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웹소설을 드라마로 각색한 매채 전환 연구 -<귀취등 鬼吹燈>을 중심으로- (Research on the Conversion between Media Forms for Network novel’s Adaptation into TV series With series as the example)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6 최종저작일 2021.06
25P 미리보기
웹소설을 드라마로 각색한 매채 전환 연구 -&lt;귀취등 鬼吹燈&gt;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 수록지 정보 : 만화애니메이션연구 / 63호 / 391 ~ 415페이지
    · 저자명 : 왕진량, 이종한

    초록

    인터넷 기술의 빠른 발전에 따라 단일한 매체는 이미 오늘날의 발전에 적응할 수 없게 되었으며, 그에 따라 매체 간 상호 협력과 융합 추세를 나타내게 되었다. 또한 매체 융합의 촉진 과정에서 웹소설은 그 자체의 내용 우위를 통해 점차 영화, 드라마, 게임 등의 업계로 파생되고 있으며, 이러한 문화 파생상품 중에서 웹소설을 각색한 드라마가 가장 큰 인기를 얻고 있다. 각종 조사 결과에 따르면 웹소설을 각색한 드라마의 수량 비중이 성장 추세뿐만 아니라 이 매체 형식은 더욱 쉽게 독자가 수용하는 추세를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상황에서 웹소설을 각색한 드라마에 필요한 매체 전환에 대한 연구는 충분한 연구 가치가 있는 것이다.
    본 연구는 웹소설을 드라마로 각색하는 현상에 대해 매체 전환 측면에서 분석하며, <귀취등(鬼吹燈)> 시리즈 드라마 중에서 <귀취등지정절고성(鬼吹燈之精絕古城)>과 <용령미굴(龍嶺迷窟)>을 선정하여 연구 대상으로 하여 시모어 채트먼(Symour Chatman)의 서사 이론을 토대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채트먼의 이야기와 담론의 이분법 구조를 관찰하고, 이를 웹소설과 드라마의 텍스트 서사 구조에 응용하며, 또한 이야기(내용)와 담론(표현) 두 가지 측면에서 웹소설과 드라마의 전환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이야기(내용) 측면에서 드라마 <귀취등지정절고성>과 <용령미굴>은 웹소설의 내용 및 표현과 일정한 공통성이 존재하고, 이 공통성은 매체 전환의 전제가 되었다. 또한 담론(표현) 측면에 대한 비교를 통해 담론(표현) 측면의 내용에 일정한 차이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발견했으며, 그 차이점은 서사 전환이 발생하여 서사 플롯이 추가, 삭제와 변형 등을 통해 서사 형식이 전환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담론(표현) 측면의 표현 역시 다르며, 이러한 차이는 두 매체의 형식 전환에 존재하고, 형식 전환을 통해 드라마는 화면, 소리 등의 수단으로 기존 웹소설의 이미지 구축 과정을 대체한다. 따라서 양자의 매체 전환에 대한 연구를 통해 서사와 형식의 전환은 언어 매체와 영상 매체의 전환에 속하고, 이는 매체 융합의 추세에 따른 일종의 필연적인 발전 추세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 형식은 관객의 기대를 만족시킬 뿐만 아니라 관객에게 더욱 강력한 감각적 충격과 몰입감 있는 오락 체험을 제공할 수 있다.

    영어초록

    As the IT sees rapid development, different media forms begin to coordinate and integrate due to individual media form’s difficulty in adapting to the current context. Driven by media convergence, network novels incrementally penetrate into films, TV series, game and other sectors by its quality content. Among these sectors, TV series adapted from network novels enjoy greatest popularity among audiences. Survey results suggest, the percentage of TV series sees a surge. Plus, such a media form caters more for readers. Therefore, media conversion from network novels into TV series is of research value.
    This research analysis, acting on network novels’ adaptation of TV series with Candle in The Tomb,and The Lost Caverns( in TV series Candle in The Tomb:) as the research subjects, is conducted based on Symour Chatman’s narrative theory.Firstly, dichotomy of story and discourse will be observed, and then it will be applied into the text narrative structure of network novels and TV series. The conversion between network novels and TV series will be analyzed on two fronts: story(form) and discourse(expression). The research indicates, TV series-Candle in the Tomb and Candle in the Tomb: The Lost Caverns, and their network novels share commonalities that provide preconditions for the media form’s conversion. So, comparison on the front of discourse(expression) is conducted again, and it’s found differences exist in the content of discourse(expression). Such differences spawn narrative conversion unfolding in the forms of addition, deletion and alteration of narrative plots. Separately, differences also exist in the expression of discourse(expression) front, and specifically, they can be seen in the conversion of two media forms. The form conversion shows that picture, voice and other means used in TV series replace the process in which characters in original network novels are shaped.Thereby, such a conversion between these two media forms demonstrates the conversion between narrative and form belongs to the conversion between text media and image media. Under the context of media convergence, such a conversion surely represents a progressive tendency. This form meets audiences’ expectation while bringing them an immersive entertainment experience with impressive audiovisual feas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만화애니메이션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1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