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장산도 사람들의 소리 구성과 노래 사이 넘나듦-노동요를 중심으로- (The Crossover between Sori Composition and Songs in Jangsan-do Residents -Focusing on Labor Songs-)

4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6 최종저작일 2018.04
44P 미리보기
장산도 사람들의 소리 구성과 노래 사이 넘나듦-노동요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민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민요학 / 52권 / 1호 / 163 ~ 206페이지
    · 저자명 : 홍순일

    초록

    이 논문은 전남 신안군 장산도 소리를 연행론적 관점에서 소리의 전승과 특징, 민요 구성과 넘나듦을 대비의 방법으로 변화에 초점을 두는 동시에 민요의 위상을 살핀 것이다.
    우선, 장산도 소리의 전승과 연출에 관한 논의이다. 장산도의 소리는 장산도 사람들의 의식을 드러낸다. 이 중 ≪장산도들노래≫, ≪하중밭매기노래≫, ≪길쌈노래≫ 등 노동요가 장산도들노래보존회 회원들의 소리 구성에 관한 연행원리를 효과적으로 드러낸다. 김진오(1953년생)는 지역사회에서 향토학자요 연출자로서 장산도들노래보존회원들과 함께 장산도의 문학예술을 지켜온 장본인이다. 장산면사무소 근무시, ≪장산도들노래≫(1981, 1982), ≪하중밭매기노래≫(1987), ≪길쌈노래≫(1992) 등을 연출했다. 이어서 장산면장 근무시 소리전수, 예능교육 등을 실시했다. 퇴직 후 현재 회장(2014.10.06.~)으로서 장산도들노래보존회를 지방무형문화재로 단체등록시키면서 지역의 민요를 발굴하고, 이를 전승시키는 활동을 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장산도의 민요 구성과 넘나듦의 양상이다. ≪장산도들노래≫와 ≪하중밭매기노래≫는 본디 있었던 소리로 구성되었지만, ≪길쌈노래≫는 기존에 있던 미영(목화) 밭매기 소리를 추가․각색되어 구성되었다. 또한 김진오의 연출에 의해 모뜬소리-모심는소리-논맨소리-논매고 일어서기-질꼬내기로 구성된 ≪장산도들노래≫는, 특히 <논맨소리>는 주고 받기식의 교환창이었는데, 1981년부터 메기고 받기식의 선후창으로 정착되었다. 원래 있었던 밭매기소리, 밭매고 나오는 소리, 둥당기타령으로 구성된 ≪하중밭매기노래≫의 경우 2013년 추진위원단의 연출은 1987년 김진오의 연출과는 달리, ≪길쌈노래≫인 미영따는 소리, 물레노래가 추가되었다. 1992년 미영밭매기 소리, 미영따기 소리, 씨아시 앗은 소리, 물레 잣는 소리와 베짜는 소리 등으로 구성된 ≪길쌈노래≫는 김진오의 연출에 의해 기존에 있던 미영 밭매기 소리를 추가하여 각색되었다.
    끝으로 장산도 소리 연출의 사회적 의미에 관한 논의이다. 교환창이었던 ≪장산도들노래≫<논맨소리>가 1981년 이후 선후창으로 정착된 이유는 소리를 주는 사람은 있고, 소리를 받을 사람이 없었기 때문이다. 밭매고 나오는 소리가 둥덩기 타령에서 나오거나 그 반대인 경우가 있는데, 이는 선창자가 생각나는 가사를 가져다가 소리를 한 탓이다. 또한 연출자의 시각에 보면 ≪하중밭매기노래≫가 1987년 김진오에 의해 당시 원래 있었던 소리로 구성되었는데, 이것이 2013년 추진위원단에 의해 ≪하중밭매기노래≫에 ≪길쌈노래≫인 미영따는 소리, 물레노래가 추가된 것은 연출의 주체가 김진오에서 추진위원단으로 바뀜에 따라 기준이 임의대로 적용되었기 때문이다.
    19세기 말엽, 간척을 통해 너른 들판이 장산도에 조성되고 새로운 들노래 수요가 형성되자, 소리꾼들은 당대에 인기있던 노래들을 ≪장산도들노래≫로 재구성했고, 조선후기 이래로 섬 지역에 폭넓게 전파되었던 사당패소리가 ≪장산도들노래≫에 편입되었다.
    ≪길쌈노래≫에 기존에 있던 미영 밭매기 소리가 추가된 것은 공연에 맞게 기능을 강조해서 무대장치를 했기 때문이다. ≪길쌈노래≫에 ≪하중밭매기노래≫ 가사가 나오는 것은 미영(목화)으로 길쌈을 하므로, 밈주(하중밭매기노래)와 길쌈노래가 같은 종류이기 때문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investigated “Sori” of Jangsan-do, Sinan-gun, Jeonnam from the perspective of oral performance in a way of comparison on the transmission and characteristics of sori and the composition and crossover of folksongs, by focusing on change, and at the same time, considering the status of folksongs.
    First, the study explored the transmission and direction of sori. The Jangsan-do sori discloses the consciousness of Jangsan-do residents. Among them, labor songs, such as Jangsan-do deulnorae, Hajoong batmaeginorae, Gilssamnorae reveal effectively the principal of oral performance in members of the Jangsan-do Deulnorea Conservation Society. Kim, Jin-oh (born 1953), who is a local scientist and director, is the very person who has kept the literary art of Jangsan-do together with members of the Jangsan-do Deulnorea Conservation Society. He directed Jangsan-do deulnorae (1981, 1982), Hajoong batmaeginorae (1987) Gilssamnorae (1992), and so on, during his service at the Jangsan-myeon Office. And while working as the head of the office, he performed sori training and art education. After retirement, currently working as the president of the Jangsan-do Deulnorea Conservation Society (since October 6, 2014), he made the society registered in the local intangible cultural asset, cultivating local folksongs and transmitting them.
