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중국 도척기(倒擲伎)와 한국 땅재주의 비교 고찰 (A Comparative Study of Chinese Daozhiji and Korean Ttangjaeju)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7 최종저작일 2020.06
27P 미리보기
중국 도척기(倒擲伎)와 한국 땅재주의 비교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단법인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문학과 예술 / 34호 / 39 ~ 65페이지
    · 저자명 : 박은옥

    초록

    『청사고(淸史稿)』의 “조선국배(朝鮮國俳)”항에는 조선의 도척기(倒擲伎)에 대한 기록을 발견할 수 있으며, 도척기는 바로 한국의 땅재주에 해당된다. 그렇다면, “조선국배(朝鮮國俳)”의 도척기는 한국의 땅재주와 어느 정도의 연관성이 있는지 궁금증을 자아낸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이번의 연구과제는 중국의 도척기와 한국의 땅재주를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중국과 한국에서는 일찍부터 도척기 혹은 땅재주의 공연이 발견되었으며, 오랜 세월을 거쳐 지금까지도 그 모습을 찾아볼 수 있다. 하지만 중국의 도척기와 한국의 땅재주는 같은 계통의 기예에 속함에도 불구하고 그 발전 양상이 서로 다르다.
    중국 도척기의 공연 모습은 한나라 때의 화상석(畫像石), 회도준(灰陶尊) 등에서 발견되며, 단독적인 하나의 기예를 선보이는 것보다 농환, 나무다리걷기, 줄타기 등 기예, 무용, 노래, 악기 반주 등 다양한 공연양식과 함께 공연하는 형태로 이루어진 것이 더 많다. 심지어 여러 가지 기예를 융합적으로 공연한 경우도 있어서 도척기의 이름으로 명명하기 어려운 경우도 있다. 공연할 때의 인원수 역시 매우 자유로우며, 공연의 상황에 따라 결정된다. 당나라의 도척기에서도 외국인이 공연한 것도 발견되며, 송나라의 궁중에도 도척기의 공연을 찾아볼 수 있다. 하지만 원나라부터 도척기는 쇠퇴의 길을 걷게 되며, 명 · 청시대에는 도척기 등 백희의 공연자는 유수지도(遊手之徒)로 간주되어 대대적인 단속을 당해야 하는 비참한 처지에 처하게 된다.
    한국의 땅재주는 일찍이 삼국시대부터 고분벽화를 통해 그 흔적을 확인할 수 있다. 땅재주와 관련된 초기의 문헌 자료는 『문종실록』에 발견되며, 규식(規式)이 있는 유희로 간주하면서 광대(廣大) · 서인(西人)에 의해 공연되었다. 그리고 동월(董越)의 “조선부(朝鮮賦)”와 아극돈(阿克敦)의 “봉사도(奉使圖)”, 그리고 여러 가지의 감로탱을 통해 조선시대 땅재주의 공연 모습이 확인된다.
    청나라의 문헌 자료인 『청사고(淸史稿)』에는 “조선국배(朝鮮國俳)”의 기록이 있어 눈길을 끌며, 조선의 도척기 기예가 청나라 궁중에서 상연된 상황을 설명한다. 청나라의 백희에 대한 단속과 부정적인 인식에도 불구하고 백희의 한 종류인 도척기가 청나라의 궁중에서 상연될 수 있었다는 것은 그만큼 조선의 기예 수준이 높다는 것을 반증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청나라의 궁중에서 상연한 도척기는 조선의 특징을 띄고 있으며, 공연형태, 공연구성, 악기의 반주형식 등 여러 측면에서 중국의 도척기 공연과 차이가 있다.

    영어초록

    In China and Korea, the performance of Daozhiji or Ttangjaeju (acrobatic feats and tumbling) were discovered earlier on, and their vestige can still be seen today. Although the Daozhiji of China and the Ttangjaeju of Korea are the same type of arts, they developed in different ways.
    The performance of the Chinese Daozhiji is discovered in the pictorial stones and grey pottery of the Han Dynasty, and rather than displaying a single art, more often than not, it was performed along with various performance types, i.e. arts (such as Nonghwan, stilt walking, tightrope walking), dance, songs and instrumental accompaniment. As several arts were performed in combination, it was difficult to use the name Daozhiji in some cases. The number of people participating in the performance was also very arbitrary, and determined according to the circumstances of the performance. Foreign performers were found in the Daozhiji of the Tang Dynasty, and the performance of Daozhiji could be found in the royal court of the Song Dynasty. However, Daozhiji had been declining since the Yuan Dynasty, and as performers of Baekhee, including Daozhiji, was regarded as Yusujido during Ming and Qing Dynasty, they were in a miserable plight of having to undergo a massive crackdown.
    The traces of the Ttangjaeju of Korea can be found in the ancient tomb murals as early as the period of the Three Kingdoms. Early literature about Ttangjaeju was discovered in the 『Annals of King Munjong』, and Ttangjaeju was regarded as amusement with established rules and forms, and performed by Gwangdae and Seoin. And the performance of the Ttangjaeju of the Joseon Dynasty can be seen in Dongyue’s “Rhapsody of Joseon,” Akedun’ “Fengshitu” and several types of Gamrotaeng (Nectar of Immortality).
    As the 『Draft History of Qing』 of the Qing Dynasty contains the records of “Chaoxianguopai,” it is attracting attention, and it explains the situation in which the Daozhiji arts of Joseon was performed in the royal court of the Qing Dynasty. Despite the crackdown on the Baekhee of the Qing Dynasty and the negative perception thereof, Daozhiji, a kind of Baekhee, could be performed in the royal court of the Qing Dynasty. It proves that the level of art is high in Joseon. In addition, the Daozhiji, performed in the royal court of the Qing Dynasty, had the characteristics of Joseon, and it is different from the Daozhiji performance of China in various aspects, including performance type, composition of performance and type of instrumental accompanim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문학과 예술”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1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