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부산지역 주민의 연령별 떡에 대한 인식 및 이용실태 조사 (A Comparative Study on Cognition and Consumption Patterns of Korean Rice Cake Classified by Age in Busan)

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7 최종저작일 2008.04
9P 미리보기
부산지역 주민의 연령별 떡에 대한 인식 및 이용실태 조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 수록지 정보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13권 / 2호 / 228 ~ 236페이지
    · 저자명 : 이정숙, 김선희, 정숙희

    초록

    초등학생, 고등학생, 2, 30대, 4, 50대, 60대 이상 등의 연령별 떡 이용실태와 선호도 등을 비교함으로써 세대 간의 떡이용경향과 인식을 알아보고 떡 문화의 계승과 개발방향을설정하는 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부산시내에 소재하는초등학교와 고등학교를 12개교씩 선정하여 6개교는 학생을대상으로, 6개교에서는 학부모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4개의 대학에서 학생과 학부모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영구, 영도구, 동래구에 소재하는 노인대학에 출석하는 어르신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법을 이용하여 2007년 11월 21일부터 12월 26 일까지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떡 섭취빈도는 ‘1달에 1~2번 정도’ 섭취한다는 응답이 초등학생은 82명(41.2%), 2, 30대 70명(35.0%), 4, 50대89명(44.5%), 60대 이상 79명(39.5%)로 가장 높게 나타난 반면 고등학생은 ‘6개월에 1~2번 정도’ 섭취한다가 86 명(43.0%)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떡을 좋아하는 정도에 관한 질문에서 ‘좋아한다’고 응답한 비율이 초등학생(62.8%) 이 가장 높았고, 60대이상(49.5%)-고등학생(44.0%)- 2, 30대(43.0%)-4, 50대(42.5%)순이었다. 떡을 좋아하는 이유로는 ‘맛이 있어서’가 모든 연령층에서 가장 높은 비율(34.0%~69.8%)을 나타내었고, ‘먹기 간편해서’-‘우리전통음식이므로’-‘보기예뻐서’-‘건강에 좋은 음식이므로’ 의 순이었다. 떡을 선택하는 기준은 모든 연령층에서 ‘맛’이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다. 떡을 기피하게 되는 이유로 2, 30 대(48.0%)에서는 ‘높은 열량’이 가장 우선하는 이유이었으나, 초등학생(33.2%), 고등학생(48.0%), 4, 50대(35.5%) 및 60대 이상(48.0%)에서는 ‘목이 막혀서’가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다. 떡류의 인지도는 송편(97.0%)이 가장 높았고, 가래떡(96.9%), 인절미(95.5%) 시루떡(93.8%), 무지개떡(92.2%)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개피떡, 단자, 두텁떡, 부꾸미, 쇠머리떡, 약식, 절편, 조랭이떡, 증편 등은 연령이낮을수록 선호도 점수가 낮아졌다. 생일축하용으로 ‘떡’을먹는 경우가 60대 이상에서는 39%이었지만, 4, 50대(14.5%)-2, 30대(7.0%)-고등학생(6.0%)-초등학생(5.5%)순으로 연령별 차이를 보였다. 떡문화를 계승해야하는 이유로 ‘전통 식문화이므로’ 계승해야 한다는 응답이 초등학생103명(51.8%), 2, 30대의 143명(71.5%), 4, 50 대 79명(39.5%), 60대 이상 108명(54.0%)으로 가장 높게 나타난 반면 고등학생은 ‘영양이 우수하므로’가 82명(41.0%)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떡문화 계승시 요구되어지는 개선사항으로 초등학생(37.8%)은 ‘맛’으로 응답한 비율이 가장 높았지만, 고등학생(22.5%)과 60대 이상(21.5%) 은 ‘저장성’을 2, 30대(28.5%)는 ‘포장’을 지적하는 비율이 가장 높았다. 떡에 대한 인지도는 나이, 성별, 비만도와 양의 상관(p < 0.01)을 보였고, 떡에 대한 선호도는 나이, 성별, 비만, 떡에 대한 인지도와 양의 상관(p < 0.01)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떡의 대중화와 떡문화 계승을위해서는 각 세대와 성별에 따른 요구도의 차이를 파악하여야 하며, 젊은세대의 식문화에 부합되도록 품질의 개선과 함께 일반대중에게 널리 보급화 시킬 수 있는 다양한 방안들이지속적으로 모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영어초록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Korean rice cake cognition and consumption patterns classified by age in Busan.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November 21 to December 26, 2007 by questionnaires and data were analyzed by SPSS program.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orty one point two percent of the elementary school group, 29.0% of the high school group, 35.0% of 2,30's, 44.5% of 4,50's and 39.5% of over 60's took Korean rice cake once or twice per month. Sixty two point eight percent of elementary group, 44.0% of the high school group, 43.0% of 2,30's, 42.5% of 4,50's and 49.5% of over 60's preferred Korean rice cake. The most important basis for selecting rice cake was 'taste' in all of the subjects. The improvements for rice cake were indicated as taste, preservation and packing. As their age decreased, the score of preference for Gaepiduk, Danja, Dootupduk, Bookumi, Soemuriduk, Julpyun, Jorangi and Jungpyun were decreased. Songpyun, Garaeduk, Injulmi, Siruduk and Moojigaeduk were highly recognized as Korean rice cakes.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reference of rice cake and age, sex, obesity and recognition degree (p < 0.01). Therefore the understanding of the requirements of the subjects according to age and sex is needed to encourage them to choose Korean rice cake.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3(2) : 228~236, 2008)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7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0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