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도상, 기능, 맥락: 중국 승가(僧伽) 이미지를 보는 또 하나의 시각 (Iconography, Function, and Context: Sengqie Imagery in Buddhist Art and Visual Culture in Tang and Song China)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7 최종저작일 2013.10
32P 미리보기
도상, 기능, 맥락: 중국 승가(僧伽) 이미지를 보는 또 하나의 시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미술사와 시각문화 / 12호 / 228 ~ 259페이지
    · 저자명 : 이승혜

    초록

    신적 존재를 재현적으로 묘사한 ‘상(像)’은 종교 시각문화를 형성하는 여러 요소 중 하나였으며, 이러한 범주를 벗어나는 다양한 시각적 이미지가 존재했음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이 논문은 8세기 중국에서 부상한 승가(僧伽)에 대한 신앙과 그를 시각화한 이미지의 사례연구를 통해 도상학적 미술사 연구방법론과 그 대상의 외연을 넓혀보려는 시도이다. 승가 사후 조성된 그의 육신상(肉身像), 이를 모사한 상(像), 그리고 그가 보였다는 환영 사이의 상호보완적인 관계와 이에 대한 당대 불교도들의 인식에 새롭게 주목한다. 또한 승가가 다면적인 기능적 페르소나에도 불구하고 매우 제한적이고, 일관된 도상으로 재현되는 현상에 주목한다. 이 논문은 그 연유를 승가상의 모델이 되었던 사주의 승가 육신상에서 찾으며 그 의미를 당대의 종교적·문화적 맥락 안에서 해석한다.

    영어초록

    Identifying various divinities in Buddhist pantheon through iconographic or typological analysis has been a major concern for scholars of Buddhist art. This line of inquiry is more often than not devoted to sculptures and paintings, which are deemed ‘aesthetic' and thought to function as cult images. Such focus inevitably reduces subjects of research to art objects made by human hands, while leaving significant constituents of religious visual culture such as lacquered bodies and apparitional visions understudied. This paper attempts to reconsider and complement narrowly defined iconographic analysis through a case study of the cult of Sengqie(僧伽, 617-710) and his imagery in Chinese Buddhist art during the Tang and Song periods. Extant historical sources relate that the monk Sengqie, of Central Asian origin, came to China in the mid-seventh century and founded a monastery dedicated to the Puzhao Buddha in Sizhou, a region located at nodal points of waterway transportation. Diverse dimensions of the Sengqie cult have received considerable scholarly attention both in Western and East Asian academia since the 1950s. On one hand, the Sengqie cult has been treated largely as the epitome of the Song Buddhist rubrics of “popular cult” and/or “localization,” an area pioneered by Makita Tairyō and expanded upon by other scholars. The shared scholarly narrative highlights how in the cult of Sengqie the focus shifts from the veneration of Sengqie’s conduct and teachings to devotion to his mummy, and, thus, how a foreign charismatic monk became domesticated and metamorphosed into a divine protagonist of immediate salvific efficacy. On the other hand, images of Sengqie have been subject to intense art historical analyses that aim to establish iconographic convention in artistic representations of Sengqie, to identify statues showing similar visual traits but lacking inscriptional evidence as representations of the monk, and to classify extant images into several formal types. This study shifts the focus from the iconographic consistency and clarity shown in extant Sengqie images to the reason why these images look the way they do by shedding new light on the fundamental aspect of the Sengqie cult and imagery. It suggests that Sengqie's body-turned-icon enshrined inside his pagoda at Sizhou functioned as the model of his representations and as such, it signals the ‘iconization of death,' a cultural phenomenon that emerged from the eighth century in Chinese religious visual culture. By incorporating Sengqie's lacquered body and apparitions into art historical analysis, this study illuminates hitherto neglected but fundamentally significant aspects of the Sengqie imagery. It further demonstrates that contextual and functional analysis complement purely iconographic stud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술사와 시각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6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