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푸코의 벨라스케스 - 「시녀들」, 혹은 표상의 표상성- (Michel Foucault’s Velàzquez -Las Meninas, or Representativity of Representation)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6 최종저작일 2009.06
21P 미리보기
푸코의 벨라스케스 - 「시녀들」, 혹은 표상의 표상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영상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영상문화 / 14호 / 217 ~ 237페이지
    · 저자명 : 허경

    초록

    1966년 미셸 푸코는 『말과 사물: 인간 과학의 한 고고학』을 발표한다. 푸코
    는 이 책에서 지식고고학적 관점에서 한 시대에 고유한 인식론적 지층 혹은
    에피스테메에 대해 말한다. 푸코는 시기와 지역의 문제를 책의 서두에서 엄격
    히 한정하는데, 이 책의 대상은 르네상스 이후의 서유럽 사회이다. 결국 푸코의
    관심은 서구적 합리성 자체의 한계(limite)이다. J. G. 메르키오르는 이를 다음
    처럼 정리한다. “우리의 사유 방식의 한계는 무엇인가? 어떻게 우리, 근대의
    서구인(modern Westerners)은 현상들을 정돈하는가?” 결론적으로, 푸코는 문
    화에 대하여 이론적으로 그 가능성을 인정할 뿐, 서구 문화 이외의 ‘보편적인’
    문화가 있을 수 있다는 가능성을 사유하지 않는다. 요약하면, 푸코는 서구 문화
    이외의 보편적 문화가 존재할 수 있는 가능성을 부정하지도, 사유하지도 않는
    다. 그것은 반복해서 말하지만 푸코 사유의 ‘사유할 수 없는’ 부분이다.
    고전주의 시대의 에피스테메는 표상(表象, représentation)이며, 푸코에
    따르면, 바로 이 ‘표상의 표상성’을 가장 잘 드러내주는 그림이 바로 벨라스
    케스(Diego de Velàzquez, 1599-1660)의 「시녀들」(Las Meninas, 1656-1657)
    이다. 푸코의 『말과 사물』은 바로 이 그림에 대한 분석으로부터 시작한다.
    복잡하고도 정치한 분석을 통해 푸코는 화가와 왕과 관람자는 모두 부재함
    으로써만 존재하게 됨을 밝힌다. 그들의 부재는 존재의 조건이며, 그들의 존
    재는 부재의 조건이다. 그것들은 서로에 대하여 부재 혹은 존재의 조건이
    된다. 존재와 부재는 인식론적으로 볼 때 서로에 대하여 쌍둥이이다. 이것이
    고전주의 시대 표상의 운동, 표상의 상호성ㆍ순환성, 표상의 이중성이다.

    영어초록

    In 1966, Michel Foucault publishes The Order of Things whose
    aim is to show the épistèmès of each epoch in occidental european
    culture since the Renaissance. After all, Foucault’s main interest
    is to understand what are exactly the limits of occidental Reason.
    Foucault accepts the theoretical possibilities of non occidental
    reasons in principle, but never practices or examines himself these
    possibilities in reality. Impossibility of these thought, that was the
    dark side of his thought, of his own culture.
    The épistèmè of Classic Age is Representation of which the symbolic
    function represents itself par excellence in Las Meninas of Diego de
    Velàzquez(1599-1660). In this picture, the places of the painter, the king
    and finally the spectator are all empty. Paradoxically speaking, they
    present themselves as long as they don’t exist. This helps us to understand
    that the epistemic or epistemologic conditions of their presence and
    absence are the same. In a word, they belong to the same epistemic
    stratum, the Classic Age. The presence and the absence, the far and the
    near, the infinite and the finitude, they are all doubles of their doubles,
    the twins. They represent themselves like the mirror re-presents itself in
    another mirror. Reflectio Ad infinitum in simulacru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3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