Changgang' 「Sohodangjip」and compiled his opinions into 13 items, calling it "讀金澤榮文隨筆". The summary is as follows. First, 道 心 and 四端, 人心 and 七情. Second, 敬, 誠, and 物. Third, 本 and 末, 所厚 and 所薄. Fourth, ' 格物, ' 工夫, 知 and 行. Fifth, confucsm' 有用 and the hearts of the saints. Sixth, the conduct and etiquette of Changgang.
    He is mainly critical of his understanding of the 性理 theory of the Changgang. This provides an opportunity to reflect on the perspective of Chang-gang, which was viewed primarily from a literary perspective. His view is rather meaningful in that it encourages the re-examination of the Changgang from the outside. Early modern intellectuals, including the Ganjae school, criticized or praised the Changgang. While taking a fair look at them, the intellectual and historical position of Changgang should be objectively unstructured. Our task is to prepare for "the Changganghak as a stud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漢文學報”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7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