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전통적 지배 담론에 대한 저항과 텍스트의 완성을 위한 독자의 참여-차의 『딕테』(Dictee)를 중심으로 (Resistance to the Traditional Ruling Discourses and Readers’ Engagement for the Completion of the Text: Focused on Hak Kyung Cha’s Dictee)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6 최종저작일 2021.04
22P 미리보기
전통적 지배 담론에 대한 저항과 텍스트의 완성을 위한 독자의 참여-차의 『딕테』(Dictee)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아시아문화연구 / 55권 / 141 ~ 162페이지
    · 저자명 : 신만철

    초록

    『딕테』(Dictee)는 총 아홉 부분의 혼합된 글쓰기 스타일의 모음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 작품은 소설과 자서전의 경계를 오가고 있다. 이것은 마치 그녀 자신이 인종과 국적의 경계에서 오가며 어디에도 쉽게 편입될 수 없는 디아스포라 이민자였음을 연상하게 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자주 거론되는 것이 텍스트의 모호성이라고 할 수 있다.
    필자는 『딕테』를 분절된 단위가 구성하는 통일된 유기체로 보는 관점을 지니고 텍스트의 모호성을 탈출함으로써 작가의 명확한 의도를 도출해내고자 한다. 텍스트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 텍스트를 이루고 있는 단어들의 조합을 파악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할 것이다. 특히 이 작품은 비문자적 기록들이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어 더욱더 다층적 접근이 필요하다.
    텍스트가 지니는 이러한 모호성은 전통적 지배 담론에 대한 저항에서 비롯된다. 이러한 저항은 인과 관계의 기술과 동질적 요소들의 조합을 기반으로 하는 전통적 글쓰기에 대한 저항이기도 하다. 작가는 여성적 글쓰기를 통해 남성 중심의 이데올로기 속에서 배제되고 수난당한 여성들을 재조명한다. 작가의 이러한 시도는 포스트모던적 실험의 형식으로 제시된다.
    필자는 실험정신의 표현이라 할 수 있는 『딕테』를 분석하여 텍스트를 이루고 있는 갖가지 요소들, 예를 들어 영화 기법적 요소, 설명 없이 등장하는 사진과 도표 등의 비텍스트적 요소들이 어떻게 서로 이질적이지 않고 유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지 파악하고자 한다. 이 작업을 통해 우리는 지배계급이 소외한 계층들, 특히 여성과 이민자의 아픔을 기억하고, 디아스포라를 통해 축적된 상처를 치유하고자 하는 작가의 의도가 우리 독자의 텍스트 읽기 참여로 성취되는 것을 목격할 것이다.

    영어초록

    Dictee can be a collection of nine mixed writing styles and this work crosses the boundaries of a novel and an autobiography. This reminds us of diaspora immigrants since she herself was on the borders of race and nationality, but she could not be easily incorporated anywhere. In this respect, the ambiguity of this text is often discussed.
    I will derive Hak Kyung Cha’s clear intention by regarding Dictee as a unified organism which consists of segmented units and by escaping the text’s ambiguity. In order to understand this text, it is highly important to figure out the combinations of words that make up the text. In particular, this work requires a more multi-layered approach as the number of non-textual records are relatively large.
    This ambiguity of the text stems from the resistance to the traditional ruling discourses. Also, this is a resistance to the traditional writing which is based on the description of a causality and the combination of homogeneous elements. Through women’s writing, the author re-examines the women who have been excluded and suffered from pains in the male-centered ideology. This attempt is presented in the postmodern experiments.
    I will present how non-textual elements of Dicte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organically by analyzing various non-textual elements such as cinematic techniques, uncaptioned photographs, and diagrams, etc. Thus, it will be observed that the author’s intention to remember the pain of the underprivileged such as women and immigrants and heal the wounds accumulated through the diaspora is achieved through readers’ engagement in reading the tex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아시아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4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