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인도후기밀교에서 기술하는 불교 교의 해설(doxography)과 밀교의 위상-아드바야바즈라(Advayavajra)의 『땃뜨바라뜨나발리(Tattvaratnāvalī)』를 중심으로- (Doxography of Buddhist Doctrines and the Position of Mantranaya Elucidated in the Tattvaratnāvali by Advayavajra)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7 최종저작일 2024.06
36P 미리보기
인도후기밀교에서 기술하는 불교 교의 해설(doxography)과 밀교의 위상-아드바야바즈라(Advayavajra)의 『땃뜨바라뜨나발리(Tattvaratnāvalī)』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밀교학회
    · 수록지 정보 : 불교학밀교학연구 / 5권 / 9 ~ 44페이지
    · 저자명 : 방정란

    초록

    인도에서 금강승(Vajrayāna)이라는 후기밀교의 정체성이 확고하게 자리 잡은 이후, 밀교의 교리적 체계화가 정점에 이르는 10세기 전후로 많은 밀교사상가들은 인도불교 내의 여타 전통들과 비교해 만뜨라의 교리(Mantranaya, 진언이취)가 지니는 우월성을 주석이나 독립된 저작을 통해서 기술하고 있다. 본고는 인도는 물론 티베트에도 큰 영향을 미친 대성취자(mahāsiddha) 계보 중의 중요인물 중 한명인 아드바야바즈라(Advayavajra)가 전하는 밀교의 위상과 교의 해석을 그의 저작을 통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그의 후대 영향력을 증명하듯, 인도찬술문헌과 티베트역 혹은 티베트 사료에서 그는 마이뜨레야나타(Maitreyanātha), 마이뜨리빠(Maitrīpa), 마이뜨레야굽따(Maitreyagupta), 아바두따(Avadhūta) 등의 수많은 이명으로 불린다. 그는 브라민 가문에서 태어나 정통 브라만교의 교리에 따라 교육을 받았고, 다양한 인도의 사상을 수학한다. 그러는 가운데 불교의 다양한 교리를 공부한그는 불교 승려로서 출가하게 되고, 결국 밀교 전통 안에서 대성취자의한 명으로서 수많은 저술을 남겼다. 이렇게 다양한 인도 종교의 교리를두루 섭렵했던 그의 성장 배경은 저작 안에서도 그대로 드러나는데, 특히, 밀교의 교리를 설명할 때 불교뿐만이 아니라 힌두 전통의 다양한 경전과논서들을 자유롭게 인용하는 특징을 보인다. 그렇기 때문에 그의 저작들은 그가 활동하던 시기의 사상가들이 바라본 불교와 비불교의 교의적 차별성에 대한 평가를 엿볼 수 있는 것은 물론, 그러한 평가를 바탕으로 밀교의 특별함을 어떻게 해설해 내는지를 보여준다. 이를 위해 본고는 『땃뜨바라뜨나발리(Tattvaratnāvalī)』라고 불리는 그의 저서를 통해 그가 어떤 방식으로 인도불교에 속한 제학파의 특징을 정리하고 그 속에서 진언이취 혹은 금강승이 지니는 위상을 천명하는 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더불어 저작 속에서 인용되는 다양한 문헌적 전거를 탐색하고자 하는데, 이는 우리에게 밀교 전통 내에서 특정한 해석 전통이 전승되어 오는 자취를 더듬어 갈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해 줄 것이다.

    영어초록

    Once the later period of Tantric Buddhism solidified its identity as Vajrayāna in India, around the 10th century, when the systematization of esoteric doctrines reached its peak, many esoteric scholars described the superiority of the doctrine of mantras(Mantranaya) compared to other traditions within Indian Buddhism through commentaries or independent works.
    This paper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ntranaya system, as presented by Advayavajra in his doxography, which aimed to highlight the unique and superior position of Mantranaya/Vajrayāna within the broader Buddhist landscape of his time. Since he had a significant influence not only in India but also in Tibet, he is mentioned under numerous aliases in Indian hagiographical texts, Tibetan translations, and Tibetan historical records, such as Maitreyanatha, Maitrīpa, Maitreyagupta, and Avadhūta.
    Born into a Brahmin family, Advayavajra received education in orthodox Brahmanic doctrines but later converted to Buddhism and left behind numerous writings as an adept in the Tantric tradition. This diverse religious background is reflected in his works, as he freely cites various Hindu scriptures and treatises in addition to Buddhist texts when explaining esoteric doctrines. Therefore, his works offer insights into how Tantric commentators and thinkers evaluated the doctrinal differences between Buddhism and non-Buddhist traditions, and how they used those evaluations to explain the distinctiveness of Tantric Buddhism.
    To achieve this objective, this paper delves into Advayavajra´s seminal work, the Tattvaratnāvalī,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philosophical schools he defines and organizes within Indian Buddhism. It specifically analyzes the doctrines of mantra(Mantranaya) within these schools. By meticulously examining the diverse textual references cited in this work, the paper unveils the trajectory of this interpretive tradition and its transmission across generations. This in-depth analysis sheds light on Advayavajra´s unique contribution to the understanding of Mantranaya and its significance within the broader Buddhist landscap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학밀교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1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