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孟子』 "浩然章"에 관한 이토 진사이(伊藤仁齋)와 정약용 해석의 비교연구 (A Study on the interpretation of Ito Jin-Sai and Jung Yak-Yong about the Vast-Flowing Spirit Chapter(浩然章) of the Mencius)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6 최종저작일 2019.08
38P 미리보기
『孟子』 "浩然章"에 관한 이토 진사이(伊藤仁齋)와 정약용 해석의 비교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양철학연구회
    · 수록지 정보 : 동양철학연구 / 99호 / 89 ~ 126페이지
    · 저자명 : 김경희

    초록

    맹자의 <浩然章>에 대한 연구는 실천적 윤리 사상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진사이와 정약용은 <浩然章>에 대해 주자학적 사유 체계를 비판하고 독자적인 관점을 제시하였다. 진사이는 고금의 학자들이 부동심을 학문의 최고 경지로 본 것을 부정하고, 이것은 속된 견해에 지나지 않는다고 비판하였다. 하지만 정약용은 높은 지위를 맡은 사람이 부동심을 가장 귀하게 여겨야 한다고 생각함으로써 진사이 보다는 부동심(不動心)에 대하여 실제의 일에 임하여 일을 결정하거나 처리하는 실천적 관점을 중시하였다.
    진사이는 호연지기를 양성(養成)하는 데에 있어서 주희의 ‘체단(體段)’설을 부정한다. 왜냐하면 진사이가 호연(浩然)이라는 용어를 ‘체단(體段)’이라는 말로 설명하면 ‘성대하다’는 뜻만 있고, ‘지극히 강하다[至剛]’라는 뜻을 볼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말로 표현하기 어렵다[難言]’라는 의미도 자연히 서로 부합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진사이에 의하면 맹자의 학문은 인의(仁義)를 으뜸으로 하며, 호연지기 역시 인의(仁義)의 효과를 가리켜 말한 것이다. 진사이는 인의(仁義)의 마음을 가지면 인의(仁義)의 기(氣)를 갖는데, 인의(仁義)의 기(氣)가 바로 호연지기라고 주장하였다. 정약용은 호연의 기운이란 마구 생성시킬 수도 없으며, 억지로 기를 수도 없는 것이라고 하였다. 오직 도로 말미암아 의를 행하여 날로 실천하고 선을 쌓은 사람은 땅을 굽어보고 하늘을 우러러 보아도 부끄러운 마음이 없고 안으로 반성해 보더라도 만족하지 않음이 없다. 호연지기에 대해 진사이는 주희의 체단설을 부정하였고, 정약용은 주희의 ‘이기설(理氣說)’의 기(氣)와 호연지기를 혼동해서 말하는 것에 대해서 비판하였다.
    진사이가 지(志)를 잘 유지하면서도 기(氣)를 잘 돌볼 수 있는 근거는 ‘인의(仁義)’일 뿐이라고 주장한다. 하지만 정약용은 마음이 발현해서 지(志)가 된 것이고, 지(志)는 기(氣)를 부리고 기(氣)는 혈(血)을 부리게 된다는 것을 전제로 지(志)는 기(氣)의 장수이고, 기(氣)는 혈(血)을 거느리는 것이 된다고 제시하였다. 진사이는 심(心)과 지(志)⋅기(氣)의 관계를 설명하였으나, 정약용은 지(志)를 심(心)⋅기(氣)⋅혈(血)의 관계에서 파악하고 자세하게 설명했다는 점에서 구별된다. 정약용은 주희의 우주론적 차원의 ‘이기설(理氣說)’을 부정하고, 신체 안에 있는 것을 기(氣)라 하고 천지 안에 있는 것도 기(氣)라고 하여 생명 에너지로써 기(氣)를 주장하였다.
    진사이가 지언(知言)은 마음을 보존한 결과이며, 양기(養氣)는 본성을 잘 기른 결과라고 하여 ‘존심양성(存心養性)’으로 이해하였다. 진사이의 지언(知言)과 양기(養氣)에 대한 관점은 주희의 리의 형이상학적 차원을 인정하지 않았고, 마음을 보존하고 수양하여 실천하는데 중점이 있다. 정약용은 말이 치우치고 음탕한 병통이 마음의 ‘병의정직(秉義正直)’에 달려있다고 보았다. 때문에 정약용은 마음이 정리(正理)에 밝아서 가려짐이 없게 한 후에 말이 공평하고 올바르다고 말한 주희의 명리설(明理說)을 비판하였다.
    진사이와 정약용은 <浩然章>에 대한 해석에서 주희의 리(理)의 형이상학적 차원을 인정하지 않고, 사람들이 호연지기를 지속적으로 함양할 수 있는 수양과정을 통하여 부동심에 이르고 궁극적으로는 사람으로서 덕이 갖추어진 경지에 이를 수 있는 실천력을 강조하였다. 그런데 <浩然章>에서 정약용의 철학적 시각이 진사이의 입장과 다른 점은 주희의 주석을 비판하면서도 지지하고, ‘도의가 없으면 기가 주리게 된다.’는 여조검의 관점에 동의하는 고증학적 해석을 통하여, 맹자의 ‘부동심’과 ‘호연지기’를 분석하여 실학적인 수양론의 체계를 구축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두 학자의 관점에서 호연지기(浩然之氣)에 내함 된 의미들을 선명하게 이해하고, 동시에 <浩然章>에 대한 보다 풍부하고 명료한 해석의 토대를 기대한다.

