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해방 직후 남궁만 희곡에서 구현되는 멜로드라마적 특성 연구- <복사꽃 필 때>(1946), <하의도>(1946), <제주도>(1947), <봄비>(1947), <홍경래>(1947)를 중심으로 - (A Study on Melodramatic features of Nam-gung, Man’s dramas in the period of directly after Korean Liberation)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7 최종저작일 2013.12
38P 미리보기
해방 직후 남궁만 희곡에서 구현되는 멜로드라마적 특성 연구- &lt;복사꽃 필 때&gt;(1946), &lt;하의도&gt;(1946), &lt;제주도&gt;(1947), &lt;봄비&gt;(1947), &lt;홍경래&gt;(1947)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극예술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극예술연구 / 42호 / 149 ~ 186페이지
    · 저자명 : 김향

    초록

    이 논문은 재북 작가 남궁만의 해방 직후 희곡 <복사꽃 필 때>(1946), <하의도>(1946), <제주도>(1947), <봄비>(1937) 그리고 <홍경래>(1947)에서 구현되는 멜로드라마적인 특징을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그의 작품에서는 혼란스럽고 불안한 정서를 토대로 한 멜로드라마적인 면모가 강하게 경험되고 있는데 이러한 면모를 ‘당시 시대적인 불안함을 반영한 해방기 남궁만 희곡의 특징’으로 구체화하고자 했다.
    이전까지는 해방기 희곡에서 드러나는 멜로드라마적인 요소가 희곡의 ‘결여태’로 인식되어 왔지만, 멜로드라마적인 극작술은 혁명기, 즉 전통 질서가 붕괴되는 시점에서 필연적으로 대두되었던 문화 현상으로, 소련에서는 혁명기에 조직적으로 멜로드라마를 구현했었다. 이러한 논거를 바탕으로 본 논문에서는 해방 직후 남궁만의 희곡에서 부각되는 등장인물들의 과잉된 정서와 행위, 삼각관계, 이분법적 선․악 관계를 형성하는 멜로드라마적인 도덕성, 스펙터클 장면을 통한 선정성 그리고 비연속적인 장면의 흐름 등에 대해 살폈다.
    남궁만의 해방 직후 희곡 <복사꽃 필 때>, <봄비>, <하의도> 등에서 구현되는 멜로드라마적인 특성은 반제․반봉건이라는 사회문화 조성에 따라 봉건적 삶의 방식, 해방 전 일제의 폭압 그리고 남한에서의 미국의 폭력적인 행위에 대해 정서적으로, 육체적으로 저항하는 인물들을 그려내는 것이었다. 그리고 <하의도>와 <제주도>에서는 남한의 무질서한 상황, 특히 민간인 집단 학살 장면을 선정적으로 형상화하고 이에 비해 북조선에서는 토지개혁 및 새질서가 이루어지고 있다는 설정을 통해 남궁만의 정치적 해석을 명확히 했다. <홍경래>에서는 홍경래를 갑작스레 등장하는 비범한 영웅, 선전․선동에 능한 멜로드라마적인 영웅으로 형상화하면서 김장군이라는 영웅의 출현을 비유하고 있었다.
    남궁만은 해방 직후 희곡에서 멜로드라마적인 극적 전략을 통해 농민들의 계급 해방과 탈식민적 인식 그리고 김장군을 새국가의 지도자로 내세우기 위한 선전․선동을 실현했다고 할 수 있겠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research melodramatic aspects of Namgung, Man’s dramas in the period of directly after Liberation, which are Boksakot-pil-tae(when peach blossom bloom)(1946), Haeui-do(Haeui island)(1946), Jeju-do(Jeju island)(1947), Bombi(spring rain)(1947) and Hong, Kyoungrae(洪景來)(1947). In these dramas I could see melodramatic features on the basis of confused and apprehensive emotion, so I focused on them. Then I definitized characteristics of Namgung’s dramas which were reflected the confusion of the age aspects of melodramatic features.
    In so far advanced researchers discussed melodramatic features of liberation dramas lack of completeness. But we had to take notice of melodramatic dramaturgy of revolutionary period. That is to say, melodramatic features of the dramas were cultural phenomenon have been on the rise in the process of collapse of traditional order. So Soviet Union accommodated melodramatic dramaturgy to instigate peoples in the revolutionary period intentionally. Then I studied Namgung’s dramas in the aspects of excess emotion and actions of characters, love triangles, melodramatic moral, spectacle inflammation and discontinuous scenes on the basis of this argument.
    And I came to the conclusion as follows.
    Melodramatic features of Boksakot-pil-tae(when peach blossom bloom), Bombi(spring rain) and Haeui-do(Haeui island) were to embody emotional and physical struggling characters against a feudalism, the vestiges of the Japanese imperialism and an act of American violence in the flow of sociocultural anti-imperialism and semi-feudalism.
    And I thought that Namgung showed his political interpretation realizing inflammatory genocide of South Korea and land reform of North Korea in Haeui-do(Haeui island) and Jeju-do(Jeju island). He compared General Kim to Hong, kyoungrae whom realizing suddenly appearing unusual hero and good agitator as well as melodramatic hero.
    Eventually Namgung materialized farmers’ class liberation, postcolonial cognition and nominating general Kim as a new leader of North Korea with melodramatic strateg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극예술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2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0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