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의 안중근연구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하나) -십자가총알설, 의거성공·감사 기도설 등을 중심으로- (Critical review of the study on Korean Martyr An Jung Guen -focusing on the cross-carved bullets and his grace for accomplishment of mission-)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6 최종저작일 2012.06
32P 미리보기
한국의 안중근연구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하나) -십자가총알설, 의거성공·감사 기도설 등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남북문화예술학회
    · 수록지 정보 : 남북문화예술연구 / 10호 / 231 ~ 262페이지
    · 저자명 : 신운용

    초록

    필자는 이 글의 목적을 십자가총알설, 의거성공·감사 기도설 등을중심으로 한국의 안중근연구를 비판적 시각에서 살펴보는 데 두었다.
    십자가총알설은 유동선의 주장이 전혀 근거 없다는 점, 안중근이 일관되게이를 부정하고 있다는 점 등에서 사실이 아닐 가능성이 크다. 또한 이토처단성공·감사 기도를 올렸다는 설도 재판기록에서 확인되듯 안중근이 지속적으로 부정한다는 점, 이토의 사망사실을 확실히 안 시점이 의거 후 약 2달이 지난 1909년 12월 22일이었다는 점에서 사실이 아님을 알 수 있다.
    이토 히로부미 사망 일시에 맞추어 안중근 사형을 집행했다는 설은 사형집행시간과 집행명령이 일제의 법률로 정해져 있었다는 점, 사형이 예정되어 있던25일이 순종의 생일과 겹쳐 국내외의 여론에 악영향을 끼칠 우려 때문에 26일 사형을 집행했다는 점에서 허구라고 하겠다.
    안중근 장남 안우생(安祐生)이 일제에 독살당했다는 설은 안우생이 병사한사실을 밝힌 권업신문의 기사에서 사실이 아님을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수의를 고향의 어머니가 보냈다는 설은 56원에 고향에서 사서 보냈다는 만주일일신문의 기사를 근거로 바로잡을 수 있다.
    안중근과 그의 의거와 관련하여 가장 많이 왜곡된 부분은 바로 안중근관련사진 설명이다. 잘못 설명된 대표적인 사진은 사진 1·사진 2·사진 3이다. 사진 1은 사진 2와 쌍을 이루는 것이라는 점과 만주일일신문의 안중근 등의 호송에 관한 기사에서 보건대 여순법원으로 향하는 장면임이 확실하다. 사진 2는 법률신문의 설명을 근거로 볼 때 법원에 도착하는 장면임이 증명된다. 사진3은 만주일일신문 1910년 2월 4일자의 사진(사진 5) 속의 안중근부분을 편집한 것이다. 사진 5는 안정근이 만든 5종류의 안중근엽서에 활용되었을 뿐만아니라, 박은식의 『안중근』과 신한국보사가 발행한 1913년 1월달 달력 등에서도 발견된다. 사진 6은 고등학교 교과서에 1910년 3월 24일 촬영된 것으로잘못 설명되고 있다. 이는 3월 8일의 면회장면이다.
    또한 안중근의사숭모회에서 발간된 책자들로 널리 알려진 안중근 유언은1935년 10월 15일자 신한민보에 근거한 것이라는 사실도 알 수 있다.

    영어초록

    The study about Korean Martyr An Jung Guen received great attention right before and after the centennial anniversary of his death. However, it is true that there are still some misunderstandings of his death. That is, firstly, wrong translations on the implication of cross-carved bullets. Second is about the falsehood that An made grace for having the mission accomplished since he confirmed Ito Hirobumi’s death at the scene. Third is the rumor that Japanese secret agents poisoned An Woo Saeng, An Jung Guen’s son to death. Fourth is arguments on which is the last one among his calligraphic works, the explanation on his pictures, as well as the truth about his shroud known that it was sent by Cho Maria, his mother.
    Firstly, considering the great difference between the assertion of An Jung Guen and Yu Dong Seon, the implication on the cross-carved bullets, which has been insisted An carved it praying the success of eradication Ito, is found to be wrong. As we can find it from the records of the trial of An Jung Geun, it is sure that he did not make grace right after firing the gun Ito Hirobumi as he never knew Ito’s death until December 22th, 1909.
    Secondly, when questioning the correlation of An’s execution and the date of Ito’s death, we find no links between them regarding the fact that they gave An the death penalty strictly following Japanese constitutional law. Japanese Empire then postponed An’s execution on purpose fearing the impact of his death to the Korean public opinion as well as considering his execution date was overlapped King SunJong’s Birthday.
    Thirdly, according to the article of KwonEop Newspaper(권업신문), the poison killing of An’s son by Japanese secret agent also proves wrong. The article of Daily Manchu(만주일일신문) shows the fact the shroud was purchased at the price of 56won and sent to An Jung Guen in Lushun Prison by his brothers.
    What has been most distorted, however, is the explanation of An’s pictures: picture number 1 and 2(see the main text) surely show the scenery of the transport of An to Lushun Court. The article of Daily Manchu confirms it. Picture number 2 especially reveals the moment of arriving at the court of Lushun according to the article of Law Times in Japan(법률신문) at that time. Picture number 3 is the one extracted from the picture number 5 which was contained in the article of Daily Manchu(만주일일신문)published on February 4th1910. We can also find this picture used as memorial post cards in the honor of An Jung Guen and the calendar of January 1913, published by 262 『남북문화예술연구』 통권 제10호New Korean Times (신한국보). Picture number 6, which was taken on march 24th 1910 inserted in present Korean history text book, actually shows the moment of visit hours of An and his family members in Lushun prison. Also, the will of An Jung Guen is not the direct words of his before the execution but actually adopted by An Byung Chan. It was later reported in the article of New Korean Times(신한국보) on October 15th 1935.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남북문화예술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2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