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中國書法’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 등재 관점에서 바라본 韓·中·日 3國, 書藝遺産 위치 고찰 (Chinese calligraphy, from the perspective of UNESCO Intangible Heritage of Humanity in China, a review of the current status of calligraphy heritage in Korea, China, and Japan.)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6 최종저작일 2022.02
32P 미리보기
‘中國書法’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 등재 관점에서 바라본 韓·中·日 3國, 書藝遺産 위치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동양예술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양예술 / 54호 / 247 ~ 278페이지
    · 저자명 : 김정남

    초록

    지금 한국은 귀중한 전통문화유산 중 하나인 서예유산이 급속하게 퇴조하고 있다. 정부에서 조차 그리 관심이 없고, 거의 대중들 관심밖에 있다. 이러한 차제에 역사적으로 서예문화가 꽃피었던 한·중·일간에는 서로 문화의 정체성과 문화주권적 차원에서 많은 부분에서 갈등이 일어나고 있다.
    본 논문은 특히 한·중간의 대표적 갈등의 뿌리가 되고 있는 중국의 동북공정에서 시작하여 문화주권적 차원에서 서예유산에 대한 한·중·일 3국의 현황을 고찰하였다. 그중에서 中國書法이 2008년도에 유네스코 인류무형우산 등재되었는데, 특히 이에 주목하고 이 관점에서 한·중·일 3국의 서예유산에 대한 국가적·국민적 관심과 현황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하여 한국 서예계의 현황을 냉철히 객관적으로 분석, 현 상황에서 우리 서예계가 취해 나가야할 방향과 구체적인 대안을 제시하였다.
    중국은 대략 1990년대부터 통일적 다민족국가론에 의거 노골적으로 중국내 55개의 소수민족의 문화를 자국의 역사로 편입하였다. 이와 관련한 한국과의 문제는 조선족과 관련된 것으로 중국은 동북공정사업을 진행하게 된다. 북한이 2001년에 고구려고분군을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신청 한 것이 동북공정의 결정적 계기가 되었다. 이후 중국은 2004년에 고구려고분군을 북한과 같이 유네스코 세계유산등재에 성공한다. 그리고 한국이 2005년에‘강릉단오제’를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에 등재한 이후부터 중국은 만주지역의 조선족과 관련 무형유산(아리랑, 씨름, 농악, 한복, 가야금 등)을 자국 국가유산으로 지정하기 시작한다.
    서예유산과 관련, 중국은 2008년도에 국가유산으로 등재한데 이어 2009년도에는‘중국서법’을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에 등재하기에 이른다. 일본도 중국의 이러한 움직임에 대응하여 2015년에 일본서도를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등재를 위해‘일본서도 유네스코 등록 추진위원회’를 발족하여 활동하고 있다. 그런데 한국 서예유산의 경우는 이러한 국제적인 상황과는 정반대 방향으로 대처해가고 있다. 한국은 서예유산 국가지정문화재 지정을 부결처리 하였고, 서예유산 인프라도 중국과 일본과 비교해보면 말할 수 없을 정도로 열악하다. 이에 대한 자각도 거의 없는 상황이다.
    이 같은 상황에서 정부와 서예계에 서예유산을 중요성과 회생의 당위성을 적시하고, 현재적 입장에서의 당면과제·실천방안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아울러 이와 관련한 정책적 대안을 제시하였다.

    영어초록

    Now, calligraphy heritage, one of the valuable traditional cultural heritages in Korea, is rapidly declining. Even the government is not very interested, and almost the public is only interested. Under these circumstances, in Korea, China, and Japan, where calligraphy culture has historically blossomed, conflicts arise in many areas in terms of cultural identity and cultural sovereignty.
    In particular, this paper began with China's Northeast Process Project, which is the root of the representative conflict between Korea and China, and examined the current status of the three countries on calligraphy heritage at the cultural sovereignty level. Among them, the Chinese Calligraphy was registered as a UNESCO Intangible Heritage of Humanity in 2008, and from this point of view, we looked at the national and public interest in calligraphy heritage of the three countries, Korea, China, and Japan. Through this, the current status of the Korean calligraphy community was objectively analyzed, and the direction and specific alternatives that the Korean calligraphy community should take in the current situation were presented.
    China has explicitly incorporated the cultures of 55 minorities in China into its own history in accordance with the unified multi-ethnic state theory since approximately the 1990s. The problem with Korea is related to the Korean-Chinese, and China will carry out the Northeast Process Project. North Korea's application for the listing of the Goguryeo Tombs as a UNESCO World Heritage Site in 2001 served as a decisive opportunity for the Northeast Process. Afterwards, China succeeded in registering the Goguryeo Tombs as UNESCO World Heritage Site like North Korea in 2004. And after Korea registered Gangneung Danoje as a UNESCO Intangible Heritage of Humanity in 2005, China began to designate intangible heritage (Arirang, Ssireum, Nongak, Hanbok, Gayageum, etc.) related to ethnic Koreans in Manchuria as its national heritage.
    Regarding the calligraphy heritage, China was registered as a national heritage in 2008, and in 2009, the Chinese Calligraphy was registered as a UNESCO Intangible Heritage of Humanity. In response to China's move, Japan also launched the UNESCO Registration Promotion Committee in Japan in 2015 to register Japanese Seodo as a UNESCO Intangible Heritage of Humanity. However, in the case of Korean calligraphy heritage, it is cop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is international situation. Korea rejected the designation of a nationally designated cultural property as a calligraphy heritage, and the calligraphy heritage infrastructure is indescribably poor compared to China and Japan. There is little awareness of this.
    In this situation, the government and the calligraphy community indicated the importance of the heritage and the justification for rehabilitation, and described the immediate challenges and action measures from the current standpoint. In addition, policy alternatives related to this were propos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17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0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