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땃뜨바쌍그라하』 1213-1217에서 분별(kalpanā)의 의미 (An Implication of Kalpanā in Tattvasaṃgrahapañjikā 1213-1217)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7 최종저작일 2019.12
21P 미리보기
『땃뜨바쌍그라하』 1213-1217에서 분별(kalpanā)의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불교학연구회
    · 수록지 정보 : 불교학연구 / 61권 / 155 ~ 175페이지
    · 저자명 : 조은별

    초록

    디그나가(Dignāga, ca. 480-540) 이후 불교도들은 지각(現量, pratyakṣa)을 정의할 때, ‘분별을 배제한 것’(kalpanāpoḍha)이라는 견해를 기본적으로 유지한다. 이후 다르마끼르띠(Dharmakīrti, ca. 600-660)는 지각이 분별을 배제한 것일 뿐만 아니라 ‘착오가 아닌 것’(abhrānta)이라고 덧붙이며, 또한 분별에 대해서는 ‘언어표현을 가진 인식’이라고 설명한다. 지각과 분별에 대한 다르마끼르띠의 부가적 정의는 이후 다양한 해석학적 논의를 발생시킨다. 샨따락쉬따(Śāntarakṣita, ca. 725-788)의 『땃뜨바쌍그라하』(Tattvasaṃgraha)와 그에 대한 까말라쉴라(Kamalaśīla, ca. 740-795)의 주석에서는 ‘언어표현을 가진 인식’이라는 정의를 해명하는 데 상당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이들은 문법학자 바르뜨르하리(Bhartṛhari, ca. 450-510)의 『바꺄빠디야』(Vākyapadīya)에 나타난 견해를 차용하여, 언어표현을 직접적으로 동반하지 않더라도 분별이 작동하고 있다는 사실을 다음 세 가지 근거를 통해 확립한다. (1) 말을 배우지 않은 아기들도 분별을 통한 활동방식(itikartavyatā)에 익숙하다. (2) 생각하고 상상하는 등의 분별은 언어에 의해 꿰뚫린 것처럼 그 필연적인 관계가 부정될 수 없다. (3) 분별에 의해서 언어와 지시대상이 고정적 관계를 맺고 있는 것처럼 보이는 언어사용(vyavahāra)이 발생한다. 이를 통해 그들은 언어표현이 실제적으로 나타나지 않는 영역까지 분별의 외연을 더욱 폭넓게 설정하고 있으며, 궁극적으로는 언어와 지시대상의 관계가 착오(bhrānta)에 기반하고 있다는 점을 밝힌다. 이러한 접근은 디그나가가 불교 인식논리학을 체계화한 이후로 발생한 불교 안팎의 쟁점들을 수렴하여 통합적인 이론적 틀을 제시하려는 시도로 볼 수 있다.

    영어초록

    The perception (pratyakṣa) is generally considered to be a means of valid cognition (pramāṇa) but its definition (lakṣaṇa) varies across Indian intellectual traditions. After Dignāga (ca. 480-540), Buddhists basically accepted the definition of perception that it is "free from conceptualization" (kalpanāpoḍha; Pramāṇasamuccaya 1.3c). Dharmakīrti (ca. 600-660) follows Dignāga's definition in his Pramāṇavārttika 3; however, in the Nyāyabindu 1.4-5 and the Pramāṇaviniścaya 1.4a-c, he states perception is not only "free from conceptualization" but also "non-erroneous" (abhrānta). In addition, Dharmakīrti defines "conceptualization" (kalpanā) as "cognition with verbal expression" (abhilāpinī pratītiḥ). The Tattvasaṃgraha (TS) of Śāntarakṣita (ca. 725-788) and its commentary, the Tattvasaṃgrahapañjikā (TSP) of Kamalaśīla (ca. 740-795) made significant efforts to explain Dharmakīrti's definition of "conceptualization." In particular, they explained that conceptualization functions even in cognition without verbal contents by borrowing the views expressed Vākyapadīya chapter 1 Brahmakāṇḍa of Bhartṛhari (ca. 450-510). In TS 1214-1217, Śāntarakṣita establishes that conceptualization is directly or indirectly related to verbal expression on the following three points: (1) Even an infant who has not learned to speak is accustomed to the behavior pattern (itikartavyatā). (2) The linguistic nature of conceptual activities such as thinking and imagining cannot be denied. (3) The use of language (vyavahāra) in which word and its referent seems to have a fixed relationship is caused by conceptualization. In this manner, Śāntarakṣita extended the scope of conceptualization. According to him, conceptualization is not just "cognition with verbal expression," but it encompasses speechless cognition since conceptualization occurs "as if having verbal expression" (sābhilāpeva; TS 1214).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