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인공지능 시대의 리터러시에 관한 시론적 탐색 ― ChatGPT, 글쓰기 능력, 대학 글쓰기 교육 등에 초점을 맞추어 (An Introductory Exploration of Literacy in the Age of Artificial Intelligence ― Focusing on ChatGPT, Writing Skills, and University Writing Education)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6 최종저작일 2023.09
33P 미리보기
인공지능 시대의 리터러시에 관한 시론적 탐색 ― ChatGPT, 글쓰기 능력, 대학 글쓰기 교육 등에 초점을 맞추어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비평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비평문학 / 89호 / 53 ~ 85페이지
    · 저자명 : 홍래성, 윤정안

    초록

    이 글은 인공지능 시대의 리터러시를 고찰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이때 효과적인 논의를 위해 범위를 한정했다. AI와 관련해서는 ChatGPT로만, 리터러시와 관련해서는 [읽다—기존 정보(지식)의 수용]에서 [쓰다—새로운 정보(지식)의 창조]까지 이어지는 능력, 곧 글쓰기 능력으로만 초점을 맞춘 것이다.
    2장에서는 ChatGPT의 경과와 현황을 살펴보았다. 하이프 사이클에 비추어볼 때, ChatGPT가 놓인 위치는 유행기이거나, 혹은 유행기에서 환멸기로 넘어가는 과도기라고 여겨진다. ChatGPT를 하나의 특이점으로 간주하는 견해와 ChatGPT를 헛소리 생성기로 취급하는 견해가 동시 공존한다는 사실은 이를 방증한다. 다만 앞으로 ChatGPT를 도외시하는 삶은 어려우리라는 예측 및 그러므로 ChatGPT를 어떻게 활용하느냐가 중요시되리라는 예측에 대해서는 어느 쪽이든 수긍하는 면모를 보여주는바, ChatGPT가 불러일으킬 변화를 미리 준비하는 자세를 취할 필요가 있다. 특히 ChatGPT는 글쓰기에 대해 강력한 영향을 미칠 것이 분명하기에 이를 둘러싼 고민이 긴요하다.
    3장에서는 ChatGPT를 통한 글쓰기를 어떻게 바라보아야 하는가를 살펴보았다. 우선 ChatGPT를 통한 글쓰기를 부정하는 견해와 ChatGPT를 통한 글쓰기를 긍정하는 견해를 검토했다. 상반된 두 개의 견해는 제각기 설득력 있게 논의를 펼치고 있다. 그러나 여러모로 의문이 드는 대목도 적지 않다. 과연 글쓰기는 인간의 실존에까지 연결되는 것인가, 과연 글쓰기를 인간이 더 이상 할 필요가 없게 될 것인가. 여기까지에 이르면 쉽사리 동의하기가 어려워진다. 앞으로의 글쓰기 과정에서는 ChatGPT를 일절 배제하기가 어려울 것이다. 그렇다고 ChatGPT에게 모든 걸 위임할 수는 없을 것이다. 따라서 무엇보다 중요한 사실이란 ChatGPT로부터 도움을 받는다고 할지언정 글에 대한 최종 판단은 인간이 내려야만 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를 위해서는 당연히 ChatGPT를 효과적으로 다루는 기술을 습득해야 하되, 보다 근본적으로 보아 [읽다—기존 정보(지식)의 수용] 및 [쓰다—새로운 정보(지식)의 창조]의 역량을 그 자체로 함양할 필요가 있다.
    4장에서는 서평 쓰기 방안을 소개했다. [읽다—기존 정보(지식)의 수용] 및 [쓰다—새로운 정보(지식)의 창조]의 역량을 그 자체로 기르고 닦는 데 있어 일반적으로 활용되는 방안이자 효과적이라고 인정받는 방안이 곧 서평 쓰기인 까닭이다. 도서 소개형 서평, 논증 심화형 서평, 사고 발산형 서평으로 단계를 구분하여 진행하는 과정을 제시했거니와, 실제 학생들의 사례를 구체적으로 제시했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aimed to examine literacy in the age of artificial intelligence. The article limited its scope for effective discussion. It focused solely on ChatGPT in relation to AI, and it centered on the ability to write, which extends from [reading (the reception of existing information or knowledge)] to [writing (the creation of new information or knowledge)] in relation to literacy.
    In Chapter 2, This article examined the progress and current status of ChatGPT. When viewed in the context of the Hype Cycle, ChatGPT's position is considered to be during a ‘Peak of Inflated Expectations’ or a transitional period from the ‘Peak of Inflated Expectations’ to the ‘Trough of Disillusionment’ period. This is evidenced by the coexistence of the perspective that regards ChatGPT as a singularity and the perspective that treats ChatGPT as merely a nonsense generator. However, it is predicted that it will be difficult to live without ChatGPT in the future, and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prepare for the changes ChatGPT will bring, regardless of which prediction one agrees with. Especially considering that ChatGPT is expecte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writing, it is crucial to engage in discussions surrounding it.
    Chapter 3 delves into how we should perceive writing through ChatGPT. First, This article examined the perspectives that endorse and oppose writing through ChatGPT. These two contrasting viewpoints present convincing arguments in their own right. However, there are also several aspects that raise questions. Is writing truly connected to the essence of human existence, or will it become something humans no longer need to do. Once we reach this point, it becomes challenging to readily agree. In the future of writing, it will likely be impossible to entirely exclude ChatGPT. However, it will also be impossible to fully delegate it. Therefore, the most important fact is that, even when receiving assistance from ChatGPT, the final judgment regarding writing must be made by humans. To achieve this, it is necessary to cultivate the capacity for [reading (the reception of existing information or knowledge)] and [writing (the creation of new information or knowledge)].
    In Chapter 4, This article introduced strategy to writing book reviews. Writing book reviews is generally recognized as an effective means of cultivating the capacity for [reading (the reception of existing information or knowledge)] and [writing (the creation of new information or knowledge)]. This article outlined a process that differentiates between book introduction-type reviews, argumentative in-depth reviews, and thought-provoking reviews, while also providing specific examples from actual studen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비평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4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