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정동의 잉여적 사유들 -브라이언 마수미 논의를 중심으로 (Surplus causes of Affect -Focusing on Brian Massumi-)

1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6 최종저작일 2020.06
18P 미리보기
정동의 잉여적 사유들 -브라이언 마수미 논의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동서철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서철학연구 / 96호 / 271 ~ 288페이지
    · 저자명 : 김민지

    초록

    우리는 이제 정동적인 것이 아니라, “정동(affect)” 그 자체에 주목한다. 정동에 대한 문제 제기를 계속하면서 정동의 스펙트럼을 넓혀가고 있다. 스피노자와 들뢰즈를 거쳐 마수미에 이르기까지 정동은 조금씩 구체화되고 명료해지고 있다. 마수미는 정동이 감정의 영역을 넘어 지각되는 대상과 무의식의 영역까지 아우를 것이라고 기대한다. 마수미는 『정동정치』를 통해 정동을 학문이 아닌 삶의 차원에서 고찰하고, 삶에서 발견할 수 있는 여러 의식들을 찾아내고 있으며 이 발견 속에서 인간이 추구해야 할 본질을 찾고자 한다.
    마수미는 정동을 바다를 가로지르는 항해운동으로 비유하며, 정동이 정치적으로 나아갈 수 있는 까닭을 대상과의 마주침을 통해서 가능하다고 보고 있다. 정동이 마주침이라는 마수미의 주장은 문학에서 정동이 구체화되는 양상으로 희망, 기억 그리고 윤리의 문제를 이야기할 수 있다. 정동의 관점으로 희망을 볼 때, 희망 그 자체의 의미를 보기보다는 희망으로의 이행에 초점을 둔다. 희망을 바라게 되는 상황을 떠올려보면 결국 희망의 전 단계에는 슬픔의 정동이 자리 잡고 있다. 슬픔의 정동이 기쁨의 정동으로 이행하기 위해서는 ‘문턱’을 넘어야 한다. 문턱을 넘는 순간 희망이라는 관념이 생성되며, 이 생성의 과정에는 희망의 고유한 의미뿐만 아니라 그 원인도 포함된다.
    기억도 희망과 마찬가지로, 기억을 과거의 시간 속에서 떠오르는 단순한 이미지로 그리지 않는다. 과거의 기억이 현재로 불러올 때 정동과 함께 발현되며, 정동을 통해 과거-현재-미래의 무경계적 관계를 가능하게 만든다. 정동은 기억의 양태에서 일종의 혼합물이자 계속해서 축적되고 움직이는 정동 그 자체로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윤리는 웃음으로부터 시작된다. 마수미는 웃음을 일종의 “난입”으로 보고 있지만, 웃음은 문턱을 넘을 수 있는 일련의 힘으로 작용한다. 웃음은 가장 실천적인 영역으로 모든 대상에게 평등을 보장하는, 어떻게 보면 가장 숭고한 정동의 양상이다. 웃음은 유희가 아니라 극단의 가치를 껴안고 상황을 비틀 수 있는 행위이자 감정의 표현으로 여겨진다. 또한 웃음은 문턱을 넘는 실천적 행위가 될 수 있으며, 모든 기억을 공정하게 대변할 수 있는 잠재성을 지닌 정동의 양태로도 볼 수 있다.
    마수미의 여러 정동적 시선을 통해 완전히 규정할 수 없는 관계들을 창조적으로 사유할 수 있는 가능성을 획득하게 된다. 희망, 기억, 웃음 외에도 정동은 모든 영역에서 ‘받아들임’을 실행하고, 들뢰즈가 말하는 ‘-되기’의 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어떤 단면에 쏠리지 않고 균형을 이룸으로써 만들어내는 찰나의 해방과 일시적 평등은 정동을 통해서 도달해야 하는 최종 목적지로 마무리된다.

    영어초록

    We now pay attention to the "affect" itself, not to the static. Continuing to raise questions about static, the spectrum of static is expanding. From Spinoza and Deleuze to Massumi, the concept of Affect is becoming more accurate and explicit than before. Brian Massumi expects that politics will go beyond the realm of emotions, from specific objects to the unconscious realm. Massumi examines Affect from the perspective of life, not from learning, but through "Affect politics," and finds and discovers various rituals that can be found in life, and seeks to find the essence that humans should pursue in this discovery.
    Massumi likens Affect to a navigational movement across the sea and sees that it can take a step forward in a political manner because it provokes when encountered with an object. Through Massumi's argument of encounter, it is possible to talk about the issues of hope, memory, and ethics in a way in which politics embodies in literature. Viewing hope from a political perspective, we focus on the transition to hope rather than on the meaning of hope itself. When you think about the situation where you wish for hope, it starts with the feeling of sadness in the whole stage of hope. In order for the chute of grief to be carried out in Affect of joy, it must cross the threshold. The idea of hope generates the moment you cross the threshold, and the process of this creation includes not only the unique meaning of hope but also its causes. Memory, like hope, is not recalled in our minds as a simple image of the past. Memories of the past are expressed with Affect when brought to the present, and through Affect, make past-present-future invincible relations possible. Affect is a mixture of memory patterns and can be seen as Affect itself, which continues to accumulate and move. Finally, ethics begins with laughter. Laughter is, in a way, the noblest aspect of politics, which guarantees equality for all subjects in the most functional area. Laughter is not considered as a play but an act and an expression of emotion that can embrace the values of extremes and twist the situation. Laughter can also be a practice beyond the threshold, and it is a form of chastity with the potential to represent all memories fairly.
    You can obtain the possibility to creatively account for the relationships that cannot be completely defined through a motor. Besides hope, memory, and laughter, Affect will implement 'accept' in all areas and make what Deleuze calls '-becoming' feasible. The moment of liberation and temporary equality created by balancing, without leaning on any cross-section, ends up as the final destination that must be reached through the movem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서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3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0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