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6세기 신라 금석문들의 고유명사 표기자 분석 (A Phonological Analysis on the Sinographs for Proper Nouns of 6th Century Silla Epigraphs)

5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6 최종저작일 2021.03
50P 미리보기
6세기 신라 금석문들의 고유명사 표기자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대동문화연구 / 113호 / 349 ~ 398페이지
    · 저자명 : 권인한

    초록

    본고는 6세기 신라 금석문 9종 11건을 대상으로 이들에 쓰인 고유명사 표기자들에 대한 분석을 토대로 성모・운모・성조 등의 분포적인 측면에서 이들이 지닐 수 있는 음운사적 의의, 특히 고대 한국한자음 연구에 이바지할 수 있는 바들에 대한 고찰을 시도함에 목표를 둔 것이다.
    2장에서는 기존에 발굴된 6세기 신라 금석문들 중에서 훼손이 심하거나, 고유명사 표기례의 숫자가 충분치 않아 본고의 논의 자료로는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북한산・황초령 진흥왕순수비 및 경주 남산신성 3・4・5・6・7・8・10비”를 제외한 “포항 중성리비(501)~경주 남산신성 1・2・9비(591)”에 이르는 11종의 금석문들에 대한 원문 구조 분석, 고유명사 표기례 수집 및 표기자 정리 등 일련의 과정을 상세히 보인 것이다.
    3장에서는 2장에서 수집・정리된 각 비문별 고유명사 표기자의 성모 분포도, 운모 분포도, 성조 분포도 및 疑・來母字 분포도 등을 바탕으로 ①무기음(전청) vs. 유기음(차청)의 비율, ②무성음(전청+차청) vs. 유성음(전탁+차탁)의 비율, ③설두음 vs. 설상음의 비율, ④치두음 vs. 정치음의 비율(이상 성모편), ⑤음성운 vs. 양성운 vs. 입성운의 비율 및 개음절 vs. 폐음절의 비율, ⑥성조의 분포(이상 운모편), ⑦음소 분포 제약 등의 지표들에 대하여 고유명사 표기자의 분포적 특징 및 흐름을 살펴본 것이다.
    논의 결과 신라한자음은 6세기 전반에는 광개토왕비문으로 대표되는 5세기 고구려한자음과의 공통성을 유지해오다가 6세기 후반에 들어 몇 가지 차이점들이 나타나면서 점차 신라화의 길을 걸어온 것으로 결론을 내렸다.

    영어초록

    Based on the analysis of sinographs for proper nouns used in 11 kinds of Silla epigraphs in the 6th century, in terms of the distribution such as of initials, finals, and tones, this paper aims to study their phonological historical significance, and especially to examine what can contribute to research on Ancient Sino-Korean.
    In Chapter 2, I have analyzed the original text structure of 11 kinds of epigraphs in "Jungseong-ri, Pohang, stele(501) to Gyeongju Nam-san Sinseong Fortress 1・2・9 steles (591)", collected proper noun notations, and arranged sinographs, except for "Bukhan-san and Hwangcho-ryeong King Jingheung's commemoration steles and Gyeongju Nam-san Sinseong Fortress 3・4・5・6・7・8・10th steles", because of their be severely damaged or poor in in the number of proper noun examples than those.
    In Chapter 3, based on individual epitaphs' sionographs for proper nouns' initials, finals and tones distribution and yimu and laimu characters(疑・來母字) distribution, as collected and arranged in Chapter 2, I have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and flow of the distribution of sinographs for proper nouns in terms of the same indicators and methodologies as in Part 2 of Kwon(2015), such as ①the ratio of unaspirated sounds vs. aspirated sounds, ②the ratio of voiceless sounds(voiceless unaspirated sounds+ voiceless aspirated sounds) vs. voiced sounds(voiced obstruents+voiced sonorants), ③the ratio of apico-alveolar plosives(舌頭音) vs. dorso-prepalatal plosives(舌上音), ④the ratio of dental sounds vs. post-alveolar sounds, ⑤the ratio of open syllable sounds vs. nasal-ending sounds vs. stop-ending sounds, and the ratio of open syllables vs. closed syllables, ⑥the distribution of tones, and ⑦phoneme distribution constraints.
    In Chapter 4, I have concluded as follows: the first half of the 6th century Sino-Silla system maintained commonality with that of 5th century Sino-Goguryeo represented by King Gwanggaeto's stele before they were gradually assimilated into Sino-Silla with some differences in the late 6th centu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동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0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