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어린이 등반 놀이기구의 호감구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eference of Children for Climber)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6 최종저작일 2023.06
12P 미리보기
어린이 등반 놀이기구의 호감구조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 29권 / 2호 / 249 ~ 260페이지
    · 저자명 : 양명월, 조택연

    초록

    등반 놀이기구(Climber, 일명 Jungle Gym, monkey climbing bars)는 오랫동안 세계 각 지역의 어린이들에게 사랑받아 왔으며 어린이 놀이 공간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초기 단일한 형태에서 오늘날까지 다양한형태로 발전하여 어린이의 놀이와 어린 시절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디자이너는 과거의 경험을 기반으로 하거나 이전 스타일을 모방해 디자인하는 경우가 많다. 어린이들이 등반 놀이기구를 선호하는 본질적인 이유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기 때문으로 보인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많은 등반 놀이기구를 조사하고 놀이의 구조를 분석하였다. 등반 놀이기구는 크게 목적지가 있는 등반 놀이기구와 목적지가 없는 등반놀이기구, 두 가지 유형으로 나뉜다. 등반 놀이의 분석을 통해 움켜잡기(graspability), 전망성(prospective), 모험성(adventurous) 및 탐색성(exploratory) 특성이 있음을 발견하였다. 둘째, 진화미학 이론을 기반으로 어린이들이 놀이기구를 선호하는 세 가지 이유를 등반놀이기구의 특성과 결합하여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신경 미학의 선행연구와 어린이의 두뇌 보상회로(Brain Reward System)을 결합하여 어린이 뇌의 등반 놀이기구 선호를 구조화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디자인의 방향을 제시했다. 어린이들이 등반 놀이기구 선호하는 이유는 이 시설이 어린이들의 발달감성에 맞기 때문이다. 첫째, 원시적인 생활 환경이유인원의 형질을 가진 어린이들의 등반 선호로 이어졌다. 둘째, 등반 놀이기구가 갖는 전망성은 어린이들의 안정감 선호에 부합한다. 셋째, 등반 놀이기구의모험성과 탐구성은 어린이의 탐구 선호도에 부합한다.
    또한, 등반 놀이기구의 모험성과 탐구심이 어린이들의호기심을 자극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타났다. 모두 두뇌의 보상 시스템을 활성화해 좋은 감정을 생성하며어린이의 인지 능력 향상을 촉진시키는 발달 학습으로서 유희에 해당한다. 본 연구는 진화미학과 신경미학의 이론에 기초하여 어린이들이 놀이기구를 오르는그립성, 전망성, 모험성 및 탐색성을 선호한다고 주장한다. 또 한 호이징가의 호모 루덴스처럼 등반 놀이기구의 유희적 특성이 아이들의 두뇌와 신체 발달에 도움이 됨을 검증하였다.

    영어초록

    Climbers (known as Jungle Gym and Monkey Climbing Bars) have been popular with children worldwide and are used extensively in children’s play spaces. It has evolved from a simple and homogeneous form to various forms that now play an essential role in children’s play and childhood. However, designers often design based on experience or imitation of previous projects, needing an understanding of why children prefer the play equipment. Firstly, by researching many design projects, this study divides climbers into two categories: Climber with Destination and Climber without Destination. It is concluded that they have the features of graspability, prospective, adventurous, and exploratory. Secondly, based on the theory of evolutionary aesthetics, the three reasons for children’s preference for climbers are analyzed with the previous features. Finally, the structure of children’s brain preference for the climber is analyzed with neuroaesthetics and brain mechanisms. Based on the previous content, this paper provides a design direction for climber design. Children prefer climbers because this facility fits their evolutionary psychology. Firstly, the primitive survival environment contributes to children’s preference for climbing. Secondly, the prospective of the climber is consistent with children’s preference for security. Thirdly, the adventurous and exploratory of the climber are consistent with children’s preference for exploration.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adventurous and exploratory climber stimulates children’s curiosity. The playing process activates the brain reward system, generating pleasurable emotions and promoting children’s cognitive abilities. This study concludes that children strongly prefer the climber, which has the features of graspability, prospective, adventurous, and exploratory, by exploring theories based on evolutionary aesthetics and neuroaesthetics.
    Furthermore, the play process on climbers is conducive to developing children’s brains and cognitive abilities.
    Hopefully, this paper will provide designers with a scientific and theoretical basis for designing climber and play spaces that meet children’s developmental need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2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