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剪燈新話≫중의 愛情傳奇故事硏究 (Romance novels of )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6 최종저작일 2015.03
26P 미리보기
≪剪燈新話≫중의 愛情傳奇故事硏究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인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아인문학 / 30호 / 41 ~ 66페이지
    · 저자명 : 전순남

    초록

    ≪剪燈新話≫는 元末明初의 詩人 瞿佑가 창작한 문언단편전기소설집이다. ≪전등신화≫에는 모두 21편의 작품이 수록되어 있는데, 그 중에서 염정류 전기소설은 8편이 있으며, 이 8편은 지괴류 염정전기(<金鳳釵記>, <藤穆醉遊聚景園記>, <愛卿傳>, <翠翠傳>, <綠衣人傳>)과 염정류 전기(<聯芳樓記>, <渭堂奇遇記>, <秋香亭記>)의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지괴류 염정전기는 대체로 남북조지괴소설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인귀연애의 이야기구조를 빌리고 있는데, 여성인물이 귀신이 되는 동기로는 원말명초의 전란과 사회혼란이 배경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이 하나의 특징이다. 吳興娘・衛芳華・羅愛愛・劉翠翠・綠衣女 등은 모두 가련한 봉건여성으로 심지어 女鬼가 되어서도 애정을 추구하는 인물형상으로 묘사되고 있다. 이들 여성형상들은 위방화・녹의녀 등이 이전시대의 궁녀이거나 棋童이라는 신분인 점을 제외하면, 대체로 상인계층이거나 평민계층으로 명대 상인계층의 성장을 간접적으로 보여준다. 이들 작품의 서술방식은 남북조지괴의 人鬼연애구조에 당대전기의 인물묘사방식을 접목하여 전개되고 있으며, 몇몇 당대의 우수한 전기를 제외하면, 당대전기의 예술수준을 훨씬 뛰어넘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염정류전기 <연방루기>, <위당기우기> 등은 모두 남녀주인공의 열렬한 연정이 소재가 되고 있는데, <연방루기>의 난영・혜영등과 <위당기우기>의 酒家女兒 등은 모두 남주인공의 애정공세에 화답하여 부모의 허락도 없이 연애를 시작하고 나중에 발각된 뒤에는 끝까지 애정을 견지하여 佳約을 맺게 된다. 이러한 적극적인 여성형상은 당대전기에서도 그렇게 흔히 볼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추향정기>는 商生과 采采라는 인물을 등장시키고 있지만 구우 자신의 애정담을 형상화한 것이다. 상생과 채채의 애정은 결국 이루어지지 못하고 비극으로 끝나고 있는데, 이러한 구우의 애정체험은 ≪전등신화≫의 애정고사 서술방식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쳤을 것이다. (예컨대 詩詞의 삽입 등) ≪전등신화≫는 明初에 출현한 뒤, ≪剪燈餘話≫ 등이 속편이 나올 정도로 사회에 많은 영향을 미쳤고, 심지어 청대 ≪聊齋志異≫ 등 문언소설의 출현에도 많은 영향을 미쳤다. 한국・일본 등의 일부 한문소설도 ≪전등신화≫의 영향을 받았다고 하므로 ≪전등신화≫는 명대문언소설의 대표작으로 보아도 손색이 없을 것이다.

    영어초록

    <Jeondeungsinhwa> is the collection of short novel which poet, Guwoo created at the end Yuan Dynasty, at the beginning of Ming Dynasty. It contains total 21 novels, among which we have 8 romance novels that we can classfy <Geumbongchagi>, <Deungmokchuiyouchuigyungwongi>, <Aegyungjun>, <Chuichuijeon>, <Nokyuiinjeon> as ghost romance novel, <Yeonbangnugi>, <Uidangeuwoogi>, <Choohyangjunggi> as romance novel.
    Ghost romance novel adopted the story structure about love between human being and ghost which were commonly seen at the novel frame of the Period of North and South Dynasties, for the reason why female characters become ghost, they suggest the wars and social chaos at the end Yuan Dynasty, at the beginning of Ming Dynasty to characterize the background of that period.
    As Oh heungrang, Ui bangwha, La aeae, Lyu chuichui, Nok uinyeo, they are the scapegoats of feudal ages full of contradictions, they are described as characters who pursuit love even after becoming ghost. To consider their social status, they are generally merchant class or commoner class while Ui bangwha, Nok uinyeo are court lady, slave comparatively, it shows the growth of the merchant class in Ming Dynasty indirectly. For the method of description of these works, they combined the character description methods of Ming Dynasty to human-ghost romance structure of the Period of North and South Dynasties, we can say that its artistic level exceeds that of the beginning of Tang Dynasty except several excellent novels of Tang Dynasty.
    In <Yeonbangnugi>, <Uidangeuwoogi>, which are romance novels, they used passionate romance of male and female characters as writing material, Nanyeong, Hyeyeong of <Yeonbangnugi>, Jugayeoa of <Uidangeuwoogi>, they correspond to the love of male character, start their romance without parent's permission, after being discovered, they continue their love to pledge their eternal love. Such an active woman character was not common at that time, the beginning of Tang Dynasty. His own love story of Guwoo were illustrated by presenting Sangseng and Chaechae.
    Their love didn't come true to end tragically. Such a love experience of Guwoo might influence significantly to description method of <Jeondeungsinhwa>(for example, inserting poem and writing)Since its releasing at the beginning of Ming Dynasty, <Jeondeungsinhwa> influenced the society to the extent that its sequel <Jeondeungyeohwa> are published, it even affected to the appearance of novel <Yojaejiee> of Qing Dynasty.
    Because some of novels written in Chinese character in Korea, Japan were influenced by <Jeondeungsinhwa>, It is safe to say that <Jeondeungsinhwa> is the major work among novels of Ming Dynas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아인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1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