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바우하우스의 젠더 이데올로기와 여성 공예가들에 대한 연구 (A Study on Gender Ideology and Women’s Crafts of Bauhaus)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6 최종저작일 2017.12
26P 미리보기
바우하우스의 젠더 이데올로기와 여성 공예가들에 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현대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현대미술사연구 / 42호 / 67 ~ 92페이지
    · 저자명 : 안영주

    초록

    본 연구는 공예와 디자인, 건축 및 예술의 역사에서 오늘날까지도 그 명성과 위상을 견지하고 있는 바우하우스에 대해 다른 읽기를 시도하려는 기획이다. 그동안 바우하우스는 자유롭고 혁신적인 교육과 실험, 진보적인 사상을 가진 모더니즘 운동의 화신처럼 평가받아 왔다. 그러나 바우하우스에 대한 이러한 평가는 역사적 사실보다는 상당 부분 신화적 해석에 의존하는 듯하다. 따라서 연구자는 그동안 빈번히 접해왔던 발터 그로피우스(Walter Gropius)나 칸딘스키(Wasily Kandisky), 클레(Paul Klee), 모호이-너지(László Moholy-Nagy) 등 바우하우스를 대표하는‘ 남성 마이스터들의 세계’가 아닌 바우하우스에서 배우고 활동했던‘ 여성들’의 이야기에 주목해 보았다.
    바우하우스의 교육 제도 안에서 여성들은 미술과 공예에 대한 이원론적 체제와 관념에 의해 주변적 존재로 인식되었으며 전공 분야의 제한, 업무의 차별적 분담 등 성차별적 상황에 직면해야 했다. 또한 그들의 작업 대부분은 남성들에 의해‘ 여성적’ 또는‘ 수공예품’으로 평가절하되었는데, 이는 남성을‘ 세계의 건설자’로, 여성을‘ 데코레이터’로 구분했던 젠더 이데올로기에 근거한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런 까닭에 대부분의 바우하우스 여성들이 역사적 기록에서 배제되었지만, 군타 슈퇼츨(Gunta Stölzl), 마리안네 브란트(Marianne Brandt) 등 몇몇 여성공예가들은 그 분야에 있어서 영향력을 보여준다. 연구자는 이들을 중심으로 그 작품과 위상을 소개하고 나아가 바우하우스에 대한 다양한 해석의 가능성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영어초록

    This study is a project to try different reading about Bauhaus, which maintains its reputation and status from the history of craft, design, architecture and art to this day. Bauhaus has been regarded as an incarnation of a modernist movement with free and innovative education and experimentation and progressive ideas. But this assessment of Bauhaus seems to rely heavily on mythological interpretations rather than historical facts. Therefore, I focused on the story of ‘women’ who studied and worked in the Bauhaus, not the ‘world of male masters’ who represent the Bauhaus that has been frequently encountered such as Walter Gropius, Wasily Kandisky, Paul Klee, László Moholy-Nagy.
    In Bauhaus’s education system, women were regarded as peripheral by the dualist system and idea of arts and crafts, and faced with gender discrimination such as limitations of their major fields and discriminatory sharing of work. Most of their work was devalued by men as ‘feminine’ or ‘handicrafts’, a gender ideology that saw men as ‘constructors of the world’ and women as ‘decorators’. For this reason, much of the history of Bauhaus women has not been recorded, but some female craftsmen, such as Gunta Stölzl and Marianne Brandt, show their influence in the field. The researcher introduced the works and their phases based on them and tried to provide various interpretations about Bauhau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