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세기 조선 지식인들의 對러시아 인식의 변화 (The Change of Joseon Intellectuals' Perception to Russia in the 19th Century)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6 최종저작일 2012.05
34P 미리보기
19세기 조선 지식인들의 對러시아 인식의 변화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역사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역사문화연구 / 42호 / 3 ~ 36페이지
    · 저자명 : 노대환

    초록

    러시아는 한국 근현대사에 매우 큰 영향을 끼친 국가이다. 그러한 러시아에 대한 초기의 인식이 어떠한 과정을 통해 형성되었는가를 살피는 것은 중요하다. 초기의 인식은 이후 양국 관의 관계를 설정하는 데 많은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러시아와 통상 조약을 체결하기 이전 시기의 對러시아 인식을 19세기를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조선에서 러시아에 대한 본격적인 관심이 생겨난 것은 1860년대에 들어서였다. 조선은 러시아가 빼이징 조약을 통해 연해주를 획득하여 조선과 국경을 마주하게 되면서 비로소 러시아를 주목하기 시작하였다. 러시아의 존재는 17세기 후반에 알려지기 시작했지만 19세기 초기까지만 해도 러시아는 교화해야 할 오랑캐 정도로밖에 여겨지지 않았다. 조선 지식인들은 러시아를 객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았으며 러시아에 대해 별다른 관심도 없었다.
    러시아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가 전달된 것은 19세기 중반에 『해국도지』와 『영환지략』이 유입되면서부터였다. 최한기가 『지구전요』에서 『영환지략』의 내용을 토대로 러시아를 상세히 소개하였으며, 윤종의도 『벽위신편』에 러시아에 관한 사실을 실었다. 이들 책에서 러시아는 이전에 알려진 것과 같은 오랑캐가 아닌 광대한 영토를 보유한 강국으로 소개되었다.
    이러한 가운데 조선과 국경을 마주하게 된 러시아가 접촉해오자 러시아에 대한 불안감이 생겨났다. 러시아에 대한 불안감은 청과 일본측의 적극적인 정보 공세로 인해 크게 고조되었다. 조선과 러시아 양국 사이에 특별히 문제가 될 만한 사건이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러시아는 조선을 침략했던 미국이나 프랑스보다 훨씬 위험한 국가로 낙인찍혔다.
    러시아에 대한 불안감은 『조선책략』의 유입으로 이어졌지만 1880년을 전후하여 러시아에 대한 인식은 분화되는 양상을 띠었다. 러시아를 서양의 다른 국가보다 더 침략적인 세력으로 볼 수 없다는 인식이 생겨나는 가운데 강대한 러시아와 연합하여 러시아의 보호를 받아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되었다. 강위가 연아론을 반박하는 글을 지었던 것은 연아론의 흐름이 결코 만만치 않았기 때문일 것이다.
    연아론이 제기되자 한편에서는 러시아의 위험성을 다시 강조하고 나섰다. 절친한 관계였던 강위와 백춘배가 그 대표적인 인물인데 두 사람 모두 러시아가 조선을 침략할 것이라고 경고하면서 러시아의 위험성을 부각시켰다. 러시아에 대한 이러한 인식의 상이성은 이후 對러시아 정책의 추진이 복잡한 방향으로 흐르게 될 것을 예고하는 것이었다.

    영어초록

    Since Russia had a strong influence o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of Korea it is essential to elucidate how Korean’s perception of Russia had been initiated. Considering the fact that Korean’s initial perception of Russia wa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the establishment of mutual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Russia, this study aims to analyze how Koreans viewed Russia before the commercial treaty of 1884 was made by the two nations.
    When Russia acquired the Maritime Province of Siberia by signing the Convention of Peking in 1860s and bordered by Joseon Korea, Koreans actually started to recognize Russia. Even though Koreans were aware of Russia since the late 17th century, they merely regarded Russia as a savagery nation to civilize. Korean intellectuals at the time did not have enough information to objectively understand Russia and had no specific interest either.
    It was after Haikuo Tuchih (海國圖志) and Yinghuan zhilue (瀛環志略) were introduced to Joseon Korea in the mid-19th century when Koreans finally obtained specific information of Russia. Choe Han-gi included more detailed information of Russia he had learnt from Yinghuan zhilue in his book Jigu jeonnyo (地球典要), and Yun Jong-ui also mentioned some information of Russia in his Byeogwi sinpyeon (闢衛新編). Russia, traditionally regarded uncivilized, was depicted as a powerful country with an immense territory in these books.
    In this situation, Russia’s approach to Joseon Korea heightened concerns against Russia among Koreans, and such anxiety has gotten serious as China and Japan actively supplied Koreans with more information of Russia. Even though there was no specific conflict occurred between Joseon Korea and Russia, Koreans regarded Russia as a more dangerous nation than the U.S.A. or France who had actually invaded them before.
    Though Korean’s anxiety against Russia has led the introduction of Zhaoxian celue (朝鮮策略) to Korea, their perception of Russia has been differentiated in two ways around 1880s. With an idea that Russia was not actually more incursive than other western nations, some people insisted that Joseon Korea should associate with Russia and go under its protection. The fact that Gang Wi has opposed to the advocacy of an alliance with Russia suggests that such opinion had a considerable influence at the time.
    As some people asserted to make an alliance with Russia, some others tried to re-emphasize the danger of Russia. Gang Wi and Baek Chun-bae, who were close friends with each other, have most strongly warned that Russia would invade Joseon Korea one day and tried to convince the danger of Russia. Such different perceptions of Russia among Koreans suggested that Korea’s Russian policy would face a very complicated situation sooner or lat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역사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0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