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 한자음을 통해 보는 중고음 3, 4등 개음의 차이 (The difference of third and fourth class head vowel in the ancient Chinese observed by the sound of Sino-Korean characters)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6 최종저작일 2021.09
31P 미리보기
한국 한자음을 통해 보는 중고음 3, 4등 개음의 차이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중어중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중어중문학 / 85호 / 269 ~ 299페이지
    · 저자명 : 장준익

    초록

    중고음 각 등의 성모 배열을 보면 1등과 4등의 배열이 같고 3등과 4등이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기존 학자들은 4등에 개음 ‘i’가 없었다고 봤다. 4등 모음은 일반적으로 ‘e’ 같은 전설 모음으로 훗날 개음 ‘i’가 덧나기 쉬웠다는 것이다.
    그러나 4등 합구호운의 상황은 다르다. 이미 합구호 개음 ‘u’가 있는 상황에서 다시 개음 ‘i’가 덧나기 쉽지 않다. 한국 한자음은 보통 3, 4등 개음 ‘i’를 다반영하고 있는데 특히 4등 합구호운에도 개음 ‘i’가 일괄적으로 반영한 것을 보면 중고음 4등에 본디 개음 ‘i’가 있었다고 볼 수 있다.
    그런데 한국 한자음 후아음은 3등 중뉴 A류와 4등의 개음 ‘i’를 반영한 반면, 3등 중뉴 B류와 일반 3등의 개음 ‘i’를 반영하지 못했다. 이는 혜림음의(807) 음운 체계를 반영한 듯 보이지만 혜림음의(807) 음운 체계에서 3등 중뉴 B류와일반 3등의 합류가 곧 개음 ‘i’의 탈락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었다. 이는 고대 한국어의 영향을 받은 것이었다.
    통시적인 관점에서 한국어의 설치음은 개음 ‘i’가 있을 때 구개음화되기 쉬웠고, 비슷한 성격인 3등 개음을 반영할 수 있었다. 반면 한국어의 후아음은 개음 ‘i’가 있어도 역사적으로 구개음화되지 않았다. 따라서 한국 한자음 후아음은중뉴 A류 모음성 개음을 제외한 다른 3등 개음은 반영할 수 없었던 것이다.

    영어초록

    Observing the arrangement of initial consonants of each class in the dictionary Guang-Yun(廣韻),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the arrangements of fourth class and first class are same, but the arrangement of fourth class and third class aren’t same. Therefore it was easily accepted that there wasn’t head vowel ‘i’ in the fourth class, because the vowel of fourth class was the front vowel ‘*e’, the head vowel ‘i’ was naturally created in front of the vowel in the future.
    However, in the fourth class, there is also He-Kou-Hu(合口乎) rhyme. In this rhyme, there is also head vowel ‘u’, it is not naturally that the head vowel ‘i’ had been created in front of the head vowel ‘u’.
    Generally speaking, in the sound of Sino-Korean characters, there are all head vowel ‘i’ in the fourth and third class. Especially, He-Kou-Hu(合口乎) rhyme of the fourth class, there is also head vowel ‘i’ in the sound of Sino-Korean characters. So, it is possible to think there is naturally head vowel ‘i’ in the fourth class of Ancient Chinese.
    Most of all, it is very important that the expression of guttural and velar sounds of Sino-Korean characters isn’t same to other sounds of Sino-Korean characters. Although there is head vowel ‘i’ in the Chong-Niu(重紐) A type of third class and fourth class, there isn’t head vowel ‘i’ in the Chong-Niu(重紐) B type and other common third class. it seems the sound of Sino-Korean characters was influenced by the sound system of the rhyme dictionary Hui-Lin-Yin-Yi(慧琳音義, 807).
    However, it isn’t meant that the join of Chong-Niu(重紐) B type and other common third class in the Hui-Lin-Yin-Yi(慧琳音義, 807) was the miss of the head vowel ‘i’. Therefore, it is possible to think the miss of the head vowel ‘i’ in the sound of Sino-Korean characters is influenced by ancient Korean.
    In the historical view, lingual and dental sounds of Korean were easily changed into palatal sounds in front of the head vowel ‘i’. Therefore, it is possible to think lingual and dental sounds of Korean easily accepted the head vowel ‘i’ of the third class, very closely related with initial consonant.
    On the other hand, Guttural and velar sounds of Korean weren’t changed into palatal sounds in front of the head vowel ‘i’. Therefore, guttural and velar sounds of Korean only accepted the head vowel of fourth class and Chong-Niu(重紐) A type. Because they all have strong vocality. But, guttural and velar sounds of Korean didn’t accept the head vowel of Chong-Niu(重紐) B type and other common third clas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중어중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0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5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