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유네스코 세계유산등재 7개 산사의 풍수비보적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Feng Shui Bibo(裨補) of the Seven Temples listed as UNESCO World Heritage Sites in Korea)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6 최종저작일 2022.06
38P 미리보기
유네스코 세계유산등재 7개 산사의 풍수비보적 특성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 92호 / 259 ~ 296페이지
    · 저자명 : 조인철

    초록

    본 연구는 사찰이라는 ‘용도(用途)’를 중심으로 특히 세계유산에 등재된 7개 산사에 적용된 풍수비보에 대하여 살펴보는 것이다. 7개의 산사는 각기 다른 조건과 방식으로 사찰의 명맥을 유지해왔다. 풍수비보는 사찰의 배치에 큰 영 향을 미쳤으며, 사찰의 영역보존과 사찰의 유지관리, 재난으로부터의 안전을 확보하는데 영향을 끼쳤다고 본다. 풍수비보는 다르게 말해서 지덕(地德, 地氣), 수덕(水德, 水氣), 방위 등을 보완하기 위한 수단이라고 할 수 있다.
    지덕비보와 관련된 것으로 통도사의 「사지사방산천비보(寺之四方山川裨補)」, 통도사 탑봉의 탑, 봉발탑(奉鉢塔), 부석사의 삼층탑, 법주사 수정봉의 거북바 위와 속리산사실기비(俗離山事實記碑), 마곡사 「사산입안범표(四山立案犯標)」, 선 암사 하나의 철불, 보탑, 부도, 석종을 거론할 수 있다. 수덕비보는 주로 수구 비보로 연결되는데, 대흥사의 청홍교(靑虹橋, 亦名萬瀑橋) 봉정사 석벽(石壁)이 이에 해당하며, 통도사 구룡지(九龍池), 통도사 ‘정시해중인(定是海中人), 구탄천 창수(口呑天漲水), 능살화정신(能殺火精神)’이라는 게송과 소금단지, 선암사 지당 (池塘), 심검당(尋劍堂) 판벽의 상부에 새겨진 해(海)와 수(水), 감괘(坎卦, ☵)와 건 괘(乾卦, ☰)등은 수기유지, 화재예방 등을 위한 조치라고 할 수 있는 것들이다. 방위비보와 관련하여 거론할 수 있는 것으로 대흥사의 표충사(表忠祠)의 이건, 선암사의 각황전, 중수비(重修碑)와 사적비(事蹟碑), 마곡사는 5층탑, 대광보전 과 대웅보전을 거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Focusing on the building’s use(用途) as a temple, this study examines the Feng Shui Bibo(裨補) applied to the seven mountain temples which have been listed as Serial Property of World Heritage Sites in 2018. The seven mountain temples have maintained the temple's legacy in different conditions and ways. Feng Shui Bibo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layout of the temple, and greatly affected on preserving the temple's territory, maintaining the temple, and securing safety from disasters. In other words, Feng Shui Bibo can be said to be a means to supplement three things: Jideok(地德, 地氣), Sudeok(水德, 水氣) and Orientation(方位). Examples of Jideok Bibo include Tongdosa Temple's 'Sajisabangsancheonbibo(寺之四方山川裨補, Installing Jangseung in four directions of the temple site)' and a five-story stone pagoda. Sudeok Bibo is mainly related to fire prevention. There are Guryongji(九龍池), Sogeumdanji(Salt bottle), and Heukmokbangjangsaengpyo(黑木榜長栍標: Black wood pillar) of Tongdosa Temple. Several Yeonji(蓮池) including Samindang(三印塘) are in Seonamsa Temple. Seonamsa Temple also has Haesuja(海水字: writing of 海水) and Gamgwae pattern(坎卦文樣, ☵). For Orientation Bibo, there is Gakhwangjeon(覺皇殿) in Seonamsa Temple, a defensive Bibo building that defends the so-called Gwimunbang(鬼門方: Northeast direction). One of the architectur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al culture in the feudal era, especially temple architecture, is that it is closely related to Feng Shui Bibo.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