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칸트의 인간성 정식과 인간에 대한 대우방식들 (Kant’s Formula of Humanity and the Ways of Treating Human Beings)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6 최종저작일 2017.03
32P 미리보기
칸트의 인간성 정식과 인간에 대한 대우방식들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윤리학회
    · 수록지 정보 : 倫理硏究 / 1권 / 112호 / 47 ~ 78페이지
    · 저자명 : 강철

    초록

    우리는 서로를 어떻게 대우해야만 하는가? 또는 서로를 대우하는 데 있어서 서로에게 합당하게 요구할 수 있을 정당한 대우방식은 무엇인가? 칸트의 인간성 정식은 인간을 대우하는 방식과 관련해서, “오직 수단으로만 이용하는 방식”은 강력히 규탄하면서, “목적으로 대우하는 방식”은 강력히 촉구한다. 인간성 정식의 이러한 명령은 도덕적으로 합당해 보이며 그리고 다른 정식들보다 그 내용이 구체적이기 때문에, 그 정식은 직관적인 호소력을 지닌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그러나 인간성 정식을 이해하는 데 있어서 핵심적인 요소들은 불분명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으며, 따라서 학문적인 측면에서 생산적인 논쟁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그 핵심적인 요소들로서 필자는 두 가지를 검토한다. 첫째, 수단과 목적이 되는 그 대상은 과연 무엇인가? “인간”인지, 아니면 “인간성”인지가 학자들 사이에서 논쟁거리이다. 둘째, 오직 수단으로만 사용하거나 대한다는 것은 무슨 의미인가? 특히, 이 문제와 관련해서 필자는 인간성 정식에 담겨진 “brauchen”이라는 용어에 대한 번역 문제를 새롭게 제기할 것이다. 그리고 “brauchen”을 “사용하다” 또는 “이용하다”로 번역해야 하는지, “대하다” 또는 “대우하다”로 번역해야 하는지는 매우 중요한 도덕적 함의를 가진다고 주장할 것이다. 인간성 정식을 논의하는 국내 및 영미 문헌들을 필자는 ‘수단으로 ( )하다’와 ‘목적으로 ( )하다’에 의거해서 3가지 해석안으로 분류한다. 즉, “이용-이용 해석안”, “이용-대우 해석안”, “대우-대우 해석안”이 그것이다. “이용하다”와 “대우하다”라는 용어 간의 차이를 필자는 “인과질서”와 “가치질서”라는 개념들 간의 차이로 확대, 심화시킬 것이다. 요컨대 위와 같은 이론적 작업을 통해서 인간성 정식의 의미에 대한 구체적인 하나의 해명을 제시하고자 하며, 더 나아가 인간에 대한 대우방식들의 정당성 문제를 논의하는 논쟁들의 논리적 구조를 규명할 수 있는 개념들을 제시하고자 한다.

    영어초록

    How should we treat each other? What is the legitimate way of treatment in which we can reasonably ask each other? Kant’s Formula of Humanity vigorously urges us to treat the humanity as an end in itself and forcefully prohibits us not to use the humanity merely as a means. The formula has been assessed as having an intuitively strong appeal because its commands are considered as morally reasonable and its meanings are more concrete than the other formulas of Kant.
    The fundamental elements of the Formula, however, have been known as unclear, even controversial among Kant scholars, and have caused academically productive debates. I study the two among such a fundamental elements. First, what is the object of end or means in the Formula? The two compelling candidates are “human being” and “the humanity” Second, what does it mean to use or treat merely as a means? Especially, relating to this question, I present a new problem, that is, the translation problem of German word “brauchen”. I argue that it is a very significant problem whether the word “brauchen” is translated into “use” or “treat” I classify the domestic and the english-speaking papers about the Formula of Humanity into “use-use” interpretation model, “use-treat” model and “treat-treat” model. I deeply and widely extend the differences between “use” and “treat into those between causal order and value order. In sum, by virtue of such theoretical studies, I present some kind of illuminating explanations about the ways of treating human being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倫理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5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