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텔레비전드라마 <착하지 않은 여자들>에 나타난 가족주의 (Familyism in the Television-drama Chakhaji aneun yeojadeul)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5 최종저작일 2019.09
29P 미리보기
텔레비전드라마 &lt;착하지 않은 여자들&gt;에 나타난 가족주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극예술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극예술연구 / 65호 / 41 ~ 69페이지
    · 저자명 : 윤석진

    초록

    본 연구에서는 가족드라마 <착하지 않은 여자들>에 나타난 가족주의 양상을 분석하였다. <착하지 않은 여자들>은 한국 사회에서 여성으로 태어나 살아가는 것의 곤고함을 형상화하는 동시에 새로운 여성상을 제시한 가족드라마로 주목받았다. 본고에서는 유교적·부계 계승적인 제도적 가족주의와 정서적 유대감에 근거한 관계적 가족주의의 관점에서 <착하지 않은 여자들>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두 가지의 결론에 도달하였다. 첫째, <착하지 않은 여자들>은 남성 생계 부양자가 부재하는 상황에서 각자의 방식으로 생존을 모색하는 여성들의 이야기를 통해 변화된 가족의 의미와 기능을 담아낸 가족드라마이다. <착하지 않은 여자들>이 남성 가장의 부재로 인한 위기 상황에서 비자발적으로 가장의 역할을 수행해야 했던 여성들의 사연을 통해 제도적 가족주의에 나타난 균열을 드러내는 동시에 정서적 유대감에 근거한 관계적 가족주의를 지향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착하지 않은 여자들>은 여성들만으로도 가족 서사가 완성될 수 있음은 물론, 혈연에 제한되지 않는 우정으로서 가족 서사의 가능성을 보여준 가족드라마이다. 특히 각기 다른 처지에 놓인 여성 인물을 통해 개별 존재로서 자기 정체성이 분명한 어머니의 모습을 제시함으로써 유교적 가부장제 사회에서 강요되었던 모성 담론의 한계에서 탈피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착하지 않은 여자들>이 유교적·부계 계승적인 제도적 가족주의에서 벗어나면서도 남성이 부재하는 급진적 가족주의를 지양하고, 여성들의 정서적 공감과 유대감에 근거한 관계적 가족주의의 지향이라는 절충을 시도한 가족드라마라 할 수 있다.

    영어초록

    In this study, I analyzed the pattern of familyism in the family-drama Chakhaji aneun yeojadeul. Chakhaji aneun yeojadeul has drawn attention as a family drama that portrays the difficulties of being born and living as women in Korean society, while presenting a new female award. Accordingly, the following two conclusions were reached in this study by analyzing them from the perspective of Confucian and father-to-son institutional familyism and relational familyism based on emotional bonds. First, Chakhaji aneun yeojadeul is the story of women who seek to survive in their own way in the absence of a male breadwinner. That means the work is a family- drama that has renewed its quest for familyism, showing a change in family functions. In particular, it was confirmed that Chakhaji aneun yeojadeul was aiming for a relational familyism based on emotional bonds while exposing the cracks in institutional familyism through the lives of women who had to involuntarily assume the role of impersonation in a crisis caused by the absence of male impersonations. Second, despite the absence of a male impersonator, I could see that Chakhaji aneun yeojadeul was a family-drama that showed the possibility of family narrative as well as a friendship that was not limited to blood ties. It was especially notable that she showed a mother whose self-identity as a woman was clearly evident from her motherhood, which had been institutionalized. In conclusion, Chakhaji aneun yeojadeul is a family-drama that tries to break away from Confucian and father-to-son institutional familyism but avoids radical familyism that lacks males, and to compromise toward relational familyism based on women’s emotional empathy and bon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극예술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2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