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적 모더니티와 ‘추방자들’의 세대론적 특성 - 윤대녕의『피에로들의 집』에 나타난 유사 가족의 세대현상을 중심으로 (Korean Modernity and Generational Characteristics of ‘Outcasts’ Focusing on the generations issue of quasi-family appeared in Yun, Dae-nyeong’s novel The Piero’s House)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5 최종저작일 2018.08
35P 미리보기
한국적 모더니티와 ‘추방자들’의 세대론적 특성 - 윤대녕의『피에로들의 집』에 나타난 유사 가족의 세대현상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제비교한국학회
    · 수록지 정보 :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 26권 / 2호 / 147 ~ 181페이지
    · 저자명 : 김정남

    초록

    본고는 윤대녕의『피에로들의 집』에서 형상화된 한국적 모더니티에 따른 추방자들의 상황성을 세대론적 맥락에서 유형화하고, 이를 통해 집과 가족의 의미와 더 나아가 새로운 방식의 연대 가능성에 대해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오늘날의 도시 공간의 추방자들은 우리의 현실 전체를 강제하고 있는 도시 생태계의 규율방식이 만들어낸 일종의 잉여적 주체라는 데 핵심이 있다. 이 작품의 추방자들은 세대론적으로비동시적인 것의 동시적 공존이라고 할 수 있을 만큼의 중층적 양상을 드러내며, 복잡다기한 도시 생태계의 정치․사회․역사적 맥락과 구체적으로 연결된다는 점이그 특징이다.이 작품에서 대안 가족으로 구성된 아몬드나무 하우스에는, 회상의 형태로 제시되는 한국전쟁 세대(마마 父)를 비롯하여 유신세대(마마)-신세대(명우, 현주, 윤정)- 레니엄 세대(윤태, 정민)가 혼거하고 있는데, 이는 한국 사회의 세대현상과 갈등의 원인, 그리고 그 화해를 모색하기 위한 창작 의도로 파악하다. 이처럼 마마를 중심으로 한 추방자들의 개인사와 현재적 상황은 한국적 모더니티의 세대론적 지형도를 유감없이 압축하고 있다. 이 속에서 구체적으로 서로를 매개하며 상징적 고리를 형성하는 상관물은 바로 ‘음식’과 ‘집’이다. 전자는 식구(食口)라는 입들의 공동체를 형성하게 하는 매개가 되고, 후자는 추방자들에게 원초적 안도감을 회복시키는 대체 공간으로 기능한다.
    작품의 대미를 장식하는 여행에서, 화자는 그 여로가 지난 겨울 윤정이 여행했던경로임을 뒤미쳐 깨닫는다. 그는 부전으로 가는 열차 안에서 잊고 싶었던 과거의 순간들을 떠올리고, “모든 것을 잃었다고 생각할 때마다 그것의 일부라도 되찾을 수 있는 방법은 언제나 을 쓰는 것”이라는 점을 상기하며 껴져가는 쓰기에 대한 욕망의 불씨를 다시금 되살린다. 그것은 곧 타자성의 인식, 관계성의 복원, 그리고 쓰기에 대한 믿음을 회복하는 신생에의 희원이라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the situation of outcasts caused by Korean modernity shaped in Yun, Dae-nyeong’s novel The Piero’s House by generational context, furthermore to examine the meaning of home and family and the possibility of new ways of solidarity. The outcasts of today’s urban space are at the core of being a sort of surplus subject created by the discipline of the urban ecosystem that forces the whole of our reality. The outcasts in this work are characterized by the simultaneous coexistence of asynchronous things, revealing the layered aspect of them, and being specifically linked to the political, social and historical contexts of complex urban ecosystems. At ‘almond tree house’ consisting of quasi-family, Korean War generation presented in the form of recall(mama’s father)-Yusin generation(mama)-New generation(myeong-woo, hyeon-ju, yun-jeong)-Millenium generation(yun-tae, jeong-min) are living together, and this has been understood as the generation phenomenon of Korean modernity, the cause of the conflict, and the creative intention to search for the reconciliation. As such, the personal history and current situation of outcasts, centering on the Mama, are uncompromisingly compressing the generational topography of korean modernity. Here, the correlations that specifically form the symbolic link between the two are ‘food’ and ‘house’. The former serves as a means of forming a family of mouths, and the latter serves as an alternative space to restoring the original relief to outcasts. In the journey to decorate the end of the work, the speaker realizes that his journey is the route Yun, Jeong traveled last winter. He remembers the past moments of wanting to forget in a train to Bujeon and remembers that “every time I think of losing everything, the way to get it back is always to write,” the desire for writing Revive the fire again. It can be said that it is the pleasure to the new birth which restores the belief in the recognition of the otherness,the restoration of relations and the writ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35 오전