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생성예술 계보 속 생성형 인공지능 기반 예술에 관한 연구 - 생성예술의 시스템적 관점으로 본 디퓨전 모델 (A Study on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Art in the Genealogy of Generative Art - Diffusion Model from a Systematic Perspective of Generative Art)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6 최종저작일 2023.12
30P 미리보기
생성예술 계보 속 생성형 인공지능 기반 예술에 관한 연구 - 생성예술의 시스템적 관점으로 본 디퓨전 모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중앙대학교 인공지능인문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인공지능인문학연구 / 15권 / 236 ~ 265페이지
    · 저자명 : 신종천

    초록

    본 연구는 최근 주목받고 있는 생성형 인공지능 기반 예술의 정체성을 밝히기 위해 생성예술의 핵심요소인 시스템을 분석하고 인공지능 이미지 생성 모델을 생성예술의 계보와 이론 속에서 논의한다. 생성예술가이자 이론가인 필립 갈란터 (Philip Galanter)는 생성예술을 예술가가 일련의 자연스러운 언어 규칙,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다른 절차적 고안물과 같은 어느 정도의 자율적인 움직임을 가지 는 시스템을 사용하는 예술 실천으로 정의한다. 이러한 생성예술의 핵심은 시스 템의 사용이고, 컴퓨터와 프로그램을 활용하는 생성예술의 미적 지향점은 복잡시 스템이다. 유전시스템이나 인공생명과 같은 복잡시스템을 활용하는 생성예술이 드러내고자 하는 미적 가치는 질서도를 높이는 요소와 무질서도를 높이는 요소 를 동시에 사용하면서 예측하지 못한 자기고유성을 드러내는 것에 있다. 그것은 그 시스템이 돌연변이나 노이즈를 얼마나 확장적으로 수용할 수 있느냐와 연관 된 것으로 다양성과 복잡성을 확보할 수 있는 관건이 된다. 흥미롭게도, 인공지 능을 이용한 이미지 생성기술들 중 최근에 등장한 디퓨전 모델(Diffusion Model, DM)의 경우 생성예술이 지향하는 복잡시스템의 미적 활용에 가깝다. 열역학에 서 아이디어를 가져온 디퓨전 모델은 노이즈를 의도적으로 주입하는 정방향 확 산과 학습을 통해 노이즈를 제거하는 역방향 복원 과정을 통해 예상하지 못한 다양한 이미지를 생성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예술가의 직관을 뛰어넘으면서도 예술가가 바라던 결과물에 근접하도록 만드는 디퓨전 모델은 생성예술의 매력적 인 도구가 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analyzes the system, which is a key element of generative art, and discusses the AI image generative model in the genealogy and theory of generative art, in order to reveal the identity of generative AI-based art. Philip Galanter, a generative artist and theorist, defines generative art as any art practice where the artist uses a system, which is set into motion with some degree of autonomy, such as a computer program or procedural invention. The core of generative art is the use of systems, and the aesthetic goal of generative art that uses computers and programs is to create a “complex” system such as a genetic system or artificial life. The aesthetic value that generative art seeks to reveal lies in creating unexpected uniqueness while simultaneously using elements that increase from the highly ordered to the highly disordered. It is related to how extensively the system can accommodate mutations and noise, and secure diversity and complexity. Interestingly, the Diffusion Model(DM), which has recently appeared among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is a case of the aesthetic use of complex systems, which generative art aims for. The diffusion model, which takes ideas from thermodynamics, can create a variety of unexpected images through forward diffusion, which intentionally injects noise, and a reverse restoration process, which removes noise through learning. As a result, the diffusion model, which exceeds the artist’s intuition while also bringing it closer to the artist’s desired result, can be an attractive tool for generative ar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공지능인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콘크리트 마켓 시사회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