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과학 글쓰기의 또 다른 가능성 —『성호사설』과 『의산문답』을 중심으로 (Another Possibility of Science Writing -Analysis of 『Seonghosaseol』 and 『Uisanmundab』)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7 최종저작일 2013.04
32P 미리보기
과학 글쓰기의 또 다른 가능성 —『성호사설』과 『의산문답』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어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국어교육학연구 / 46호 / 275 ~ 306페이지
    · 저자명 : 김혜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성호사설』과 『의산문답』의 과학 글쓰기 방식을 구체적인 수사적 장치의 측면에서 살펴보고 그것들이 현재의 과학 글쓰기에 어떤 의미를 줄 수 있는가를 고찰하고자 한다. 이 두 저작을 분석 대상으로 삼은 이유는 18세기의 사회문화적 상황과 관련된다. 즉 서양과 중국의 지식과 정보들이 제한적으로 유입되던 시기에 쓰인 『성호사설』과 18세기 중후반 관련 서적들이 쏟아져 들어오던 시기에 쓰인 『의산문답』을 살펴봄으로써, 전통 학문과 서양 학문 사이에서 어떤 학문적 전개를 펼치고 있는지, 그리고 이들이 어떤 글쓰기 방식을 택하였는지를 비교 분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우선, 『성호사설』의 경우, 백과전서식 글쓰기의 전형이면서 글쓴이의 견해를 종종 직접적으로 반영하거나 개인적 경험도 자주 드러내는 방식으로 쓰였다. 비록 정보 부족으로 인한 오류들도 많았지만 과감한 추론들을 내놓았던 것은 마찬가지로 지식을 배워나가는 중에 있는 학생들의 활동 차원에서 참조가 될 만하다. 서양의 천문학 체계를 종합적으로 이해하게 된 19세기 무렵에 이들만큼 과감한 추론을 내세우지 못했던 점을 고려할 때 『성호사설』이 정보나 지식 자체에 함몰되지 않고 자신만의 추론을 내세웠다는 점은 높이 살 만하기 때문이다. 『의산문답』의 경우, 『성호사설』에 비해 더욱 획기적이면서도 논리적으로 정교한 추론을 내놓았을 뿐만 아니라 서사구조를 채용하여 더욱 설득력 있으면서도 치밀한 논쟁을 구성할 수 있었다. 두 저작 모두 문장 진술 방식에 있어서는 동사화(動詞化)의 성향을 보여주었다. 이는 뉴튼 이래 현대 과학 산문의 문장 구성 방식으로 자리잡은 명사화(名詞化, nominalizing)과 구별되는 특성으로서, 개념보다는 상황이나 행위의 추이 자체를 보여주는 진술 방식이다. 진술의 동사화를 통해 『성호사설』과 『의산문답』은 현대의 과학 산문이 보여주는 객관화의 수사 및 기정사실의 전달 등의 문제점에 대한 대안의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영어초록

    This thesis aims at examining the way of science writing of 『Seonghosaseol』 and 『Uisanmundab』 in terms of rhetorical devices and considering what they hold for current sciece writing. The reason why I intend to take these two works as analysis object is related with the socio-cultural circumstances of 18th century in Joseon dynasty. 『Seonghosaseol』 was written before large inflow of western knowledge and information, otherwise 『Uisanmundab』 is written during this period. So by examining these two works we can compare and analyze what kind of academic development they achieve between traditional study and western science, and what kind of writing process they choose.
    First, in the case of 『Seonghosaseol』, it is a prototype of encyclopedic writing and at the same time it reflected the author’s opinion in the direct way and often expose his own experience. Although it included quite a mistake in scientific inferences, it also became a good reference for activities of the students under learning in that he put out bold inferences.
    Considering that those kind of bold inferences couldn’t be put out in 19th century, 『Seonghosaseol』 deserves high marks for putting out its own inference without being sunk by knowledge or information. in the case of 『Uisanmundab』, it put out more epoch-making, logical and elaborate inferences. Moreover it could make more persuasive and dense disputes by using narrative structure. Both 『Seonghosaseol』 and 『Uisanmundab』showed verbalizing in constructing of the statement. This is a diffrentiating feature from nominalizing which is considered as a standard expression in the modern science writing since Newton. Verbalizing in the expression shows the progress itself of acting and circumstance rather than its concept. 『Seonghosaseol』 and 『Uisanmundab』 suggest a possibility of an alternative on the problems which modern science writing shows such a rhetoric of objectification or delivery of fait accompli.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국어교육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