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여성주의 리얼리즘’의 문화정치학 – 『또하나의 문화』의 발간 주체와 실천을 중심으로 (The Cultural Politics of ‘Feminist Realism’ ― Focusing on the Participants and Practice of Tto hana ŭi munhwa)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7 최종저작일 2021.04
40P 미리보기
‘여성주의 리얼리즘’의 문화정치학 – 『또하나의 문화』의 발간 주체와 실천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현대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현대문학연구 / 63호 / 365 ~ 404페이지
    · 저자명 : 안지영

    초록

    이 연구는 1980년대 문학·문화 지형에서 『또하나의 문화』 동인들의 활동이 지니는 의미를 논하고자 한다. 진영논리를 바탕으로 또문과 여성 그룹 사이의 차이를 강조해온 기존의 관점에서 벗어나 이들이 ‘여성해방문학’에 대한 문제의식을 공유했다는 점을 밝히는 한편으로, 또문이 여성해방문학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충분히 검토되지 못한 문제는 없는지 고찰할 것이다. 구체적인 내용으로 1) 또문 동인들이 ‘문학’의 좁은 범주에서 벗어나 ‘문화’의 가치에 주목하게 된 계기를 살펴본다. 또문은 사회과학 전공자들이 동인들으로 대거 참여하여 권력자-남성-지식인만이 보편적인 앎의 주체로 상정되어온 문화·학술운동의 흐름에 저항했다. (탈)식민에 대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여성을 가부장제의 피해자가 아니라, 지식 생산의 주체로서 정립시키기 위한 노력도 나타난다. 2) 또문이 중산층에 주목한 이유 역시 마찬가지 맥락에서 이해된다. 또문은 정치적 주체로서의 역할을 거세당한 중산층을 다시금 정치적 실천의 장으로 끌어들이고자 하였다. 중산층 주부 역시 “보수의 온상”이면서 “변혁의 토대”라는 양가적 성격을 지닌다는 데서 오히려 이들의 정치적 가능성을 지닌 존재로 재평가되며, 이들을 저항의 주체로 변화시키기 위한 모색이 중산층을 다룬 여성 문학에 대한 비평 작업과 동반되어 진행된다. 3) 이 과정에서 ‘여성주의 리얼리즘’이라는 개념이 도출된다. ‘여성주의 리얼리즘’은 여성주의적 시각에서만 포착할 수 있는 여성의 현실을 탐구한다는 의미로 사용되었으며, 남성 주체들이 중심이 되어 권위주의적으로 행해지던 진보 진영의 사회주의 리얼리즘 개념을 여성주의적으로 전유하려 한 문화정치적 실천과 관련된다. 아울러 또문과 대타적 위치에 있었다고 평가되는 『여성』지에도 여성문학론의 당위를 설명하며 여성주의 비평의 대상을 확장시키려는 의도가 나타나는 등 80년대 ‘여성해방문학’을 모색한 이들이 여성문학을 게토화하려는 남성중심적 문단에 충격과 변화를 주어야 한다는 목표를 공유했다는 점에 주목하고자 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discuss the meaning of the activities of “Tto hana ŭi munhwa(Tto-mmun)” in the literary and cultural landscape of the 1980s. The purpose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we will also look at why literary people have come to pay attention to the value of “culture” away from the narrow category of “literature.” Most of the magazine’s publishers were scholars majoring in social science, and they resisted the flow of cultural and academic movements, which had been assumed to be universal subjects of knowledge only by powerful, male, and intellectuals. Efforts are also made to organize women as subjects of knowledge production, not victims of patriarchy. Second, the reason why Tto-mmun paid attention to the middle class is also understood in the same context. They wanted to bring the middle class, who had been castrated as a political force, back into the political arena. Third, the concept of “Feminist Realism” is derived in this process. “Feminist Realism” was used to explore the reality of women, which can only be captured from a feminist perspective. Also, it is related to the practice of feminizing the liberal camp’s Socialist Realism, which was centered on male subjects and conducted authoritativel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현대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4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