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추천석사논문] 페미니스트의 돌봄—문화정치학 -무크지 『또 하나의 문화』를 중심으로 (The “Care-Cultural” Politics of Feminists : Focusing on the Mukeuji(Magazine-book) “Alternative Culture”)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7 최종저작일 2022.10
36P 미리보기
[추천석사논문] 페미니스트의 돌봄—문화정치학 -무크지 『또 하나의 문화』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상허학회
    · 수록지 정보 : 상허학보 / 66권 / 515 ~ 550페이지
    · 저자명 : 윤조원

    초록

    본고는 여성주의 문화 운동 단체 ‘또 하나의 문화’(또문)이 발간한 무크지 『또 하나의 문화』(1985~2003)와 그 실천 활동을 중심으로 상호의존적 관계에 기반한 대안 공동체를 상상했던 페미니스트의 돌봄—문화정치를 규명하고자 했다. 본고는 또문이 도모했던 글쓰기 운동과 어린이 캠프, 공동육아와 같은 문화 실험 속에서 ‘돌봄’이 문화정치로 태동하고 있었다고 보고, 그 해체와 재구성의 과정을 추적하고자 했다. 1980년대의 초기 또문은 ‘다음 세대’를 위한 성평등 문화를 일상 속에서 이룩하고자 여성의 (재)생산 현장을 공론화하고 ‘살림’의 가치를 재인식하며 혈연가족주의를 넘어 공동체적 차원에서 돌봄을 사유하고자 했다. 계몽의 대상으로 인식되었던 주부는 대안 동화 운동과 어린이 캠프를 통해 학부모로 발견되며 점차 새로운 문화 정치적 주체로 거듭났으며, 그 연장선상에서 시도된 공동육아 운동은 돌봄 공동체를 위한 실천이었다. 그처럼 돌봄을 여성과 가정으로부터 탈각시키고 ‘다음 세대’를 위한 문화정치로 전유하고자 한 또문은 1990년대부터 상호의존적 관계에 기반한 출판 생활 공동체가 되어가며 균열과 한계를 마주했다. ‘새로 쓰기’라는 자기 서사 기획을 내세운 또문은 상호돌봄에 기반한 여성들 간의 유대를 공고했을 뿐 아니라 문화적 주체로서의 청소년과도 연대하며 상호의존적 돌봄을 실천했다. 마을 공동체에 대한 상상으로도 연계되는 이러한 행보는 당사자성에 머물렀다는 혐의와 함께, 이성애 가족주의에서 벗어나지는 못한다는 한계를 내포하고 있었다. 그러나 바로 이러한 균열을 통해 오늘날의 또 하나의 문화‘들’은 출현한 것이었다.

    영어초록

    This study attempts to investigate the “care-cultural” politics of feminists by analyzing Mukeuji(Magazine-book) “Alternative Culture”(1985~2003). From becoming a community based on women’s self-narrative to organizing feminist children’s camp, curating alternative fairy tales and involving in communal childcare cooperative, ‘Alternative Culture’ pursued interdependent kinships outside the traditional family reproduction system. This study therefore claims the emergence of feminist “care-cultural” politics as the crux of ‘Alternative Culture’, tracing how the concept of care was culturally challenged and reconstructed through “Alternative Culture”. In the 1980s, “Alternative Culture” publicized the (re)production site of women and rediscovered the value of “living”(housekeeping). In order to cultivate a feminist culture for the next generation in daily life, “Alternative Culture” extricates care from women and family and conceives it as public ethics. Housewives, perceived unenlightened even amongst feminists, were rediscovered as a cultural, political subject in this process. In the 1990s, “Alternative Culture” encounters its limitations as it began to function as an intergenerational, interdependent “care-cultural” network. Successfully encouraging personal narrative writing through special issues to ‘rewrite’ culture, ‘Alternative Culture’ paved a way for intergenerational feminist solidarity including youth. Care, now outstretched beyond traditional kinships, was being practiced in diverse interdependent relationships. However, whilst ‘Alternative Culture’ ultimately sought to form a village community, young feminists’ demand to rethink familial relationship eventually disclosed the heteronormativity that was being persisted. Yet it was from these tensions that feminist alternative culture‘s’ emerg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허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2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