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승강장에서 스마트폰 등의 자기자원을 활용한 대기행위와 이용 환경간의 상관성 - 시 환경과의 관계성을 중심으로 - (The Interrelatedness of the Use Environment and Own Resource-Based Waiting Behavior at Railway Platforms such as the Use of Smartphones – Focused on the Interrelatedness with the Visual Environment-)

1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6 최종저작일 2019.08
14P 미리보기
승강장에서 스마트폰 등의 자기자원을 활용한 대기행위와 이용 환경간의 상관성 - 시 환경과의 관계성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14권 / 4호 / 277 ~ 290페이지
    · 저자명 : 문서현, 윤철재, 조연주

    초록

    (연구배경 및 목적) 현대 스마트 IT시대의 공간적 제약 없는 스마트 폰의 활용은 일시적 유행을 넘어서는 라이프 스타일의 대 혁신이자 새로운 주류의 패러다임이지만 이와 같은 편리함 이면에는 생활 속 IT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져, 특히 공공영역에서의 이용활성화에 따른 부작용과 안전의 위협도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가장 대표적 공공교통시설인 역에서 일시적 대기와 이동을 수행하는 기능적 거점으로서 열차운행과 직접관련이 있으며, 한정된 공간 범위적 특성으로 인해 기타의 공공영역에 비하여 다수의 스마트폰 활용이 더욱 공간의 기능성과 공공성을 저해하는 위험요인으로 작용되는 철도 승강장을 연구의 공간적 범위로 하여 스마트 폰 등의 자기자원을 활용한 대기행위가 활성화되는 환경요인을 도출하여 환경과 행위 간 상관성 이론으로 체계화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승강장의 물리적 이용 환경 구성의 기본이 되는 지상과 지하의 위치관계 및 상대식과 섬식의 설치유형, 그리고 전락방지 안전시설(스크린 도어)의 설치유무부터 시간대별 이용혼잡도를 기준으로 유형화한 이용 환경의 내용과 스마트 폰 등의 자기자원을 활용한 시선처리 행위간의 상관성을 고찰하였다. (결과)「지하의 섬식 승강장에 스크린 도어같은 전락방지 시설이 설치된 안전하고 시각적 패쇄감이 높은 환경」에서 자기 매체와의 상호작용이 승강장의 공간 자원보다 강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향후 이 같은 대기행위의 지속적 증가의 대비를 위해서 승강장내 시선처리와 관련된 시 환경과 행태의 상호성을 토대로 하는 개선방안의 모색이 필요한 시점으로 생각되어 진다. 개선방안의 모색을 위하여 간접 배경 자원의 내용을 기준으로 4개의 시 환경 유형별 정의하고 환경과 시선 처리 행위의 빈도를 분석한 결과, 스마트 폰 등의 자기자원을 활용한 시선 처리의 빈도가 가장 높은 시 환경은「배경 자원의 밀도가 높은 지하의 상대식 플랫폼」인 유형 4로서 전체의 57.42%의 발생 빈도를 보였다. 즉, 자기 자원을 활용한 시선 처리 행위는 지상보다 지하에서, 광고 등의 배경 자원 밀도에 비례하여 발생 빈도가 증가하는 경향이 분석되었다. (결론) 이상에 고찰에서와 같이 스마트 폰을 중심으로 하는 자기 자원 활용형의 대기행위를 저감시키기 위한 승강장 환경의 정비의 요소는 광고를 중심으로 하는 간접 배경 자원(시 환경)이 될 수 있다. 일 방향적 단순 광고에 의한 배경 자원의 밀도가 높아질수록 자기 자원을 활용한 시선 처리 행위가 증가하고 있는 것에 주목하고, 여기에 적절한 광고 시설의 설치와 운영을 통해서 시 환경의 개선을 도모할 필요가 있다.

    영어초록

    (Background and Purpose) In this age of smart IT, there have been adverse effects and safety concerns associated with the increased use of smartphones in public spaces. In view of this, we examine railway stations as the spatial scope of this study, as they represent functional bases of temporary waiting and transit in direct connection with the most representative means of public transportation. Furthermore, owing to the constrained spatial characteristic of platforms, the widespread use of smartphones represents a greater threat factor to their spatial functionality and public quality relative to other public spaces. By doing so, this study aims to provide the basis for systematizing a theory of interrelatedness between the environment and behavior through deriving the environmental factors under which own resource-based waiting behavior, such as the use of smartphones, is activated. (Method) This study categorizes platforms based on the basic physical components of their use environment, including the type of ground-level/underground-level arrangement, side/island type layout, whether screen doors (safety features to prevent falling) exist, and congestion levels by time of day, and how they are interrelated with own resource-based eye movements, such as the use of smartphones. (Results) We found that, in the case of “safe and highly enclosed environments such as underground island platforms with screen doors or other anti-falling barrier features,” interaction with one’s own media dominated the spatial resources of the platform. In preparation for the continued growth of such waiting behavior in the future, we believe that there is a need to consider improvement measures based on the interrelatedness between the visual environment and behavior, with regard to eye movements inside platforms. To explore such measures, we defined four types of visual environments based on indirect background resources and analyzed the eye movement frequencies of each. Results indicated that the visual environment with the highest frequency of own resource-based eye movement was the “underground platform with a high density of background resources” (type 4), which was associated with 57.42% of the occurrences. Thus, there was a higher tendency for own resource-based eye movement in underground than ground-level platforms, and in places with higher densities of background resources, such as ads. (Conclusions) As seen here, the relevant factor in maintaining platform environments for reducing own resource-based waiting behaviors, such as smartphone use, may be indirect background resources (i.e., visual environment)—in particular ads. We should focus on the fact that own resource-based eye movement tends to increase with the density of background resources such as simple unidirectional ads, which points to the need for improving visual environments through the installation and operation of adequate advertisement facilit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3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