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함흥본 <바리데기>에 나타나는 딸들의 자리 잡기-멜라니 클라인 이론을 바탕으로- (A Study on the Daughters’ Subjectivityin Hamheung Version Baridegi)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7 최종저작일 2024.09
28P 미리보기
함흥본 &lt;바리데기&gt;에 나타나는 딸들의 자리 잡기-멜라니 클라인 이론을 바탕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우리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우리어문연구 / 80호 / 385 ~ 412페이지
    · 저자명 : 강지영

    초록

    함흥본 <바리데기>는 어머니와 딸들의 서사로 직조되어 있다. 이에 주목하여 아버지의 부재와 어머니의 젖가슴을 중심으로 하는 딸들의 주체성 형성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멜라니 클라인의 관점에 근거하여 바리데기와 언니들의 행동을 대별하여 주체성 확립을 살펴보았다. 멜라니 클라인은 유아에게도 심리적 갈등이 있다는 것을 전제로, 라캉이 자아가 형성된다고 규정한 단계에서 주체성을 읽어냈다. 아이는 어머니의 가슴에서 자신을 충족하게 해 주는 ‘좋은 가슴’과 자신의 결핍을 보여주는 ‘나쁜 가슴’을 동시에 보게 된다. 탄생 직후에는 인간에게 내재하는 타나토스가 ‘나쁜 가슴’의 이미지를 강화한다. 멜라니 클라인은 어머니의 모유 수유를 통해 ‘좋은 가슴’ 이미지가 이후 ‘나쁜 가슴’의 이미지를 상쇄하여 아이는 우울적 위치를 벗어나 주체를 형성할 수 있다고 본다.
    함흥본 <바리데기>의 바리데기는 어려서 어머니에게서 버려졌다. 그에 따라 타나토스가 강화되어 용궁부인을 통한 ‘좋은 가슴’의 이미지가 있음에도 그 이미지로 ‘나쁜 가슴’의 이미지를 전복하지 못하였다고 보았다. 그에 따라 어머니와 자신을 동일시하며 자신을 버린 생모를 위해 죽음의 위험을 무릅쓰는 모험을 강행하였다고 보았다. 이를 주체성 확보 실패에 따른 자해일 수 있다고 해석하였다. 결론에서 덕주아 부인이 죽음에 이르게 함으로써 함흥본 <바리데기>는 이 자해가 실제로 어머니의 죽음과 이어지게 하고 있다고 읽어냈다.
    ‘좋은 가슴’으로 ‘나쁜 가슴’의 이미지를 전복시킨 경험이 있는 언니들은 어머니의 질서 내에서 주체성을 확보하여 자신들의 욕망을 내보인다. 그리하여 그들은 어머니의 죽음을 가정하며 장례보다는 주검 처리에 집중하는 모습을 보인다. 실제로 어머니가 죽음에 이르자 장례는 뒷전이고 솥을 더 가지고자 하는 모습을 보인다. 어머니는 이러한 욕망의 발현을 딸들을 죽음에 이르게 하는 것으로 벌한다. 이 응징의 중심에 어머니는 ‘효’라는 상징계적 질서를 두고 있다. 상징계적 질서는 아버지를 중심으로 편성된다. 어머니가 언니들을 벌하는 기준으로 상징계적 질서를 불러옴으로써 함흥본 <바리데기>에서의 아버지의 부재는 더 명확해진다. 아버지가 부재하는 함흥본 <바리데기>는 모든 여성 등장인물을 죽음에 이르게 함으로써 여성들을 아버지라는 오이디푸스 삼각형을 넘어서지 못하고 사회적 주체로 설 수 없는 존재로 만든다.

    영어초록

    Noting that Hamheung version Baridegi is a narrative of a mother and daughters, this paper analyzed the establishment of subjectivity through the actions of Baridegi and her sisters based on Melanie Klein's view of subject formation centered on the mother's breast. Melanie Klein reads subjectivity in the stage that Lacan defined as the formation of the selfhood based on the premise that infants also feel psychological conflicts. The infant sees in the mother's breast both a "good breast" that fulfills him or her and a "bad breast" that shows his or her deficiency, and the image of the "bad breast" is reinforced by the Thanatos that is inherent in humans immediately after birth. Melanie Klein believes that through the mother's breastfeeding, the image of the “good breast” offsets the image of the “bad breast” afterward, and the child is able to move out of a depressed position and form subjectivity.
    Baridegi is abandoned by his mother from her birth in Hamheung version Baridegi, which makes her Thanatos be reinforced. Because her Thanatos was reinforced, even though she has the image of the 'good breast' through Mrs. Yonggung, she is unable to overthrow the image of the 'bad breast' with that image. As a result, she identifies herself with her mother and risks death to heal her birth mother, who abandons her. This is analyzed as self-inflicted harm due to a failure to secure her subjectivity. By having Mrs. Deokjua die in the conclusion, Hamheung version Baridegi actually connects this self-harm to her mother's death.
    Having had the experience of subverting the image of 'bad breasts' with 'good breasts', the sisters secure their subjectivity from their mother and express their desires as they are. As a result, they focus on the autopsy rather than their mother's funeral and show their desire to have more pots even after their mother's death. The mother punishes them to be dead. At the center of this punishment is the symbolic order of filial piety. The symbolic order is organized around the father, and by invoking the symbolic order as the basis for the mother's punishment of them, the absence of the father in Hamheung version Baridegi becomes clearer. By letting all the female characters die, Hamheung version Baridegi presents female characters as they are unable to stand as social subjects within the Oedipal triangle of the father.
    The interpretation of Hamheung version Baridegi which centers on the formation of subjectivity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ather and mother, explores the academic implications of Hamheung version Baridegi as a basis for reading it in line with other versions of Baridegi.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우리어문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0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