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전후 윤리적 정동의 정립과 1960-70년대 ‘딸’의 담론- 미우라 아야코의 『빙점』 수용의 의미 (Formation of post-war ethical affect anddiscourse of ‘Daughter’ - Meaning of acceptance on The Freezing Point by Ayako Miura)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7 최종저작일 2018.09
25P 미리보기
전후 윤리적 정동의 정립과 1960-70년대 ‘딸’의 담론- 미우라 아야코의 『빙점』 수용의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한국학논집 / 72호 / 123 ~ 147페이지
    · 저자명 : 이정숙

    초록

    이 글은 한일협정으로 속개된 일본문학의 유입 속에서 예외적인 반향을 얻은 『빙점』을 ‘딸’의 담론 및 전후 일본의 민주주의 발현과 연동하여 읽는다. 감정의 변곡점이 심하게 요동쳤던 당대 한국 사회에서 ‘딸’의 고단한 현실은 멜로드라마의 장치들과 독자의 기대지평이 접속하게 만들었다. 이 글은 한국에서 1970년대 ‘딸의 담론’이 쇄신되고 있다고 판단하는바, 당대 ‘딸의 담론’은 성적 평등과 인권 및 딸의 사회적 역할을 사회 속에서 다양하게 배치시키고자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중서사에서 ‘딸’은 여전히 도덕감정을 구현하는 텅 빈 기호로써 존재했다는 한계가 있다. 『빙점』에 구현된 멜로드라마의 수사학은 수난서사의 주인공으로 기능하는 억압된 ‘딸’의 담론을 완전히 극복하지는 못했으나, 역설적으로 이로 인해 『빙점』이 유행할 수 있었다.
    그러나 여성인물들이 겪는 성적 대상화의 폭력이 비판되는 계기를 마련함으로써 『빙점』은 멜로드라마의 정치성을 전에 없던 방식으로 발휘하고 있다. 특히 『빙점』에서 다쓰꼬의 거실에 구현된 전후 ‘민주주의’의 특성은 요오꼬가 도덕적으로 주체를 정립해가는 데 주효한 역할을 감당한다. 이 두 여성을 위시해서 『빙점』은 ‘권선’과 ‘사랑’ 그리고 ‘노동’과 ‘믿음’의 이념을 당대 한국 사회에 새로운 감수성으로써 전파하고 있었으며, 이점은 작가가 관철하고자 한 ‘전후’의 윤리의식을 대변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reads The Freezing Point, which created an exceptional echo within the inflow of Japanese literature resumed by the treaty between Korea and Japan, along with discourse of ‘daughter’ and revelation of postwar democracy in Japan. The exhausting reality of ‘daughter’ in Korean society where inflection point of emotion was severely fluctuated made melodramatic devices access to the expectation horizon of readers.
    This thesis sees that ‘discourse of daughter’ had been changed in 1970's Korea and ‘discourse of daughter’ in those days had tried to variously place gender equality, human rights and daughter's social role in the society. In spite of such change and try, it was the limit that ‘daughter’ in public narrative still existed as an empty symbol realizing ethical emotions. The rhetoric of melodrama materialized in The Freezing Point couldn't completely overcome the discourse of oppressed ‘daughter’ that functioned as the protagonist of suffering narrative, however, paradoxically, it made The Freezing Point to be popular.
    At all events, The Freezing Point exerts the political nature of melodrama in a different new way as it set up an opportunity to criticize the violence of sexual objectification that the female characters suffered. Especially, in The Freezing Point, the characteristic of postwar ‘democracy’ which was materialized in Tatsuko's living room takes a role to affect Yoko in establishing the ethical subject. The Freezing Point had spreaded, with two women, the ideology of ‘promotion of virtue’, ‘love’, ‘labor’ and ‘faith’ as new sensibility in Korean society of those days, and it represents post-war ethical consciousness that the author wanted to attai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학논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6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4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