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정몽주(鄭夢周) 문집의 증보추이 고찰 -교서관본, 영천초각본, 개성재각본, 속집본 등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upplementation Progress of Collection of Jeong Mong-Ju's Works -With a focus on the Gyoseogwan, Yeongcheonchogak, Gaeseongjaegak, and Sokjip books)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6 최종저작일 2017.06
22P 미리보기
정몽주(鄭夢周) 문집의 증보추이 고찰 -교서관본, 영천초각본, 개성재각본, 속집본 등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포은학회
    · 수록지 정보 : 포은학연구 / 19권 / 73 ~ 94페이지
    · 저자명 : 안장리

    초록

    본고에서는 포은집의 14종 판본의 증보 상항을 개괄하되 특히 증보규모가 컸던 교서관본, 영천초각본, 개성재각본, 속집본 등을 집중적으로 고찰하였다.
    본고에서는 교서관본의 증보 기준은 수록범위의 확장, 문학성 강화, 국왕위상의 강화에 있음을 밝혔다. 첫째, 정몽주의 글만 있던 기존 판본과 달리 정몽주의 일상생활과 유적 자료, 정몽주 차운(次韻) 작품의 원작품, 정몽주에 대해 언급한 당대 및 후대의 자료 등으로까지 수록범위를 넓혔다. 둘째, 문집 체제를 주제 중심에서 시체(詩體) 중심으로 바꾸었다. 셋째, 대두법(擡頭法) 사용에 있어서 중국황제보다 조선국왕을 더 높이는 태도를 취했다.
    영천초각본에서 유성룡은 목록, 습유 등의 항목을 새로 추가하고 연보, 잡저, 부록 등은 기존 내용을 대폭 수정하거나 정리하여 문집의 체계를 확정하였다. 개성재각본과 속집본은 정찬휘가 1719년까지의 정몽주 관련 언급을 대폭 첨부하여 만든 속집을 바탕으로 개성 및 영천에서 만든 판본들이다. 정찬휘는 특히 정몽주가 고려 우왕을 섬긴 일과 관련된 논란에서 이황, 조광조 등의 우호적인 발언을 수록하여 정몽주의 위상강화에 기여하였다.
    본고는 포은집 판본의 대표적 증보 양상에 대해 고찰하고 이들 증보에서 단순한 분량 확장 이상의 편찬 목적이 있었음을 밝힌 의의가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set out to examine the supplementation of 14 woodblock-printed books in Poeunjip, focusing on the Gyoseogwan, Yeongcheonchogak, Gaeseongjaegak, and Sokjip books whose supplementation size was huge.
    The supplementation criteria of Gyoseogwan book included the expansion of inclusion scope, reinforcement of literary value, and strengthening of king's status. First, it expanded the scope of inclusion to the materials about the daily life and relics of Jeong Mong-ju, his original works of Chawun works, and the materials that mentioned him by his contemporaries and later generations unlike the old woodblock-printed books that only contained his writings. Secondly, there was a shift from topics to poetic styles in the system of collection of his works. Finally, the status of Joseon kings was heightened further than that of Chinese emperors in the use of Daedubeop.
    In Yeongcheonchogak book, Yu Seong-ryong added the list and addendum items and largely revised or sorted out the old content including the chronological lists, miscellaneous writings, and supplements, thus confirming the system of collection of his works. The Gaeseongjaegak and Sokjip books were based on the Sokjip, which was made by Jeong Chan-hui by adding a large amount of mentions about Jeong Mong-ju until 1719, in Gaeseong and Yeongcheon, respectively. He contributed to the reinforced status of Jeong Mong-ju by including favorable remarks about him by Lee Hwang and Jo Gwang-jo in the controversy of his service to King Wu of Goryeo.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representative supplementation patterns of woodblock-printed books of Poeunjip and demonstrated that there were more purposes of their publication in addition to a simple increase of quant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포은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