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 여성-영웅 서사의 희생의 원리와 자기 완성의 철학- ‘딸’의 원형적 이미지분석과 ‘효’ 이데올로기 비판 (The Repression Mechanism of Sacrifice and Philosophy of Self-Realization in the Korean Heroine Epic)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7 최종저작일 2008.06
29P 미리보기
한국 여성-영웅 서사의 희생의 원리와 자기 완성의 철학- ‘딸’의 원형적 이미지분석과 ‘효’ 이데올로기 비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여성철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여성철학 / 9호 / 1 ~ 29페이지
    · 저자명 : 장영란

    초록

    한국 신화와 설화 속의 ‘희생’ 서사는 대개 영웅 신화의 특징을 나타낸다. 그것은 주체의 행동과 의지가 능동적이고 자발적인가에 따라, 또는 수동적이고 비자발적인가에 따라 결과적으로 전혀 다른 양상이 나타날 수 있다. 한국 신화의 여성-영웅 서사에서 희생은 소극적인 방식이지만 주체적 의식과 자발적 의지를 발현하는 계기로 궁극적으로 자기완성에 이르게 된다. 바리는 오구대왕에 대한 효성으로 죽음의 구약 여행을 떠나지만 수많은 고난을 맞이하여 실천적 지혜를 발휘하고 가족 공동체의 유대감을 회복하는 역할을 한다. 나아가 여성-영웅으로서 수많은 고난과 역경을 통해 자기완성에 이르러 결국 ‘여신’으로 존재론적인 변모를 겪게 되어 인간으로서 최고의 가치를 실현한다. 또한 심청도 아버지와의 인격적인 관계 형성을 통해 뱃사람들의 희생 제물이 되기를 자발적으로 선택하는 과정에서 독립적인 자아의식과 강인한 실천 의지를 내보인다. 서구 신화에서 지하세계로의 하강에 비견되는 용궁으로의 하강을 통해 죽음이라는 인간의 한계를 극복하고 부활한다. 심청의 부활은 바리의 경우와 같이 일종의 자기완성과 관련된 존재론적 변모로 볼 수 있다. 그러나 바리나 심청이 희생적 행위를 통해 최고의 지위인 여신이나 왕비로 격상되는 것은 가부장제 효 이데올로기를 정당화하기 위한 일종의 보상기제의 역할을 하고 있다. 따라서 바리공주나 심청 설화의 자기실현과 완성의 의미가 올바로 발현되기 위해서는 ‘희생’의 원리는 사회적 이데올로기에 의해 특정 가치를 강요받거나 억압적인 사회적 훈육에 의해 내면화하지 않고 자발적이어야 할 것이다. 한국 여성-영웅 서사에 나타나는 ‘희생’의 가치는 이중적 효과를 발생한다. 첫째는 사회적 훈육을 통해 ‘효’를 이데올로기화하고 개인적인 덕으로 내면화하는 효과이다. 이것은 사회적으로 특정한 계층의 사람들을 억압시키고 소외시키는 것을 정당화한다. 둘째는 희생을 통해 고난 받는 여성-영웅이 오히려 주체 의식을 발전시키어 자기완성에 이르게 되는 효과이다. 그러나 한국 설화에 등장하는 또 다른 여성-영웅 서사 가믄장아기 이야기에서 우리는 억압받지 않고 소외되지 않는 여성의 자기실현을 찾아 볼 수 있다. 여기서 여성의 희생에 대한 보상기제로 신격화의 과정이나 신분상승의 장치는 찾아볼 수 없지만 삶에 대해 주체적으로 사유하고 판단하고 적극적으로 대처하여 문제를 해결해나가는 여성의 원형적 모습을 제시해볼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In Korean myth and folklore the subject of sacrifice is often presented in heroine epics. It has different aspects on which the action and will of heroine is active and voluntary, or passive and involuntary. If it is voluntary, it's sacrifice activity. But If it is in voluntary, it's a unconsciously compelled activity. Greek myth and tragedy, the sacrifice of Iphigeneia is exposed distinctly the ontological status of daughter, and used as means to attain the justification of man-centric thinking. But the sacrifice in Korean folklore is served opportunity to raise subject-consciousness and voluntary will, so make ultimately to attain self-realization. Princess Bari made her journey that was motivated by her wish to carry out her filial duties called 'Hyo'. During making journey, she overcame a lots of suffering by her practical wisdom(phronesis) and played a role of recovered solidity of family-community. Futhermore she was reached at self-realization, and transformed ontologically from heroine to 'Goddess'. And Sim-Chung also displayed independent self-consciousness and had powerful and patient will. She had chose voluntarily to be scapegoat of crews because of personal solidity with her father. Through visiting the Palace of Dragon King comparing with descent to Underworld, she overcame and revived the death as the destiny of human. Like the case of Princess Bari, the resurrection of Sim-Chung may be regarded as ontological transformation related with self-realization. But the elevation of Bari or Sim-Chung's status would be thought a sort of compensation mechanism to justify 'Hyo' ideology of patriarchal society. To understand properly the meaning of self-realization, the principle of sacrifice must be voluntary without being compelled by the special sort of social ideology or special virtue. Futhermore we can discover woman's self-realization without being repressed and alienated in Gamunchang heroine-story. There is not deification or elevation of social position as compensation to sacrifice of woman. But we may find the archetype of woman thinking, judging and solving positively and subjectively the various problems of her lif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여성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3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