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정조대 척사론자들의 활동과 후대의 평가 (Activities of Cheoksaron members in the King Jeongjo’s reign and the later assessment)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6 최종저작일 2022.09
30P 미리보기
정조대 척사론자들의 활동과 후대의 평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조선시대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조선시대사학보 / 102호 / 181 ~ 210페이지
    · 저자명 : 최우혁

    초록

    정조대 斥邪論者들의 척사 활동을 평가한 후대 인물들은 그러한 평가를 통해 선대 인물들의 학문․정치․사회적 명분을 강화하고자 하였고, 나아가 그들이 활동하고 있던 시대적 상황에서 척사의 기치를 더욱 높이고자 하였다.
    近畿南人 학자이자, 星湖學派의 핵심 인물인 安鼎福과 李森煥에 대해서는 문인 黃德吉과 손자 李是鉷이 행장을 작성하여 그들의 척사 활동을 평가하였다. 황덕길과 이시홍은 안정복과 이삼환이 척사 논저를 저술하여 天主敎의 교리를 철저히 비판하였음을 부각시켰다. 척사 활동이 해당 인물의 학문적 태도를 설명하는 하나의 주요한 기준이자 근거로 활용되고 있었던 것이다. 老論 洛論의 趙有善을 포증할 때에도 그의 척사 활동이 주요 근거로 제시되었다. 유생들은 조유선을 포증해야 하는 근거로 그의 척사 활동을 들었고, 洪直弼이 작성한 조유선의 묘지명에서도 조유선이 척사를 주장한 행적을 칭송하고 있었다. 이처럼 그의 포증을 청할 때에는 언제나 이러한 행적이 기억되고 활용되었다.
    관료 혹은 정치적 사건에 연루된 인물들을 평가하는 데에도 척사 활동이 적극적으로 활용되었다. 攻西派 근기남인의 대표적인 인물인 姜浚欽은 신도비명을 통해 그의 정치적 동료인 睦萬中의 척사 활동을 부각시켰다. 공서파 근기남인의 경우에는 천주교를 가까이한 親西派 근기남인과 달리 앞으로의 정치 활동을 이어나가기 위한 정치 명분에 혐의가 될 것이 없음을 증명할 필요가 있었기 때문이다. 노론 時派 尹行恁의 행적에서도 척사 활동이 언급된다. 辛酉迫害 당시 僻派는 윤행임이 친서파 근기남인을 극력 비호하였다고 주장하였다. 이는 척사의 분위기에 매우 배치되는 것이었으므로 그의 아들 尹定鉉은 윤행임이 결코 천주교와 친서파 근기남인을 비호한 적이 없음을 명백히 하였다.
    사회적으로 척사 활동을 전개한 인물로는 趙常本이 있다. 19세기 후반에 활동한 宋秉璿이 조상본의 묘표를 작성하였는데, 송병선은 조상본이 사학을 배척하고 정학을 지킨 것에는 발본색원하는 힘과 선견지명이 있었다고 하면서 조상본의 행적을 부각시켰다. 이는 19세기에 들어와 천주교가 더욱 번성하게 된 상황과도 관련이 있다. 송병선은 천주교가 더욱 확산되고 있던 19세기의 현실 속에서 조상본의 척사 활동을 강조함으로써 그를 척사의 모범으로 삼았다고 볼 수 있다.

    영어초록

    Later people who assessed the Cheoksa activities of Cheoksaron members(斥邪論者) in King Jeongjo’s reign, tried to strengthen the academic, political, social justifications of previous people. Furthermore, in the circumstances of the times when they were active, they tried to further raise the banner of Cheoksa.
    As for Ahn Jeong-bok(安鼎福) and Lee Sam-hwan(李森煥), who are scholars of Geunginamin(近畿南人) and key figures of the Seongho school(星湖學派), disciple Hwang Deok-gil(黃德吉) and grandson Lee Shi-hong(李是鉷) assessed their Cheoksa activities. Hwang Deok-gil and Lee Shi-hong emphasized that Ahn Jeong-bok and Lee Sam-hwan thoroughly criticized Catholic doctrines by writing a Cheoksa thesis. The Cheoksa activity was being used as a major criterion and basis for explaining the person’s academic attitude. When requesting the official post of Cho Yu-seon(趙有善), who Noron(老論) Nakron(洛論) scholar, his Cheoksa activity was presented as the main basis. The Confucian scholars suggested Cho Yu-seon’s Cheoksa activities as a basis for giving Cho Yu-seon a official post, and Hong Jik-pil(洪直弼) also praised Cho Yu-seon’s Cheoksa activities. In this way, when requesting his official post, these activities were always remembered and utilized.
    Cheoksa activities were also actively used to assess politicians or those involved in political events. Kang Jun-heum(姜浚欽), a leading person in the Gongseo line(攻西派) Geunginamin, highlighted the activities of his political colleague Mok Man-jung(睦萬中). Because in the case of the Gongseo line Geunginamin, unlike the Chinseo line(親西派) Geunginamin, which is close to Catholicism(天主敎), it was necessary to prove that there was no suspicion in the political justification to continue future political activities. Cheoksa activity is also mentioned in Yoon Haeng-im(尹行恁)’s trace, which belongs to the Noron Shipa(時派). During the Shinyubakhae(辛酉迫害), the Byeokpa(僻派) claimed that Yoon Haeng-im protected the Chinseo line Geunginamin with all his might. This was so contrary to the Cheoksa atmosphere that his son Yoon Jeong-hyeon(尹定鉉) made it clear that Yoon Haeng-im had never defended the Catholicism and the Chinseo line Geunginamin.
    Cho Sang-bon(趙常本) is a person who has developed Cheoksa activities socially. Song Byeong-seon(宋秉璿), who was active in the late 19th century, highlighted Cho Sang-bon’s trace of excluding Sahak and protecting Jeonghak. This is also related to the situation in which Catholicism became more prosperous in the 19th century. In the reality of the 19th century, when Catholicism was spreading further, Song Byeong-seon regarded Cho Sang-bon as an example of Cheoksa by emphasizing Cho Sang-bon’s Cheoksa activit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조선시대사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8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4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