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의학 고문헌 데이터 분석을 위한 단어 임베딩 기법 비교: 자연어처리 방법을 적용하여 (Comparison between Word Embedding Techniques in Traditional Korean Medicine for Data Analysis: Implementation of a Natural Language Processing Method)

1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7 최종저작일 2019.02
14P 미리보기
한의학 고문헌 데이터 분석을 위한 단어 임베딩 기법 비교: 자연어처리 방법을 적용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한의학원전학회
    · 수록지 정보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32권 / 1호 / 61 ~ 74페이지
    · 저자명 : 오준호

    초록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동아시아 전통의학 텍스트를 데이터로서 분석할 때 적절한 단어 임베딩 방법을 선택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한 것이다.


    방법 : 동아시아 전통의학의 치법을 함축하고 있는 방제 데이터를 대상으로 하여, 카운트 기반 단어 임베딩 방식 4가지와 예측 기반 단어 임베딩 방식 2가지를 적용하였다. 단어 임베딩 결과를 직관적으로 비교하기 위해 "방제 생성 게임"을 제안하였고, 그 결과를 가지고 단어 임베딩 결과를 비교해 보았다.


    결과 : 인접한 벡터를 추출 하였을 때, 카운트 기반 단어 임베딩 방식은 서로 자주 함께 사용되는 약대(藥對) 관계에 있는 본초들이 도출되었다. 이에 반해, 예측 기반 단어 임베딩 방식에서는 유의어 관계의 본초들이 도출되었다.


    결론 : 서로 함께 등장하는 본초를 이용하는 분석에서는 카운트 기반 단어 임베딩 방식이 더 효과적일 것으로 보인다. 이 가운데 TF 벡터 방식은 빈도의 효과가 과장되는 경향이 있으므로 TF-IDF 벡터나 벡터가 좀 더 합리적인 선택이 될 수 있다. 또한 빈도에서 찾을 수 없었던 색다른 정보를 탐색하기 위해서는 벡터와 같은 방법이 권장될 수 있을 것이다. 반면 문맥에서 유사한 의미의 본초를 도출할 때에는 예측 기반 임베딩 방식이 효과적일 것으로 보인다.

    영어초록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elp select an appropriate word embedding method when analyzing East Asian traditional medicine texts as data.
    Methods : Based on prescription data that imply traditional methods in traditional East Asian medicine, we have examined 4 count-based word embedding and 2 prediction-based word embedding methods. In order to intuitively compare these word embedding methods, we proposed a "prescription generating game" and compared its results with those from the application of the 6 methods.
    Results : When the adjacent vectors are extracted, the count-based word embedding method derives the main herbs that are frequently used in conjunction with each other. On the other hand, in the prediction-based word embedding method, the synonyms of the herbs were derived.
    Conclusions : Counting based word embedding methods seems to be more effective than prediction-based word embedding methods in analyzing the use of domesticated herbs. Among count-based word embedding methods, the TF-vector method tends to exaggerate the frequency effect, and hence the TF-IDF vector or co-word vector may be a more reasonable choice. Also, the t-score vector may be recommended in search for unusual information that could not be found in frequency. On the other hand, prediction-based embedding seems to be effective when deriving the bases of similar meanings in contex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6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