    영어초록

    The study on the Vast-Flowing Spirit Chapter(浩然章) of the Mencius is closely related to practical and ethical ideas. Ito Jin-Sai(伊藤仁齋1627-1705) and Jeong Yak-Yong(丁若鏞 1762-1836) criticized the thinking way of Zhu Xi school about the Chapter and presented their own perspectives. Jin-Sai denied that scholars, ancient and modern, regarded the Imperturbable Heart&Mind(不動心) as the highest state of scholarship and criticized it as a mere view. However, by suggesting that high-ranking people should value it most, Jeong Yak-Yong emphasized the practical view of deciding or dealing with the actual work on it rather than Jin-sai.
    Jin-Sai denied the tǐ duàn(體段, the sprout of the body) theory of Zhu Xi for nourishing the Vast-Flowing Spirit Nature(浩然之氣). If scholars describe the term 浩然 as the tǐ duàn(體段), it means the magnificence but does not represent its extremely strong, and the meaning that it is difficult to express in words does not naturally coincide with each other. According to Jin-Sai, the study of Mencius is the best of Humanity&Righteousness(仁義), and the Vast-Flowing Spirit Nature also refers to the effects of Humanity&Righteousness.
    Jin-Sai insisted that if scholars held the Humanity&Righteousness, they had the energy of Humanity&Righteousness, which is the Vast-Flowing Spirit Nature. Jung Yak-yong said that the energy of the Vast-Flowing Spirit cannot be sprouted infinitely. Only those who practice righteousness through the Way and accumulate the goodness will not be ashamed to look upon the earth and look up to the heavens and also will be no dissatisfaction in reflection on themselves. Jin-Sai rejected the tǐ duàn(體段, the sprout of the body) theory of Zhu Xi and Jung Yak-Yong criticized confusing the Material Force of the Principle and Material Force theory with the energy of the Vast-Flowing Spirit.
    Jin-Sai argued that the only reason to take good care of the Material Force while maintaining the Will(志) is to support the Humanity&Righteousness. However, Jung Yak-yong suggested that the Heart&Mind was expressed and became the Will(志), which was the commander of the Material Force(氣) and it leads the Blood(血).
    Jin-Sai explained the relationship of the Heart&Mind(心), the Will(志), and the Material Force(氣), but Jung Yak-yong was distinguished by the fact that the Will was identified and explained in detail in relation to the Heart&Mind, the Blood, the Material Force. Jung Yag-yong denied the Principle and Material Force theory of Zhu Xi’s theory of cosmology and insisted that it is known as the life energy.
    Jin-Sai understood that Knowing Sayings(知言) is the result of preserving the Heart&Mind, and that Nurturing Force(養氣) is the result of well-developed nature.
    With Jin’s view of Knowing Sayings and Nurturing Force, he did not recognize the metaphysical dimension of Principle(理), but he focused on preserving, nurturing and practicing the Heart&Mind. For this reason, Jeong Yak-yong criticized the mínglǐ(明理) theory of Zhu Xi, who said that the words were fair and correct after the mind was so bright and unobstructed.
    Jin-Sai and Jung Yak-yong did not recognize the metaphysical dimension of Zhu Xi’s Principle(理) in the interpretation of the Vast-Flowing Spirit Chapter(浩然章), but became the Imperturbable Heart&Mind(不動心) and ultimately virtuous as a person through the fostering process in which people could continually nourish the Vast-Flowing Spirit Nature(浩然之氣). Emphasis is placed on practical skills.
    However, the difference in the philosophical view of Chung Yak-yong from Jin's position in the Vast-Flowing Spirit Chapter(浩然章) is to support the criticism of Zhu Xi’s commentary, and to agree with Lu Zujian’s point of view that the spirit is hungry without the Righteousness of the Way. Analyzing the Imperturbable Heart&Mind and the Vast-Flowing Spirit Nature, he constructed the system of the practical Self-Discipline.
    Through this Article, many scholars clearly understand the meanings implied by the Vast-Flowing Spirit Nature(浩然之氣) of the Mencius from the perspective of two scholars. At the same time, I expect it to be much richer and clearer base for the right interpretation of the Vast-Flowing Sprit chapter(浩然章) than any other articl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0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