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공존과 일탈의 경계에 선 공주들의 타자의식 고찰 - <도앵행>과 <취미삼선록>에 등장하는 공주들의 시댁 생활을 중심으로 (A Consideration on Others Consciousness of Princesses on the Boundary of Co-existence and Deviation - focusing on their life at husbands' house revealed in and )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5 최종저작일 2012.12
36P 미리보기
공존과 일탈의 경계에 선 공주들의 타자의식 고찰 - &lt;도앵행&gt;과 &lt;취미삼선록&gt;에 등장하는 공주들의 시댁 생활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전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韓國古典硏究 / 26호 / 365 ~ 400페이지
    · 저자명 : 구선정

    초록

    이 논문은 황실을 떠나 일반가문에 시집 온 <도앵행>과 <취미삼선록>의 공주들을 통해 시댁 공간에서 느끼는 공주들의 타자의식에 대해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고 있다. 공주들이 타자로 존재함은 두 집단의 성, 계급, 문화의 차이에서 비롯된다. 공주들은 새로운 가문에 시집 온 타자이면서도 일반 여성들과 다르게 주체, 즉 시댁을 압도하는 신분과 지위를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두려우면서도 매혹적인 대상이다.
    공주들의 생존 방식은 시집가기 전- 혼사 - 시댁 생활의 과정을 통해서 나타난다. 시집가기 전 영평은 영락한 가세를 회복하기 위해 힘쓰고, 낯선 시댁에 적응하지 못하는 올케들을 시댁의 일원이 되도록 도와주며, 자매들의 관계도 원만하게 하는 등 준비된 며느리로서의 위용을 보여준다. 혼사과정에서 <도앵행>의 시아버지 주당은 영평을 자신들의 집단의식과 질서를 교란시키는 타자로 인식한다. 그래서 이러한 불안 심리를 숨기기 위해 공주를 배척하면서 내부를 결속시킨다. <취미삼선록>에서 남편 양송은 무양을 자신들의 신분 상승 욕망을 충족시켜줄 대상으로 인식하여 환대한다. 그러나 황실의 위상에 압도당한 양송의 심리 이면에는 황실에 대한 열등감 또한 자리 잡고 있다. <도앵행>에서 영평은 시댁을 ‘허상뿐인 명분에 사로잡힌 곳’으로, <취미삼선록>에서 무양은 시댁을 ‘무도하고 패악이 자행되는 곳’으로 인식한다. 그러나 이질성의 정도에는 차이가 있다. 즉, 낯선 세계라 하더라도 친숙하고 익숙한 정도에 따라서 주체로 거듭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이다. <도앵행>의 영평은 이질성에 대한 관대한 시선으로 시댁을 이해하고 잘못된 질서를 바로잡으며 가문의 일원으로 편입된다. 그러나 <취미삼선록>의 공주들은 ‘차이’를 극복하지 못하고 시댁에 완전히 적응하지 못한 채 일탈의 경계에 서며 영원한 타자로 남는다. 이렇게 시댁보다 상위에 있는 공주들이 어떻게 시댁에 적응하여 주체화 혹은 일탈하여 소외되고 주변화 되는지를 공주들의 삶을 그린 <도앵행>과 <취미삼선록>을 통해 알 수 있었다.

    영어초록

    This paper deals with the others consciousness of princesses married to men of ordinary family and their survival strife to be born again from others to members of the family as shown in <Doaenghaeng> and <Chuimisamseonnog>.
    The survival pattern of princesses is divided into the life before marriage, the marriage process and the life in husbands' house. In <Doaenghaeng>, the father-in-law Judang thinks of Yeongpyeong as an other who disturbs the group consciousness and the order of his house during the marriage process. To hide this uneasy state of mind, he strengthens the internal tie more and rejects the princess. In <Chuimisamseonnog>, the husband Yangsong thinks of Muyang as the object of aspiration and hospitality to satisfy his desire of status elevation. Meanwhile, in <Doaenghaeng>, Yeongpyeong recognizes her husband's family as "those who are captured by a vain pride of fame". And in <Chuimisamseonnog>, Muyang sees her husband's house as "a wicked and heartless place".
    Up to now, the others consciousness of married princess toward husbands' family has been discussed. Husbands' houses where the princesses came to dwell were the places ruled by patriarch ideology. In there, the position and the privileges of royal princesses became a great hindrance in adjusting themselves to and settling into husbands' house. The princesses could not adjust themselves to the spaces that were totally different from their sense of values. Therefore, they either deviated to remain forever as others or lowered their sight level and changed themselves to be born again as subjects. Meanwhile, the husbands' families looked the princesses as the objects of rejection and hospitality, behind which there were the crisis consciousness and the sense of inferiority. Through the lives of married princesses in <Doaenghaeng> and <Chuimisamseonnog>, we can see the attitude of husbands' family toward the princesses the superior others and their survival way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韓國古典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0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