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딸바보’ 시대의 여성혐오 - 아버지 상(father figure)의 변모를 통해 살펴 본 2000년대 한국의 남성성 (Misogyny in the Era of ‘Daughter-Fools’ - Korea’s Masculinity in the 2000s seen through the Transformation of the ‘Father Figure’)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7 최종저작일 2016.11
31P 미리보기
‘딸바보’ 시대의 여성혐오 - 아버지 상(father figure)의 변모를 통해 살펴 본 2000년대 한국의 남성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중서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대중서사연구 / 22권 / 4호 / 279 ~ 309페이지
    · 저자명 : 허윤

    초록

    본고는 2010년대 한국 대중문화 장에서 등장한 ‘아빠 예능’을 통해 아버지 상(father figure)의 변모를 탐색하고자 한다. 2010년대 한국 대중문화 장에서 가장 큰 변화는 아버지들의 자리가 확대된 것이다. MBC의 <아빠 어디가>(2013~2015)를 필두로, KBS의 <슈퍼맨이 돌아왔다>(2013~현재), <아빠를 부탁해>(SBS, 2015) 등 아버지와 자녀의 관계를 조망하는 프로그램이 증가한 것이다. 이는 IMF 이후 남성성의 위기와 더불어 활발해진 아버지 상의 변모를 읽어내는 데 주요한 키워드이다.
    ‘아빠 예능’은 더 이상 가부장적 남성성이 불가능해진 시대에, 남성성을 어떻게 변화시킬 것인가라는 질문과 더불어 논의되어야 한다. ‘딸을 사랑하는 아버지’라는 ‘딸바보’는 ‘아빠 예능’을 통해 매력적인 남성성으로 호명되어 왔다. 그러나 ‘딸바보’의 이면에서 가부장 중심의 부계 가족을 강화하고 딸을 성별화하는 젠더 규범이 재생산된다. 아버지가 자식을 돌보는 것이 권장되는 사회가 되었지만, 주 양육자는 어머니여야 하는 것이다. 또한 할아버지와 아버지를 자주 등장시킴으로써 1970년대의 헤게모니적 남성성과의 화해를 적극적으로 시도한다. 아버지의 가정 내 권위를 회복하는 것과 더불어 딸을 미성숙한 주체로 범주화하는 것도 ‘딸바보’이다. 청년 세대의 경제적 독립이 불투명해지면서, 가부장의 경제력이 지배적인 질서로 등장하기 시작한다. 아버지는 딸에게 ‘미래’를 제공할 수 있다는 이유로 딸을 소유할 수 있게 된다. ‘보호하는 아버지’는 ‘소유하는 아버지’이기도 한 것이다.
    따라서 한국 사회에서 ‘딸바보’는 미디어가 만들어낸 지배적 허구로 자리매김한다. 여성을 교환하고 소유하는 구조의 알리바이로서 등장하는 것이다. 이는 ‘딸바보’가 유행하는 시대에 여성혐오 역시 심화되어 왔다는 사실을 통해서도 뒷받침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e biggest change seen in Korea’s popular culture in the 2010s is the increased exposure of fathers on TV. Variety shows increasingly introduced sub-programs featuring fathers and their children, and invited celebrity parents and their kids to appear on studio and reality shows. In particular, reality shows on celebrity parents raising their children were dubbed ‘child-raising variety show’ and gained immense popularity. Among public channels alone, MBC’s Dad, Where Are You Going? (2013-2015), KBS’ The Return of Superman(2013-present) were and are broadcasted under this category, these programs focus on featu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ther and their children.
    ‘Daughter-fools’ infiltrated the public sphere starting from 2009. KBS’ evening wide show Live Tong chose ‘daughter-fool’ as the buzzword of 2010 on its broadcast on 29 December 2010 and announced the arrival of the new father figure. Casting off the hegemonic masculinity represented by strict fathers, ‘daughter-fool’ is the most positive image of masculinity to be recreated in Korean media since 2000. The expression is used by men to present themselves the ideal type of masculinity that does not shy away from housework and child care, and appear in Korean society as a post-modern figure that integrates modern masculinity and feminist sentimentality.
    However, Fathers experience for a limited time the difficulties mothers face on a daily basis while waiting impatiently for their wives to come back. Although the present society encourages fathers to take care of their children, the mother’s position is immutable. And the way ‘daddy shows’ reinforce the image of men as the protector and head of the family can also be found in the way the children are gendered. The over-protectiveness over daughters comes from gendering daughters as women. The daughter is identified as a ‘woman’ before as a human-being, and it is the same with daughters who have become adults. Before marriage, women are trapped under their father’s umbrella, and after marriage, they move under that of their husbands.
    At the bottom of this coexistence of ‘daughter-fools’ and misogyny in Korean society is male solidarity. Korean society is founded upon male solidarity based on the hegemonic masculin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0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