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이조묵과 옹방강 일파의 교유 -《옹방강 등 서화권》을 중심으로 - (Companionship between Lee Jomuk and Weng Fanggang's School - Focusing on Calligraphy and Painting scrolls by Weng Fanggang and Others -)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6 최종저작일 2024.12
33P 미리보기
이조묵과 옹방강 일파의 교유 -《옹방강 등 서화권》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진단학회
    · 수록지 정보 : 진단학보 / 143호 / 357 ~ 389페이지
    · 저자명 : 유지복

    초록

    이조묵의 그림은 조선 후기 남종문인화풍 산수화 수용 이후 황공망과 예찬의 화풍이 각광을 받았던 19세기 당시의 시류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 한편 19세기의 서단이 미불・동기창 서풍의 연장과 함께 옹방강・유용 등 청대 인사들의 서풍이 적극 수용되었던 반면, 이조묵의 행서에는 초당 삼대가 중 한 명인 구양순의 각진 획법이 주조를 이루고 왕희지의 필법이 부분적으로 섞여 있다. 이조묵의 글씨에서 보인 이러한 특징은 당시로서는 매우 이례적이다. 이는 그의 고답적 학예 경향과 왕희지를 이상으로 여긴 옹방강의 서예사관을 수용한 결과로 여겨진다.
    이천시립월전미술관 소장 《옹방강 등 서화권》에는 19세기 초반 청조 학예계의 대표적 인사 옹방강・옹수곤 부자의 시와 섭지선의 문장이 함께 표구되어 있다. 모두 이조묵에게 보낸 시문으로, 옹방강이 보낸 세 편의 시는 그의 『복초재시집』에 수록되어 있고, 섭지선의 글은 이조묵의 시문집 『오운고략』에 서문으로 수록되어 있다.
    특히 옹방강의 시는 이조묵을 위해 써준 <천제오운첩> 모사본이 1817년에 조선에 전해져 이조묵이 입수했음을 알려주는 구체적인 기록으로서 의미가 있다. 섭지선의 서문 필적은 이조묵이 직접 청에 가서 옹수곤과 만남을 가졌음을 증빙하는 자료이다. 그동안 이조묵과 옹방강 일파가 서신 왕래를 통해 교유했을 것이라는 주장에 대해 새로운 사실관계를 확인시켜준다. 아울러 옹수곤이 이조묵을 위해 ‘강다’ 인장을 새겨주고 <다정인가>와 함께 여러 방의 인장을 찍어 보낸 것은 처음 소개되는 자료로, 이조묵과 옹수곤 사이의 남다른 정의를 확인할 수 있다.

    영어초록

    Just as the painting styles of Huang Gongwang and Ni Zan were highly regarded in the late Joseon period, Lee Jomuk's paintings do not deviate significantly from the trends of the 19th century. Meanwhile, in the 19th century, the calligraphy world saw the continuation of the styles of Mi Fu and Dong Gichang, while the calligraphy styles of Qing dynasty figures such as Weng Fanggang and Liu Yong were actively embraced. However, Lee Jomuk's running script is primarily based on the angular strokes of Ouyang Xun, a master of the early Tang dynasty, with partial influences from Wang Xizhi's calligraphy. This was highly unusual for the time and seems to be the result of his adoption of Weng Fanggang's perspective on calligraphy, alongside his scholarly and artistic inclination toward classical traditions.
    The Calligraphy and Painting Scroll by Weng Fanggang and Others, held in the Woljeon Museum of Art Icheon, features poems by Weng Fanggang and his son Weng Shukun, who were prominent figures in the academic and artistic circles of early 19th century Qing China, along with writings by Ye Zhishen. All of these are poems and writings sent to Lee Jomuk. The three poems sent by Weng Fanggang are included in his collection Bokchojae Sijip, and Ye Zhishen’s writing is included as the preface in Lee Jomuk's collection of poems, Owung Goryak. In particular, Weng Fanggang's poem reveals the following fact: Weng Fanggang copied Tian ji wu yun album exactly and sent it to Lee Jomuk, and it indicates that Lee Jomuk obtained this album written by Weng Fanggang in 1817. The preface written by Ye Zhishen provides evidence that Lee Jomuk personally traveled to Qing and met Weng Shukun. Therefore, the claim that Lee Jo-muk and Weng Fanggang's circle interacted primarily through correspondence will need to be partially revised. Moreover, Weng Shukun carved the "Gangda" seal for Lee Jomuk and composed a poem titled Dajeong Inga, sending it along with several stamped seals. This newly introduced material highlights the exceptional friendship between Lee Jomuk and Weng Shuku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진단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0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