    Next, the study considered the aspect of composition and crossover of minyo in Jangsan-do. ≪Jangsan-do deulnorae≫ and ≪Hajoong batmaeginorae≫ were composed of the sories that had been existed already, but ≪Gilssamnorae≫ was add and adapted by applying miyeong (cotton) batmaegi sori. In addition, as for ≪Jangsan-do deulnorae≫, which was composed of motten sori, mosimneun sori, nonmen sori, nonmego ireoseogi and jilkkonaegi in direction of Kim, Jin-oh, “nonmen sori,” in particular, contains antiphonal song parts, a series of alternate singing, and has been settled as front-and-rear singing in a way of call and response since 1981. In case of ≪Hajoong batmaeginorae≫, which was made up of batmaegi-sori, batmaego naoneun-sori and doongdanggi-taryeong, was added by miyeongttaneun sori and moolae norae in direction of the promotion committee in 2013, which had been part of ≪Gilssamnorae≫, which was different from the original one directed by Kim, Jin-oh in 1987. ≪Gilssamnorae≫, which was composed of miyeong batmaegi sori, miyeongtt agi sori, ssiasi atneun sori, moolae jatneun sori and bejjaneun sori, became adapted by adding miyeong batmaegi sori in direction of Kim, Jin-oh in 1992.
    Last, the study focused on social meaning of direction on Jangsan-do sori. The reason why “nonmen sori” of ≪Jangsan-do deulnorae≫, which was an antiphonal song, has been settled as front-and-rear singing since 1981 is that there was only a sori-giver, but no sori-receiver. There was a certain case in which batmaego nanoneun sori came from doongdeonggi taryeong and vice versa, because a precentor followed his fancies picking his own lyrics in mind. Moreover, from the viewpoint of a director, ≪Hajoong batmaeginorae≫ became composed of the sories that had been existed already through the direction of Kim, Jin-oh in 1987, to which miyeongttaneun sori and moolae norae were added through the direction of the promotion committee in 2013, which had been part of ≪Gilssamnorae≫, because the director became chang ed from Kim, Jih-oh to the promotion committee, causing the random applicati on of standards.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wider fields were created in Jangsan-do through the reclamation project, and a new demand for deulnoare was formed, so that sorikkundeul, or singers recomposed currently popular songs as ≪Jangsan-do deulnorae≫, and sadangpae sori, which had been widely spreaded over islands since the end of Chosun dynasty, became incorporated into ≪Jangsan-do deulno rae≫.
    The reason why existing “miyeong batmaegi sori” was added to ≪Gilssamn orae≫ is that function was emphasized and stage setting was applied for an ideal performance. ≪Hajoong batmaeginorae≫ lyrics also appear in ≪Gilssa mnorae≫ because ‘gilssam (weaving)’ is conducted with miyeong (cotton), and so ‘mimjoo (Hajoong batmaeginorae)’ and ‘gilssam (gilssamnorae)’ are in the same na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